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공안전재난구조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stimation of Spectrum Requirements for Korean Wireless Communication of Public Protection and Disaster Relief (국내 공공안전재난구조 무선통신을 위한 주파수 소요량 산출)

  • Lee, Soon-Hwa;Yoon, Jae-Sun;Kim, Chang-Bock;Lim, Seung-Ga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1 no.4
    • /
    • pp.209-216
    • /
    • 2011
  • For Effective and systematic response to disasters, needs of broadband multimedia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of PPDR(public protection and disaster relief) is increasing gradually. Recently in Korea, by the digital television transition,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is considering whether the freed spectrum can assign additional spectrum of PPDR or not. In this paper, we were defined the input parameters, were estimated the spectrum of requirements for Korean wireless communication of PPDR based on M.1390 methodology recommended by ITU-R.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Mobile Broadband Market in Public Safety (모바일 광대역 공공안전 통신시장 현황 및 전망)

  • Lee, M.H.;Kim, H.S.;Song, Y.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2
    • /
    • pp.60-68
    • /
    • 2014
  • 전 세계의 인구와 도시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매년 각종 범죄를 비롯한 사건사고와 가상이변, 홍수,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의 안전과 재난상황에서 구조를 위한 새로운 통신의 필요성이 급증하게 되었다. 모바일 광대역 공공안전(Public Safety) 통신은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사고와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응급현장에서의 지시나 관리의 책임을 지는 기관에서 사용하는 전파통신을 의미한다. 이를 활용하면 더욱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공공의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에 대한 대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관련 시장 역시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모바일 광대역 공공안전 통신시장의 규모와 흐름을 살펴보고 공공안전과 재난구조 활동의 발전을 위한 무선통신망 구축의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재난통신망 현황과 전망

  • Kim, Nam;Park, Seong-Gy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0
    • /
    • pp.3-11
    • /
    • 2014
  • 최근 국내와 해외에서 재난 사고가 비교적 자주 발생하여 공공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크게 고조되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공공안전과 재난구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재난통신망 구축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재난통신망이 민간 상용 무선통신망과 차별화된 특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국내외 재난통신망 구축 현황을 분석한다. 그리고 향후 재난통신망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국내에서의 바람직한 재난통신망 구축 방향과 지속적인 진화를 위한 대안을 알아본다.

Application Service Technology over IEEE 802.16 (응용서비스를 위한 IEEE 802.16)

  • Kim, Eunkyung;Yoon, Chulsik;Lim, Kwangjae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2
    • /
    • pp.31-40
    • /
    • 2012
  • 광대역 통신 기술은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고속의 데이터 전송 및 고품질의 음성통화와 영상통화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 발전 중이다. 나아가 국민의 안전과 생명보호를 위한 공공안전 및 재난구조(PPDR, Public Protection and Disaster Relief)를 위한 범국가적 통신망과 원격 감시, 측정, 보고 및 제어 등을 위한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및 M2M(Machine-to-Machine) 통신을 위한 광대역 통신망 구축이 기대된다. 본고에서는 공공안전 및 재난구조 통신과 M2M 통신 응용을 지원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표준화 동향과 기술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Public Safety Long Term Evolution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PS-LTE 재난안전통신망에 관한 정책 연구)

  • Kang, Heau-J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6 no.1
    • /
    • pp.43-51
    • /
    • 2015
  • South Korea decided to use the public safety long term evolution (PS-LTE) method to build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for national disaster. The move will allow all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including police, firefighters and the military to use multimedia information, including videos, in addition to voice to carry out rescue operations from 2017.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said Thursday that it adopted PS-LTE as the technology method for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llowing a national policy coordination meeting last month. PS-LTE is a method integrating group communication, directio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independent base station function with existing LTE technology. Until now,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used technology that only allowed voice communication. However, transmission of multimedia information is possible using PS-LT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Application in Post-Disaster (재난 후 상황에서의 모바일 응용 설계 및 구현)

  • Yoo, DaeHun;Choi, WoongCh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3
    • /
    • pp.97-105
    • /
    • 2013
  • All means of communication using base stations are interrupted if the scorched earth environment happens because of a disaster. In order to use the systems of the public protection and disaster relief standards, users have to use the special equipments and need the expertise of the operation. Also, it needs the enormous investment for building an infrastructure. The systems is inadequate for the quick and efficient disaster communication, and the people can be in the chaos before the national resources are committed. For solving this problem,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the mobile application that general people can use immediately, and implements the android phone's application for the proof of concept.

An Approach to Urban Plann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through Location/Allocation of EMS(Emergency Medical Service) - Focused on Optimum Location of Safety Centers in Jinju - (응급의료서비스 입지/배분을 통한 도시방재시스템의 도시계획적 접근 - 진주시 안전센터의 최적입지를 중심으로 -)

  • Choi, Jin Do;Kim, Yeong;Kim, Sung Du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12-112
    • /
    • 2011
  • 오늘날 우리 사회의 생활과 문화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공공 및 개인의 안전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재난과 비상사태는 생명에 대한 희생뿐만 아니라 훨씬 더 심각한 경제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응급사태에 개비하여 적절히 준비되지 않았거나 재난의 예방 및 완화시킬 방법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면 도시의 발전적인 프로젝트는 예고 없이 도시를 강타하는 재난 및 비상사태에 의해 무산되고 만다. 이러한 여건 하에 재난과 응급사고를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응급처치와 서비스에 대한 급격한 관심과 함께 일정한 결정적 대응시간 내에 각종사고와 재해로부터 방어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고, 응급구조, 환자이송 등 도시의 병원 전 단계 의료환경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응시간과 출동거리를 분석함으로써, 응급사고에 즉시 응급구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안전센터(119센터)의 최적 입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고발생, 반응시간, 출동거리 등을 응급의료 활동과 관련된 연구논문, 대상지 전역의 소방기록물과 출동일지 등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신속한 응급의료 서비스를 위한 패턴을 분석 하였다. 또한 응급구조대의 조직과 활동의 분석을 통해 응급의료시설의 최적 입지설정을 위한 제도적 개선대안을 마련해 보았다. 대상지 연구를 위해, 구조활동 및 소방서비스의 최근 통계자료의 조사를 통해 진주시의 모든 119센터의 입지와 응급의료서비스 및 사고발생 현황을 나타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14.0을 사용하였으며, 지역의 특성 분포, 안전센터별 대응시간, 이송시간 등을 소방 GPS시스템과 입지할당모형 중 Center Point Model(CPM)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상지역의 119안전센터의 서비스 질이 나쁜 지역을 지리학적인 관점에서 최적 입지/배분 패턴의 설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응급의료서비스의 효율적인 입지/배분을 통해 공공 및 개인의 안전과 건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cience and Technology Networks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ased on Expert Survey Data (재난안전관리 과학기술 네트워크: 전문가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 Heo, Jungeun;Yang, Chang 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1
    • /
    • pp.123-134
    • /
    • 2018
  • Recently, due to the rising incidence of disasters in the nation,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relevance and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olving disaster and safety related issues. In addition, the necessities of securing the human rights of all citizens in disaster risk reduction, identifying fields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effective disaster response,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D investment for disaster and safety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s the different types of disasters and stages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rocess have been considered. In this study, we analyzed bipartite or two-mode networks constructed from an expert survey dataset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The results reveal that earthquake and fire are the two disasters affecting an individual and society at large and demonstrate that AI and big data analytics are effective supports in managing disaster and safety. We believe that such a network analytic approach can be used to explore some important implications exist for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effort and successful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ractices in Korea.

A DTN Routing Protocol for Communications in Post-Disaster Scorched Earth Situations (재난 후 초토화 상황에서 통신을 위한 DTN 라우팅 프로토콜)

  • Yoo, Dae-Hun;Choi, Woong-Ch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6
    • /
    • pp.81-92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which improves the performance of high-performance computing system. The key idea of this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is to minimize execution time of each job and to maximize the system throughput by effectively using system resource such as CPU, memory. Also, this strategy dynamically allocates job by considering demanded memory size of executing job and workload status of each node. If an overload node occurs due to allocated job, the proposed scheme migrates job, executing in overload nodes, to another free nodes and reduces the waiting time and execution time of job by balancing workload of each node. Through simula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based on CPU, memor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high-performance computing system compared to previous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