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도서관 건립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5초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컨설팅 서비스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lting System for Establishing Public Library)

  • 김세훈;심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7-11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건립과 관련하여 각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건립 절차를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은 무엇이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소할 수 있는지를 모색하는데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가 도서관 건립시 부딪히는 어려움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방식 가운데 하나로 '도서관 건립 컨설팅'이라는 방식을 검토해 본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건립 및 운영계획 수립 과정을 분석하고 도서관 건립 운영계획 수립과 관련한 컨설팅 서비스 수요 분석, 도서관 건립지원과 관련된 국내외 사례, 도서관 건립.운영 지원을 위한 컨설팅 체계 구축 방안 등을 모색해 보았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규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ze of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77-398
    • /
    • 2013
  • 대규모 도서관을 몇 개 건립하는 것보다 소규모 도서관을 많이 건립하는 것이 단기간에 공공도서관 인프라를 확충하는 데 효율적이다.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은 선진국들과 비교해서 큰 규모로 건립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대부분이 중 대규모로 건립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12월 기준 우리나라 전체 791개 공공도서관의 연면적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평균 연면적은 $2,495m^2$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서관의 규모 측면에서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인프라 확충을 위해 고려해야할 도서관 건립 정책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임대형 민간투자(BTL)방식에 의한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ilding Process of Public Libraries Using the BTL Method)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49-170
    • /
    • 2008
  • 이 연구는 BTL(Build-Transfer-Lease)방식에 의한 공공도서관 건립 현황을 조사하여, 이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점을 제안하여 효율적인 도서관 시설 확충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조사, 현장조사 그리고 인터뷰 방법을 이용하였다. 우리 정부는 부족한 공공도서관 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민간투자방식의 한 유형인 BTL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2008년 현재 이 방식에 의해 6개 지자체에서, 1개의 도서관이 건립되었고 8개 도서관의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이 연구는 BTL방식에 의한 도서관 건립이 대형 도서관 건립 형태로 추진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개별 사업으로 소규모 도서관을 여러 개 건립하는 것이 부족한 공공도서관 시설을 효과적으로 확충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 PDF

경기도 B신도시 건설과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B New Town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Establishment of Public Libraries)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49-267
    • /
    • 2010
  • 철저한 계획도시인 신도시는 도시건설 과정에서 주민들에게 필수시설인 공공도서관을 건립할 수 있기 때문에 도서관 인프라를 확충할 때 기성도시보다 훨씬 수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1기 수도권 신도시중의 하나인 B신도시를 선정하여 이 도시 건설과정에서 공공도서관 건립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B신도시의 경우 주민 입주 시기 전 그리고 신도시 건설 완료 전에 공공도서관이 건립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현재까지 건립된 공공도서관의 수도 부족하다. 결론적으로 B신도시 건설 과정에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은 미흡한 점이 많다고 하겠다.

  • PDF

P 신도시 건설과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P New Town and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 김영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7-58
    • /
    • 2021
  • 본 연구는 앞으로 새로운 신도시 건설과정에서 최상의 이용과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공공도서관이 건립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P신도시를 대상으로 신도시 건설과정에서 공공도서관 건립과 관련해서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조사, 현장조사 그리고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첫째, P신도시 개발계획 수립 초기 단계에는 도서관 건립계획이 없었다. 둘째, 공공도서관 건립에서 P신도시에 차등이 있었다. 셋째, 공공도서관 수가 부족하다. 넷째, 공공도서관의 규모가 충분하지 않다. 다섯째, 공공도서관의 입지가 미흡하다.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공공도서관 확충 방안 연구 - 영국의 작은 공공도서관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the Public Library Infrastructure in Korea: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Small Public Libraries in the UK)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9-48
    • /
    • 2007
  •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 수는 최초의 '도서관법'이 제정된 이후 지난 40년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공공도서관 시설은 선진국과 비교해 보면 여전히 많은 차이가 나고 또 절대적으로 크게 부족하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추진해 왔던 대규모 형태의 공공도서관 건립 방식이 도서관을 확충하는데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을 짧은 시간 내에 획기적으로 확충하기 위해서는 영국의 경우처럼 작은 공공도서관을 건립하는 방법을 채택하여야 한다. 즉, 몇 개의 큰 공공도서관을 건립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큰 도서관을 건립할 비용을 쪼개어 여러 개의 작은 도서관을 건립 운영하도록 한다.

  • PDF

I 신도시 건설과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I New Town and the Establishment of Public Libraries)

  • 김영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87-206
    • /
    • 2011
  • 본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에 속한 I 신도시를 대상으로 이 신도시 건설과정에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밝히고, 이 결과를 새로운 신도시 건설에 적용하여 바람직한 공공도서관 건립이 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 신도시는 계획대로 4개 도서관을 모두 건립하였고, 이들 도서관의 입지는 매우 양호했다. 그러나 도서관의 건립은 상당히 지체되어 심지어 한 도서관은 신도시 계획 수립 후 18년 후에 건립되었다. 4개 도서관의 규모는 현재의 우리나라 평균 보다 매우 크다. 도서관 운영조직은 이상적인 형태라기 보기 어렵다.

신도시 건설과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연구 - 영국의 밀턴킨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New Towns and the Establishment of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Milton Keynes in the U.K.)

  • 김영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81-403
    • /
    • 2010
  • 영국이 오늘날과 같은 완벽한 공공도서관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었던 이유 중의 하나는, 1940~90년대 초에 전국에 30여개의 신도시를 건설할 때 많은 공공도서관을 함께 건립하였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신도시를 건설하고 있는데, 이는 공공도서관을 효과적으로 건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대표적인 신도시인 밀턴킨즈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 신도시 건설과정에서 공공도서관이 어떻게, 어떤 모습으로 건립되었는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신도시에 건설된 공공도서관들은 그 입지를 통해 봤을 때 애초에 신도시 계획에 포함되었고, 그 계획에 의하여 건립되었음이 밝혀졌다.

영국 공공도서관 건축의 발전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rchitecture of the Public Libraries in the U.K.)

  • 김영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5-128
    • /
    • 2009
  • 영국은 다른 나라들 보다 일찍 시작한 산업 혁명의 영향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도 다른 나라들 보다 일찍 시작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지난 150여 년 동안 공공도서관 인프라구축을 꾸준히 추진하여 현재까지도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영국의 각 지자체는 1850년에 제정된 공공도서관법을 근거로 하여 시민들의 편리한 도서관 이용을 돕고, 건립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많은 도서관을 건립하기 위하여 다른 용도의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등 20세기 전까지는 단순한 형태의 소규모 도서관 건립을 시도하였다. 우리 나라도 더 많은 공공도서관을 건립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데, 건립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더 많은 도서관을 건립하기 위해서는 소규모 이면서 단순한 형태의 도서관을 많이 건립할 필요가 있겠다.

공공도서관 건립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대구광역시 북구 공공도서관 건립 타당성 분석의 사례를 중심으로-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Constructing a New Public Library)

  • 윤대식;오동근;구경남;김상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13-330
    • /
    • 2003
  •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공공도서관의 건립 및 운영과 관련한 타당성 분석의 일환으로 대구광역시 북구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그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비용-편익분석과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지역의 공공도서관 건립 및 운영의 예상결과는 충분한 경제적 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