• Title/Summary/Keyword: 공급네트워크

Search Result 69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 of ROK Military Supply-Network Efficiency by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한 한국군 공급네트워크 구조의 효율성 영향요인 분석)

  • Eom, Jin-Wook;Won, You-J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5
    • /
    • pp.47-55
    • /
    • 2019
  • The army of republic of korea have been continued to transform their logistics support system structure for better efficient logistics support system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environment. Logistics system has supply network structure which is connected by various units and supply network structure received attention as a factor of success of supply network. Many researchers have continuously researched inventory management, transportation or economy factors for supply network, but such a study on the one in military supply network structure analysis is still slower than the study of analysis of other factors until now. In this study, we identify military supply network structure influence factor by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which is used broadly and analyze co-relationships between supply network structure influence factor and valued APL(average path length) as a criteria of efficiency of military supply network. By this study it has value of military supply network influence factor identification for the better military supply network fabrication.

공급사슬구조에 따른 SCM 활동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 장형욱;이상식;박병권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12a
    • /
    • pp.261-274
    • /
    • 2005
  • 오늘날의 기업들은 글로벌 갱쟁환경과 고객 기대수준의 상승 등의 이유로 글로벌 소싱 및 기업간 전략적 제휴나 협업 등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는 기업과 기업, 기업과 고객 사이의 물류와 정보로 이어진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실현할 수 있는 혁신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급사슬구조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파악하여 공급네트워크, 전환네트워크, 유통네트워크라는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공급사슬구조에 따라 SCM 활동에 차이가 있으며, 경영성과에도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까지 사례연구로 행해지던 네트워크의 분류를 이용하여 각 공급사슬구조에 따른 SCM의 활동 및 경영성과에는 차이가 있음 실증분석을 통하여 입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Depends on the Supply Chain Structure (공급사슬구조에 따른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 Jang Hyeong-Wook;Lee Sang-Shi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0 no.4
    • /
    • pp.110-119
    • /
    • 2005
  • This study develops three dimensions of a supply chain structure (i.e., supply network, conversion network, distribution network) and proposes a balanced scorecard (BSC) model in order to measure management performance. We may conclude that management performance depends on the supply chain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distribution network is better than that of supply and conversion networks based on the result of Scheff multi-comparison.

  • PDF

Establishment of Water Supply Network for Drought Damage Diffusion Model (가뭄 피해 확산 모형 개발을 위한 용수 공급 네트워크 구축)

  • Kim, Sang Mun;Choi, Jung Ryel;Ahn, Sa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74-374
    • /
    • 2020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최근 국내·외에서 중·장기적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생활·공업·농업 용수에 제한급수 시행에 따라 사회적으로 큰 혼란과 피해가 발생하였다. 국내의 경우 2015년에 보령댐의 저수율이 약 19 %에 그치면서 충청남도 8개 시군에 제한급수를 실시한 바 있으며, 2017년 속초시에는 28일 동안 제한급수를 실시하여 큰 불편을 초래한 사례가 발생하였다. 중·장기적 가뭄은 공간적, 시간적으로 광범위하게 나타나므로 국가적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장기적 가뭄 발생시 시군구 등 지자체 차원에서 가뭄 대응이 가능하게 하도록 수도 급수 체계를 바탕으로 용수 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용수 공급 네트워크는 취수원(하천, 댐, 저수지)에서 취수장으로 1차 공급되어 2차 공급지인 정수장을 거쳐 최종 급수구역으로 배분되도록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용수 공급 네트워크는 하천, 댐, 저수지 등의 취수원 별로 작성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생활, 농업, 공업 분야별 가뭄 피해 확산 모형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 PDF

Supply Network anlysis fir water supply (용수공급을 위한 공급네트워크 분석)

  • Park, Chang Kyu;Choi, Gwang Bok;Park, Ki Bum;Ahn, Se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11-411
    • /
    • 2018
  • 지속적인 강수량의 부족으로 인한 댐 및 하천유량의 감소로 인해 도시지역의 용수공급 부족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대구시에 공급하는 상수원은 가창댐과 공산댐 낙동강의 죽곡취수장, 매곡취수장, 문산취수장이 운영되고 있다. 상수원에서 취수하는 물은 낙동강에서 120만톤, 운문댐에서 35만톤, 가창댐과 공산댐에서 9만톤을 취수해 총 164만톤의 물을 취수하여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계속적인 가뭄으로 인해 대구의 취수원에 물이 부족하여 금호강 물을 하루 12만 7천 톤을 공급하는 도수시설을 설치하여 고산취수장으로 물을 공급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대구시에 안정적으로 용수를 확보하여 공급하기 위해서는 대구시에 위치한 주요 상수원과 상수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설들에 대해 비상급수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의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서 상수원에 대한 유량의 검토와 공급네트워크를 최적화하여 안정적인 용수공급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liability Index based on Hydraulic Uniformity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상수관망의 수리학적 균등성을 이용한 신뢰도 지표의 개발 및 적용)

  • Jeong, Gimoo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6
    • /
    • 2019
  • 상수관망시스템은 공급원으로부터 수요처까지의 용수공급을 위해 구축된 관수로 기반의 사회기반시설물로서, 주로 생활 및 산업 용수를 공급하므로 대규모 사회 경제적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용수공급 능력이 요구된다. 네트워크의 다양한 특성에 의해 표현되는 상수관망시스템의 신뢰도(reliability)는 크게 시스템 내 구성요소의 안정성(mechanical reliability)과 용수공급의 기능적 안정성(hydraulic reliability)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의 용수공급 안정성에 주목한 수리학적 신뢰도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행된 바 있으며, 다양한 평가방법 및 지표들이 제시되어 활용 중에 있다. 기존의 수리학적 신뢰도 지표들은 주로 수요절점(demand node)에서의 공급가능 수량 및 수압을 바탕으로 산정되었다. 그러나, 절점(node)에서의 공급 상태는 결과에 해당하며,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관로(pipe)의 배치 및 규격을 분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직접 관로(pipe)의 공급 특성을 분석하여 네트워크의 신뢰도를 평가함으로써, 신뢰도 저하의 원인 분석 및 시스템 개선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신뢰도 지표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로 내 수리학적 기울기가 전반적으로 균등할수록 설계 비용대비 공급 신뢰도, 즉 용수공급 효율이 개선되는 특징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내 총 에너지 손실로부터 각 관로의 길이, 유량 등의 특성을 고려한 등가 수리경사(Equivalent hydraulic gradient)를 유도하여 모든 관로의 적정 수리경사로 제안하였다. 따라서 각 관로의 실제 수리경사를 대상으로 관로별 수리학적 균등성 지수(pipe hydraulic uniformity index)를 산정하였으며, 더 나아가 전체 시스템의 균등성 지수(system hydraulic uniformity index)를 산정하였다. 제안된 신뢰도 지표는 가상의 네트워크에서 지역 내 용수 사용량이 증가하는 등 용수공급 안정성을 저해하는 몇 가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검증하였으며, 또한 기존 지표들의 신뢰도 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네트워크 최적 설계의 목적함수로 활용하거나, 네트워크의 보강계획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Implementation of GIS Network Analysis System for Resource Allocation and Locating Facilities (자원 할당 및 입지 설정을 위한 GIS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의 구현)

  • 우성호;양성봉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144-146
    • /
    • 1998
  •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의 네트워크는 실세계의 도로망, 전기망, 상하수도관 등을 표현한다.[4] 우리는 네트워크 분석 기능 중 자원 할당과 입지설정과 관련된 기능들의 Gothic 시스템에서 구현하였다. 자원 할당 문제는 네트워크 상에 자원을 공급하는 공급지와 자원이 이동하는 경로, 그리고 자원의 수요지가 존재할 때, 공급지의 자원 공급 능력과, 자원의 이동 비용, 그리고 자원의 수요량과의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자원이 할당되는 지역을 설정해 주는 문제이다. 입지 설정 문제는 자원을 공급하는 서비스 센터의 위치를 결정해 준다. 센터의 위치는 인구로 대표되는 소비자의 분포와 이동 비용에 의해 결정된다. 입지 설정은 어떤 지점의 인구 밀집도를 분석해 주는 포텐셜(potential) 함수[3]와, 소비자들의 이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센터의 위치를 설정해 주는 두 기능으로 구성된다. 센터의 위치를 설정해 주는 문제는 높은 계산 량을 요구하므로, 본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연산의 양을 줄이는 Approximation 기법을 사용하였다.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Supply Chain Management in Korea using Network Text Analysis (공급사슬관리 국내연구동향 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 Rha, Jin Su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5 no.1
    • /
    • pp.41-53
    • /
    • 2020
  • Supply chain management (SCM) became a critical success factor for firms. As a result, researchers have carried out related research on SCM.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in SCM in Korea using network text analysis. We collected the information of 586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using the RISS database, and analyzed the network generated by keywords proposed in the artic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five research keyword clusters such as logistics, information systems, partnership, risk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Embeddedness of Supply Chain and Financial Performance (공급사슬의 관계적 내재성과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

  • Chung, Yeon-Joo;Kang, Nak-Jung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1 no.3
    • /
    • pp.141-160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beddedness of supply chain on supply chain performance. The development of research model is based on network embeddedness that the literature of strategic management and sociology. To examine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 have used an empirical method based on field survey in which most of measurements used and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are selected as measurements. The data from survey was analyzed using Partial Least Squares(PLS). The result from empirical model suggest as follow; First, relational embeddedness of supply chain effects on supply chain performance. Especially, reciprocal dependance affects interfirm relation performance. Also trust and tie strength of relational embeddedness affects interfirm relation performance. Second, interfirm relation performance affects financial performance.

  • PDF

A Cost-Efficient Energy Supply Sources Deployment Schem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 바용 절감을 위한 에너지 공급장치 배치 기법)

  • Choi, Yun-Bum;Kim, Yong-Ho;Kim, Jae-Joon;Kim, Ho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6 no.6B
    • /
    • pp.738-743
    • /
    • 2011
  • This paper considers the cost minimization issue for sensor network systems where sensor energy is supplied by remote energy sources wirelessly. Assuming symmetric structures of sensor nodes and energy sources, cost minimization problem is formulated, where the cost of sensor networks is represented as a function of sensor node density and energy source coverage. The optimal solution for the problem is provided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al scheme achieves around 19% cost reduction in comparision to a conventional sch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