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 디자인

검색결과 549건 처리시간 0.021초

도시 환경조형물 심의기준과 평가모형 (Review Criteria and Evaluation Framework for Environmental Builtforms in urban space)

  • 윤기환;김진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9-120
    • /
    • 2006
  • 환경조형물은 공공미술의 한 분야로서 단순히 건축물의 미관 장식해 주는 역할뿐만 아니라 도시민에게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도시 환경과의 친밀감과 상징적인 장소로서의 랜드마크적 기능을 지니고 있기에 독창적인 조형물로서 사회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책적으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건축물 미술장식제도의 환경조형물을 대상으로 도시환경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치단체의 평가 및 심의방법 및 평가모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환경조형물의 가치는 단편적인 유행관점과 의무사항의 통과절차로 인식되는 한 도시환경조성은 염원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공성 차원의 전문가적 안목으로 평가시스템을 설정하고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조형물 현행제도 및 심의기준을 고찰하여 이론적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전문가 집단의 통계적 평가모형의 틀을 도출하고자 한다. 설문구성은 이론적 연구모형으로 설계된 설문을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가설에 대한 예측이 검증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파일럿테스트 분석하였다. 2차 수집된 본 설문지는 SPSSWIN 1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의 통계적 분석의 검증과정을 통해 추출된 평가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도시 공간 속 옥외 광고에서 활용되는 미디어 파사드특성 - K-Pop Square Media를 중심으로 (Media Facades Used in Urban Outdoor Advertising - Focused on K-Pop Square Media)

  • 박보은;이현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45-352
    • /
    • 2024
  • 삼성동 코엑스에 위치한 'K-Pop Squre Media'는 대형 전광판에 다양한 입체 동영상을 상영하며, 대중적 이목과 매스미디어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기존과 차별화된 대형 곡면 LED 전광판의 영상은 미디어 파사드 기법의 일종으로 코엑스 광장의 공간적 특성과 함께 새로운 랜드마크이자 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공간 속 옥외 광고에서 활용되는 미디어 파사드에 대해서 K-Pop Squre Media를 중심으로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접근은 첫째, 도심의 공공 공간을 중심으로 '공간적 특성'에 대해 케빈린치(Kevin Lynch)의 도시 공간을 구성하는 5가지 요소, 월리엄 미첼(William J. Mitchell)이 제시한 스마트 스페이스와 공간 패러다임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둘째, 옥외 광고의 '뉴미디어성'을 중심으로 Digital OOH(Out-Of-Home) Media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해 분석하고 셋째, '미디어 파사드의 신기술과 내용구성'에 대해 전시 매체 (프로젝션, LED 스크린)의 유형, 미디어 파사드의 시초, 최신 전시 기술인 아나몰픽(Anamolphic)에 대해 살펴본다. 본 연구를 통해 K-Pop Squre Media는 스마트 스페이스의 공간적 특성, Digital OOH의 뉴미디어 특성, 그리고, 미디어 파사드의 내용 구성을 통해 공공성, 소통성, 예술성, 장소성의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항만도시 도심재생을 위한 수변공간재활성화사업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Waterfront Revitalization Project for the Downtown Regeneration in Harbor City)

  • 최강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09-320
    • /
    • 2019
  • 항만과 성쇠를 함께 해 온 항만도시의 도심재생에 있어서 수변공간재활성화의 중요성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항만도시 도심재생을 위한 수변공간재활성화사업에 있어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친수공간의 공공성과 도심과의 연계에서 대표적 성공사례라고 할 수 있는 시드니 '달링하버'와 보스턴 '로즈 케네디 그린웨이'를 대상으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지이용에 있어서는 공공성과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여가 위락을 위한 건축물과 시설을 조성하고 역사문화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친수공간조성에 있어서는 수변보행로와 공원 광장 녹지 등 다양한 규모와 성격의 오픈스페이스와 가로시설물을 조성하였다. 셋째, 도심연계에 있어서는 보행 및 도시경관 차원에서 도심과 수변공간의 적극적인 연계가 이루어졌고, 이를 통한 도심과 수변공간의 상승작용을 유도하였다.

공공공간의 입지유형별 매니지먼트 특성에 관한 연구 - 뉴욕 플라자프로그램으로 조성된 61개 플라자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Space Management based on Surrounding Land Use - Focused on the 61 Pedestrian Plazas generated by the NYC Plaza Program -)

  • 이운용;이정형;김정국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호
    • /
    • pp.95-102
    • /
    • 2018
  • Public spaces in the cities are social and economic resources to maintain sustainable urban revitalization. As an importance of public spaces is getting increased, many cities focus on public space management and introduce their own management system. NYC Plaza Program is one of the public space management systems in USA and it was designed in order to transform underused roads and streets into pedestrian public spaces throughout the New York City. Plaza management system works with private organizations' participation as NYC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empowers selected private organizations to the right of management and assists their effort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how the plazas are managed by private sectors and seek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types of management methods based on landuse(residential, commercial and openspace) status around plazas. We analyzed 61 plazas that generated by NYC Plaza Program with three major conditions of management system including organization, fund and activities. There are three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1)In most residential surrounded plazas, resident-initiative organizations manage small scaled fund and activities meanwhile public agencies support their management. 2)BID is a dominant tool in the commercial surrounded plazas. BID provides with secured fund, mid-sized activities and a broad network with commercial facilities. 3)Openspace-surrounded types are usually using supports of exiting organizations and fund system.

공동주택 단지 내 공공보행통로의 갈등 요인과 영향 - 공동주택 거주민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 (Causes and Effects of Conflict Arising from Public Pedestrian Passages in an Apartment Complex - Based on a Survey of Residents living in an Apartment Complex -)

  • 이승지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2호
    • /
    • pp.95-10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conflict that arise from public pedestrian passages installed in apartment complexes through a survey of residents' perception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with and necessity of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This has significance as a preliminary research into determining solutions to conflict related to public pedestrian passages that are open spaces, accessible 24 hours a day to pedestrians including people who live outside of the apartment complex. The result of the residents' perception survey showed that there is conflict due to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The main problem was the noise-related variables. While management and safety variables were also perceived as problems, privacy and ownership infringement variables were not. These problems were reduced to four factors through a factor analysis: unfavorable incidents, environment management, ownership infringement, and safety crimes.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abov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apartment complex, satisfaction with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and the necessity of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demonstrated that the unfavorable incidents factor influenced all the variables. The safety crimes factor, which is an extended concept of the unfavorable incidents, affected both the satisfaction and necessity of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The ownership infringement factor was found to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public pedestrian passage only, and the environment management factor did not affect all the variables. In planning and managing public pedestrian passages, avoiding incidents and crimes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and solve conflicts.

초소형전기차 사용자만족도 구성요인 선정을 위한 기반연구 (Basic Study for Selection of Factors Constituents of User Satisfaction for Micro Electric Vehicles)

  • 진은주;서임기;김종민;박제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5호
    • /
    • pp.581-589
    • /
    • 2021
  • 최근 국내 초소형전기차 도입이 증가하면서, 관련 시장 활성화를 위한 초소형전기차 사용자만족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만족도 구성요인을 기반으로 초소형전기차를 활용한 공공서비스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① '초소형전기차 사용자만족도 구성요인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계층화(AHP) 분석'과, ② 초소형전기차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 및 교통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전 자료수집을 위한 '초소형전기차 이미지 설문조사', ③ 실제 초소형전기차를 운행한 이용자의 사용자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초소형전기차 운전자 사용자만족도 설문조사' 순서로 수행하였다. 계층화(AHP) 분석에서는 '사용자 이용 데이터', '차량 이동 데이터', '충전서비스 데이터'순으로 사용자들이 중요하게 여긴다는 결과를 얻었다. 초소형전기차 이미지 설문조사에서는 사용자들이 초소형전기차를 오토바이와 비교했을 때 '안전성', '내구성', '승차감', '디자인', '유지관리비', '친환경성' 측면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초소형전기차 운전자 사용자만족도 설문조사에서는 초소형전기차를 사용하는 것이 업무수행능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며, 초소형전기차의 차량크기로 인해 도로에서의 불이익을 받은 경험이 있었고, 옥외 광고용으로 초소형전기차 군집 주행 시 홍보효과가 컸지만 안전성 측면에서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만족도 구조방정식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며, 선제적으로 공공분야에서의 초소형전기차 활용업무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 R&D를 발굴하고, 새로운 공공 이동지원 서비스 발굴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도시경관 미디어파사드의 영상디자인 구성요소 연구 (Study of the Image Design Components of Urban Landscape Media Facade)

  • 유정선;정진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478-6483
    • /
    • 2014
  • 미디어파사드는 건물 외벽을 스크린으로 삼아 영상을 투사하는 것이다. 미디어파사드는 도시 공간에서 고도의 시장 경쟁 상황에 지쳐있는 수용자의 문화적 감성을 회복하며, 도시미학으로 발전하였다. 그래서 도시가 주제가 되기도 하고 투사 대상이 되기도 하면서 영상디자인으로 재해석 될 수 있다. 문화적인 면에서의 미디어파사드는 예술적 가능성과 공공성의 강화가 논의되고 있다. 가장 고려해야 할 부분 중의 하나는 건물 또는 투사 대상 주변과 소통되는 미디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2014 광화문 미디어파사드, 2014 세종문화회관 미디어파사드, 2013 남산 미디어파사드 등의 도시경관 미디어파사드를 비교분석 결과 모티브, 컨셉, 스토리, 투사형태 등 네 가지 영상디자인 구성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캔버스와 극장 스크린을 박차고 나아가 새로운 기술적 장르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미디어파사드는 앞으로도 한 차원 높은 도시의 상징적 예술행위로서 메시지와 테마 그리고 기술적 진보를 담아내야 한다. 본 논문은 상징적인 도시경관 미디어파사드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영상디자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농촌지역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경관계획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강진군 마량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Survey and Analysis of Landscape Pla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Focus on Byeongyeong-myeon, Gangjin-gun, Jeollanam-do-)

  • 정건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33-138
    • /
    • 2020
  • 본 연구는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 제20조, 동법 시행령 제12조에 의거, 농촌중심지활성화를 위한 경관계획 수립을 위해 전라남도 병영면 농촌중심지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사내용은 경관 장소적 선호도, 대표 경관자원 및 인물, 개선사항 등의 내용으로 진행하였으며, 조사·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농촌지역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공간 구조적, 관련계획 및 사업적, 자연 경관적, 역사문화경관적, 공공/민간경관적 측면 등 각 요소별 디자인가이드라인 방안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조사·분석결과와 더불어, 향후 농촌지역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디자인가이드 라인을 제언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와서 머물고 갈수 있는 체류형 관광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역사보전 사업 및 하멜촌 조성사업과 연계, 등산로 및 친수공간 조성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고 다른 자원과 연계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 따라, 거시적인 방향설정 등 각 요소별 디자인가이드 라인을 작성하여 체계적인 경관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리오 보타 작품에서 보여지는 실내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공공건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in the Works of Mario Botta -Focused on Public Buildings-)

  • 김용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8호
    • /
    • pp.33-43
    • /
    • 2001
  • Mario Botta is one of the modern architects who established his own architectural world on the basis of the architectural spirit of Modernism. His works have been a good theme not only for those who study architecture but also for those wh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re have been many published papers and reports on his works. However, most of them stressed on the importance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architecture 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studies that have dealt intensively with interior spa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in public buildings that were designed by Botta and to analyze them from the view design principles and design elements. For this purpose, the five most important public buildings were selected and the public space of the building like the central hall, the lobby, and the foyer wer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realized. A) Spatial features: $\circled1$ Refined and graceful interiors where the principle of symmetry was applied, $\circled2$ Centripetal interiors surrounded by thick walls, $\circled3$ Interior design lit by skylights above the central area, B) Formative features: $\circled1$ The shapes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spaces are identical, $\circled2$ Simple geometrical shapes were applied in defining the shapes of internal spaces, $\circled3$ Skylights and light wells were combined and were utilized as form elements, $\circled4$ Architectural vocabularies of Corbusier such as stairs, round pillars, and bridges were developed and utilized, $\circled5$ Utilized the geometry that resembled his architecture as a form element to the furniture, C) material pattern features: $\circled1$ Plainly expressed the patterns of bricks that appear in the course of construction, $\circled2$ Made and used horizontal stripe patterns using stones of different colors.

  • PDF

어린이 안전을 위한 공공임대주택단지 외부공간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Outdoor Spaces for the Children's Safety in Public Rental Housing)

  • 민영희;하미경;변기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95-104
    • /
    • 2015
  • Public rental housing in Korea has been initially provided for residential stability of low-income household focusing on solving quantitative insufficiency since 1980s. In the process of early stage of designing and planning public rental housing, qualitative aspects of considering children were not primary concer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iority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outdoor spaces for children's safety in public rental housing. First,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in the reference of local residential safety guidelines, Universal Design, and CPTED guidelines. In each guidelines, common safety planning factors for children were extracted within different types of outdoor spaces. Second,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residents evaluat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by different safety types, outdoor space type, and environmental planning factors. In results, residents evaluated high importance and showed low satisfaction for crime and traffic safety. Through IPA, facilities and parking space was evaluated where improvement is needed for the first priority, and planning factors were mostly concerned with surveillance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Result shows general concern of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s, about weak facility management and security system, and about socially isolated environment which heightened the fear of crime safety. Overall, poor maintenance of the complex environment and decrepit facilities are constantly raising risk of safety accidents especially for children. Considering residents' concern, environmental improv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perspective of not only physical repair, but also facility management and security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