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의료기관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1초

정신장애인의 정신의료기관 입·퇴원과 국가관리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Public management of the Admission and Discharge of mental hospital)

  • 이용표;정현주
    • 사회복지연구
    • /
    • 제37호
    • /
    • pp.369-397
    • /
    • 2008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정신의료기관 입 퇴원 과정을 이해관계자들의 행위양상과 행위가 드러나는 맥락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국가관리의 문제점들을 노정하여 보다 실효성이 있는 정책대안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참여자는 각 정신보건영역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와 간호사 중 6명을 선정하고, 이들의 심층면접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공관리의 바깥에서 이루어지는 입원형태, 정신장애인 입원에 대한 국가관리의 공백, 정신의료기관의 입원치료에 대한 형식적 국가관리, 장기입원의 구조화, 공공퇴원관리체계의 무기력과 기능의 전치현상 등의 5개 주제가 발견되었다. 정신의료기관의 입 퇴원의 국가관리가 정신보건법상의 제도적 장치에도 불구하고 이를 다시 민간의료기관에 위탁 가능케 함으로써, 관리의 공백과 이 과정에서의 인권침해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퇴원후 관리에서도 국가관리는 무기력함을 드러내고 있었으며, 이는 공공기관들의 기능전치현상이 한 원인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정신장애인의 입원과정, 퇴원과정에서의 인권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보완과 지역사회 지지기반 확충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제언하였다.

ISO 기반 공공서비스 품질관리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한 의료기관의 COVID-19 대응 현황 평가 (Assessment of Covid-19 Response of the Medical Institutions Based on ISO Public Service Quality Management Framework)

  • 편제범;김승범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69-84
    • /
    • 2020
  • 본 연구는 ISO18091:2019 을 기반으로 행정안전부에서 개발한 공공서비스 품질관리 프레임워크를 의료기관의 COVID-19 대응 시스템에 적용하고 이를 통하여 관련 의료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20년에 초에 발생한 COVID-19 사태는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으며 2020년 11월 현시점까지 해결되고 있지 않은 중대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의료기관들은 신속한 확진자 검사 및 철저한 격리를 통하여 COVID-19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는 데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그 결과로 소위 K-방역은 전 세계로부터 긍정적 명성을 얻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서비스 품질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작성된 품질관리 체크리스트를 적용하여 국내 의료기관의 COVID-19 대응 관련 현황을 점검 및 평가하였다. 3개의 의료기관과의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7가지의 범주에 대한 현황을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COVID-19사태의 장기화에 대비한 관련 의료서비스 품질을 위한 개선점도 제안하였다.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감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 영향요인 : 지식, 안전환경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Nurses'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for Infection in Public Medical Institutions: Focusing on Knowledge and Safety Environment)

  • 이지인;김종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38-247
    • /
    • 2021
  • 본 연구는 공공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감염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지식, 안전환경, 수행도를 조사하고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은 S시, N시의 2개의 공공의료기관 간호사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준주의지침 지식은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표준주의지침 안전환경은 직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표준주의지침 지식 정도는 평균 21.98(25점 만점), 안전환경은 평균 5.68(7점 만점), 수행도는 평균 40.28(60점 만점)이었으며, 표준주의지침 안전환경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r=.21,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표준주의지침 안전환경(𝛽=.22, p=.003)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의료기관에서 간호사의 감염관리를 위한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를 증진 시키기 위해서는 재정적 지원 및 지지적 안전환경을 제공하고 현 상황을 고려한 차별화된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과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이익분석을 통한 공공의료원 경영성과분석에 대한 일 접근 (Performance Evaluation of Local Governmental Public Hospitals using Profit Analysis)

  • 임지영;노원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18-325
    • /
    • 2014
  • 본 연구는 국세청에서 공시한 2012년도 공공의료원의 손익계산서 분석을 통해 이익 측면에서의 공공의료원의 경영 분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국세청에 공시된 2012년 공공의료원의 재무제표 총 38건의 손익계산서 중 중복된 자료를 제외하고 매출액,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의 구분 표기가 가능한 자료를 추출하여 최종 22건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에는 의료이익, 공헌이익, 매출액 추세를 이용하였다. 공공의료원의 의료이익을 분석한 결과 22개 공공의료원의 평균 의료이익은 손실로 -4,678.9백만 원이었고, 평균공헌이익은 12,572.5백만 원, 매출이 증가한 의료원의 평균 매출 증가액은 1,299.1백만 원이었다. 결과적으로 공공의료원의 의료이익은 손실이나 공헌이익이 발생하고 있고, 아울러 약 2/3의 의료원에서 매출액 증가 추이를 보이는 바 개별 의료원 차원만을 고려한 경영 의사결정 시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공공의료원이 전국에 지역별 거점 기관의 성격으로 개설되어 있는 국가 공공의료망의 일부라는 측면에서 전사적 차원, 즉 국가적 차원에서의 경영분석과 판단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공공데이터베이스와 gps를 이용한 의료기관 위치 및 정보 제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oca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of medical institutions using public database and gps)

  • 김주현;박주민;유세빈;허진영;김영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09-310
    • /
    • 2019
  • 최근 4차 산업혁명에 따라 많은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중 의료정보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은 많지가 않다. 우리는 공공데이터포털에 올라온 전국의 의료기관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쉽게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었다.

공공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System Implementation of Utilization of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Big Data)

  • 최은주;김기윤;문유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397-398
    • /
    • 2017
  • 정보 공유를 통해 국민들은 의료 기관 및 치료방법 등을 합리적으로 선택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의료 기관의 컴퓨터와 연결 기계의 사용으로 의료 관련 데이터는 규모가 급격히 늘어났다. 이에 따라 정부 3.0에 맞춰 공개되는 의료 데이터가 확대됨에 따라 의료 빅데이터를 통해 여러 정보들을 만들어내 의료 분야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져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의료 빅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여 의료 기관, 국민, 정부, 보험사 등 여러 기관에게 제공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설명한다. 현재 빅 데이터를 사용해 연령 별 잘 걸리는 질병이나 질병 별 성비를 나타내는 것 등 단순 사실을 알아내는 정도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강점을 갖는다.

  • PDF

일개 공공병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와 재이용의사에 관한 연구 (The patient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s and the revisiting intention in a public hospital)

  • 왕미숙;임난영;정현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275-6283
    • /
    • 2013
  •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일개 공공병원을 이용하는 환자 330명을 대상으로 의료서비스 만족도와 재이용의사를 파악하여 공공의료 서비스를 개선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병원 의료서비스 만족도는 평균 4.11점, 재이용의사는 평균 3.94점을 나타냈다. 의료서비스 만족도가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설명력은 32.9%였다(t=11.335, p<.001). 결론적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다시 의료기관을 찾을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공의료기관을 찾는 대상자들의 요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병원 인근 지역주민과의 친화력 강화 및 편의 시설 확충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