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감피로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16초

Related Factors to Korean Hospital Nurses in Burnout during the COVID-19 outbreak: A Systematic Review

  • Park, Soon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123-130
    • /
    • 2022
  • 본 연구는 신종감염병인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환자를 간호하는 국내 병원 간호사들의 소진과 관련요인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제안하였고 COVID-19 유행 기간동안 국내 임상 간호사의 소진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해 문헌 검색과 분석은 2019년 12월 1일부터 2022년 4월 30일까지 RISS, KISS, DBPIA, 교보스콜라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고 '임상 간호사의 소진', '간호사의 소진'의 키워드를 사용하였다. 총 55편의 연구 논문이 검색되었고 자료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7편의 논문이 선별되었다. 임상간호사 소진 정도와 소진과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면, COVID-19 동안 임상 간호사는 중등도 이상의 소진을 경험하였고 소진과 관련된 요인은 개인적 특성인 신체증상, 우울, 공감만족, 공감피로, 회복탄력성과 직업적 특성인 교대근무와 직무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추후 임상 간호사 소진과 관련된 요인들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하고 일관성 있는 간호인력 간호인력관리지관리지침이나 정책을 제시하여 간호사 부족 현상을 해소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사회복지사의 연민만족과 연민피로에 관한 연구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Social Workers)

  • 김용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2호
    • /
    • pp.271-294
    • /
    • 2017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고통을 공감하고 고통 속에 있는 클라이언트를 걱정하며 그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노력한다. 이를 연민(compassion)이라고 하며 연민은 효과적인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연민은 사회복지사에게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결과를 주기도 하고 만족감 같은 긍정적 결과를 제공하기도 한다. 긍정적 결과를 연민만족, 부정적 결과를 연민피로라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민만족과 연민피로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한국어판 ProQOL을 평가한 다음, 사회복지사의 연민만족도와 연민피로도를 파악하고, 연민만족도와 연민피로도를 조합하여 사회복지사들을 군집으로 분류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는 수도권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 284명이 참여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어판 ProQOL은 기존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2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신뢰도와 타당도 또한 양호하여 사회복지사의 연민만족과 연민피로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도구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의 연민만족도는 보통 이상 수준이었고 연민피로도는 보통 이하 수준이었다. 연령이 상대적으로 많고 학력이 높고, 경력이 많거나, 또는 직급이 높은 사회복지사의 연민만족도가 높았다. 군집분석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들은 3개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군집1은 연민만족은 중간수준이고 연민피로는 가장 낮은 군집이었고, 군집2는 연민만족도는 가장 낮았고 연민피로도는 중간수준이었으며, 군집3은 연민만족도와 연민피로도 모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 PDF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의 관계 - 직무관련 삶의 질 매개효과 - (Effect of Long-term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on Service Quality of long term care facility -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

  • 이영선;송명섭;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36-34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직무관련 삶의 질, 서비스 질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11명이며,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 하였다. 연구모형은 감정노동(표면행위, 내면행위)을 독립변수, 직무관련 삶의 질(공감만족, 공감피로)을 매개변수, 서비스 질을 종속변수로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모형의 적합성과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의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적합한 수준이었으며, 감정노동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에서 서비스 질로 향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관련 삶의 질을 매개하여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총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내면행위와 서비스질의 관계에서는 정적 상관관계, 표면행위와 서비스질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비스 질에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직무관련 삶의 질(공감만족)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삶의 질에 대한 임상적, 학문적 관심을 환기시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다차원적 요인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Multidimensional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 김세라;전미경;황진희;최애란;김인숙;편미경;문경은;김문희;신나라;이순행
    • 임상간호연구
    • /
    • 제23권1호
    • /
    • pp.9-19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ultidimensional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intensive care unit(ICU)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during February 2016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22 tertiary hospital ICU nurses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Burnout correlated positively with compassion fatigue (CF)(r=.37, p<.001), and negatively with compassion satisfaction (CS)(r=-.66, p<.001).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57% of the variance in burnout.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model, perceived health status (${\beta}=-.27$, p<.001) and gender (${\beta}=.14$, p=.028)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ICU nurses' burnout. In the model with adde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nursing environment (${\beta}=-.22$, p=.001), perceived health status (${\beta}= -.20$, p=.001), and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beta}=-.19$, p=.007)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inally, for the model wit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dded, CS (${\beta}=-.56$, p<.001) and CF (${\beta}=.35$, p<.001)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Conclusion: Results reveal that most ICU nurses have a moderate level of CF and a moderate to high level of CS and burnout, and that individual, work-related and psychological factors are relevant in ICU nurses' burnout. Programs or interventions to reduce burnout should be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these multidimensional factors.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o the Person-Centered Care among Critical Care Nurses)

  • 최승혜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6-44
    • /
    • 2020
  • Purpose : The person-centered care is essential for better patient outco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o the person-centered care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 : This study was cross sectional survey, and the participants included 107 ICU nurses who provided a written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study. Using a structured survey, nurse's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person-centered care among ICU nurses were asses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test with SPSS 23.0 program. The factors affecting patient-centered care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ducation level, perceived caregivers need priority and compassion satisfaction were positive affecting factors to the person-centeredness of ICU nurses.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 compassion satisfaction was an affecting factor to the person-centered care, however compassion fatigue didn't affect to the person-centered care among ICU nurses. Therefore, the strategy enhancing compassion satisfaction among ICU nurses will be needed to increase person centered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