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공 임무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f Dedicated Mission Software Architecture for Unmanned Vehicles for Public Mission (공공임무를 위한 무인이동체 탑재용 임무소프트웨어 구조 분석)

  • Park, Jong-Hong;Choi, Sungchan;Ahn, Il-Yeup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3
    • /
    • pp.435-440
    • /
    • 2020
  • The application of the unmanned vehicles in various fields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nd the development of a service utilizing unmanned vehicles has been proceeding. As the service market using the unmanned vehicles rapidly increases,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software for performing the mission with unmanned vehicle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as the demand for unmanned vehicle utilization services for public missions such as fire detection, mail delivery, and facility management increas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mission software for unmanned vehicle is increasing. To develop common mission software, architecture design should be made so that unmanned vehicle service provider can easily develop software using reusable libraries or functions through analysis commonly required by various public institution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research trends of mission software for public mission unmanned vehicles. In addition, the architecture design of developing formal mission software is proposed. Finally, we propose a data transfer architecture between mission software and data platform.

드론의 공공임무 활용

  • Lee, Sang-Chun;Yun, Byeong-Cheol;Kim, Dong-Eok;Chae, Ji-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2
    • /
    • pp.100-106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드론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커지면서 많은 국가에서 드론을 미래 전략산업의 하나로 주목하고 있으며 드론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활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기술개발 투자와 규제해소를 위한 법 정비 등 국내 여건이 미비한 상황에서 군사용 무인항공기 강국인 미국은 국가공역체계 안에서 드론 법제화 정립을 진행하고 있으며, 중국 등 몇몇 국가의 기업들은 초소형 민간 드론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드론 기술의 발전과 시장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공공드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기술적 법적 제약이 적지 않은 환경에서 공공분야의 드론 활용은 기술 개발과 수요증대를 동시에 자극 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미래 수요 증가의 한 축으로 기대되는 드론의 공공임무 활용부문에 대한 분석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Demonstration of the KPLO operation visualization using Cosmographia

  • Kim, Joo Hyeon;Yim, Jo Ryeong;Kim, Young-Rok;Kim, Dong-Gy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2
    • /
    • pp.46.1-46.1
    • /
    • 2019
  •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탐사 사업인 달 탐사선(KPLO) 개발 사업에는 국내에서 개발하는 과학 탑재체 3기, 기술 검증탑재체 1기, 고해상도 카메라 1기, 국제협력의 일환으로 NASA의 과학 탑재체 1기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KPLO와 이들 탑재체의 운영을 수행하게 될 KPLO 심우주 지상시스템은 달 탐사선 운영에 필요한 궤도, 임무계획 등의 정보를 생성하고, KPLO의 기동명령과 상태정보를 송, 수신하는 역할을 주요 임무로 수행한다. 또한 이들 정보를 기반으로 궤도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KPLO의 임무운영 상태를 시각화하여 운영자로 하여금 KPLO 운영을 용이하게 하고, 공공에게 이를 제공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KPLO 심우주 지상시스템은 AGI사의 STK와 NASA/JPL에서 개발한 Cosmographia를 활용하여 각각 특성에 맞는 KPLO 운영 시각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본 발표에서는 Cosmographia의 작동 및 활용 개념을 설명하고, KPLO의 가상 임무를 적용한 SPICE Kernels을 활용하여 고해상도 카메라인 LUTI의 지향, 달 중심 표준좌표를 적용한 KPLO의 궤도 등을 시각화 시연을 한다. 또한 고해상도 달 표면 영상 적용, 심우주 네트워크 안테나의 위치 정보표출 등 Cosmographia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던 시각화 정보를 개선한 내용에 대해서도 함께 시연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Public Service Drones - Focused on Search and Rescue Drones - (공공임무용 드론의 효과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실종자 수색용 드론을 중심으로 -)

  • Kang, Wook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62
    • /
    • pp.65-86
    • /
    • 2020
  • Drones, which were originally developed for military purpose, have expanded rapidly not only in hobbies, leisure, but also in broadcasting, filming, and public sectors, and search and rescue drones have been used to find four Korean teachers who went to Nepal for volunteer work but went missing in the avalanche. The government is encouraging the use of drones in the public sector as a policy to foster the drone industry, and the market is expected to expand in the future. This study presents improvement measures and specific directions for use of drones by public agencies at a time when the use of drones is expanding in the public sector. To that end, this research reviewed the interviews of relevant experts, analysis of drone operation regulations by public agencies, and the cases of operation of drones for searching missing persons by police. First of all, it will have to secure skilled personnel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drones and then determine the specifications of the drones through sufficient review, and then be put into the mission after careful examination of the drones. Next, it is necessary to draw up a base rule for drone operation and draw up a manual accordingly. Finally, drone flight has the risk of a crash, and it is essential to secure dedicated personnel for drone operation, especially since drones in the public sector are specialized in large scale compared to hobby drones to achieve their purpose. This research only conducted a detailed analysi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s drones for searching for missing persons, and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number of people interviewed. Subsequent studies will require analysis of various public institutions, and in addition to interviews, surveys will require analysis of various data and statistics.

초고속공공응용서비스 개발 사업

  • Lee, Seok-Han
    • 정보화사회
    • /
    • s.97
    • /
    • pp.40-45
    • /
    • 1995
  • 초고속정보통신기반구축사업은 미래의 우리나라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미래 한국의 비젼을 실현시키는 사업이다. 한국전산원은 공공응용서비스개발지원사업, 원격시범사업, 그리고 국가망 구축사업분야의 전담기관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데 이 중 공공응용서비스개발지원사업은 공공부분의 정보화를 촉진하여 국민에 대한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초고속국가정보통신망의 이용촉진 및 민간부분에 초기수요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초고속사업의 원년인 올해, 공공응용서비스개발사업은 국민경제에 대한 파급효과가 크고, 국민의 편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26개 과제를 선정, 민간사업자들이 참여하여 일심히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과제 선정, 사업자 선정 등 각 단계마다 경쟁의 원칙을 적용하여 주관기관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각 기관의 정보화 의지를 불붙였으며, 기업에게는 기술 자격 분리입찰제를 적용하여 적정 이윤이 보장되도록 하였다. 또한 3자간 공공계약체결로 공동으로 책임지는 협력체제를 구축하였다는 역시 작은 성과라 할 수 있다. 다음은 독자들을 위해서 공공응용서비스개발사업의 내용과 진척사항 그리고 참여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 PDF

Analysis of Manuals and Missions for Responding to Disasters in the Public Library (공공도서관의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매뉴얼 및 임무 분석)

  • Bae, Kyungjae;Chung, Da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5 no.1
    • /
    • pp.231-249
    • /
    • 2021
  •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manuals for responding to disasters in public libraries has emerged after COVID-19 was confirmed in Korea in January 2020. The library is a social organization directed affected by COVID-19. Therefore, a reasonable and consistent disaster response manual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as a guideline for responding to disasters at the library sites.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public library manuals for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Furthermore, the responses of overseas libraries experiencing major disasters were analyzed and issued to reflect the current domestic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library's role as a social organization for disaster response should be enhanced, and that disaster experience needs to be implemented, as guidelines, toolkits, and archive.

A benchmarking study on autonomous operating system of excellent overseas public research institutes (선진 공공연구기관의 자율적 운영체제 조사 연구)

  • Ko, Young-joo;Lee, Youngseok;Chun, Dong-phil;Kim, Y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5.11a
    • /
    • pp.789-797
    • /
    • 2015
  • 한국의 출연(연)은 과학기술 기반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선도적 탈추격 R&D 주체로서의 출연(연)의 역할모델 재정립을 요구받고 있으며, 이는 자율과 책무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R&D 체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수반한다.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의 자율성을 정의하고, 자율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기관장 선임 및 거버넌스, 연구전략 및 목표관리, 예산, 인력, 그리고 평가로 구분하고, Autonomy Regime on Wheel (ARoW) 모델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자율성을 구성하는 각 요인에 대한 핵심 질의를 정의하고, 한국과 선진공공연구기관의 현황을 파악하여 벤치마킹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 선진 공공연구기관은 독일, 영국, 미국의 기관들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연구회 구조의 유사성 및 각 연구회 간 연구분야 및 임무의 균형이 조화롭게 유지되고 있는 독일의 4대 연구회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분석대상 기관의 홈페이지를 포함한 국내?외 문헌조사 및 독일, 영국, 미국의 현지조사 과정을 거쳤으며, 이와 함께 국내?외 관련 전문가들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한국 및 선진 공공연구기관의 자율성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자율성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한국의 실질적 자율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의 자율성을 정의 및 분석한 최초의 학술적 연구로서, 향후 자율과 책무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출연(연) 발전을 위한 전략 수립에 기반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 그 의의가 존재한다.

  • PDF

Research Evaluation Indicators for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on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in the New Korean Mission Oriented Evaluation System (임무중심형 종합평가에서 지질자원 분야 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우수성 평가지표 연구)

  • Ahn, Eun-Young;Kim, Seong-Yong;Lee, Jae-Woo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9 no.4
    • /
    • pp.325-333
    • /
    • 2016
  •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MSIP) introduced its new Mission Oriented Evaluation System (MOES) for government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GSRI)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3. Th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is the first MOES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S&T) GSRI, that has research divisions focusing on geoscience and geological surveys, mineral resources extraction and utilization, petroleum extraction and marine mineral research, and geological applied and environment research. In appling the final evaluation of MOES on KIGAM, we found difficulty classifing the concepts of research excellence and risk (innovativeness) in guidelines of Research Evaluation Indicators (REIs) of MSIP. We have develop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ators that can present research excellence and risk (innovativeness) through the KIGAM World Class Laboratory (WCL) strategy and related studies, innova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guidelines of MSIP (2013a) and honorable R&D failure guidelines of MSIP (2013b). We have applied our developed REIs in KIGAM which handles basic research, applied and development research and public services. Therefore, our developed REIs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every S&T GSRI.

A Study on Batch Auditing with Identification of Corrupted Cloud Storage in Multi-Cloud Environments (손상 클라우드 식별 가능한 다중 클라우드 일괄 감사 기법에 관한 연구)

  • Shin, Sooyeon;Kwon, Taek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5 no.1
    • /
    • pp.75-82
    • /
    • 2015
  • Recently, many public auditing schemes have been proposed to support public auditability that enables a third party auditor to verify the integrity of data stored in the remote cloud serv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uditor, several public auditing schemes support batch auditing which allows the auditor to handle simultaneously multiple auditing delegations from different users. However, when even one data is corrupted, the batch auditing will fail and individual and repeated auditing processes will be required.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orrupted data from the proof in which distinct data blocks and authenticators of distinct users are intricately aggregated. In this paper, we extend a public auditing scheme of Wang et al. to support batch auditing for multi-cloud and multi-user. We propose an identification scheme of the corrupted cloud when the data of a single cloud is corrupted in the batch auditing of multi-cloud and multi-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