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필터링 기법

Search Result 147,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 Study on the technique of DEM Generation from LiDAR Data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DEM 생성 기법에 관한 연구)

  • Lee, Jeong-Ho;Yu, Ki-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2a
    • /
    • pp.125-131
    • /
    • 2004
  • LiDAR 데이터의 필터링은 원 데이터로부터 건물, 수목 등과 같은 비지면점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이러한 필터링을 통해 DEM을 생성할 수 있다. 대표적인 필터링 방법들로는 분산을 이용한 linear prediction 기법, 주변 점들과의 경사관계를 이용한 slope-based 기법, morphology 필터, local maxima 필터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존의 기법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필터링 기법들은 필터의 크기(윈도우의 크기)와 같은 인자를 대상 지역에 적합하게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주어야 한다. 더욱이 복잡한 지형, 지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자를 변형시켜줘야 하며 특히, 다양한 크기의 건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하여 적용하기 위해서는 가변적인 크기의 필터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건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하여 필터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고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연산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목이나 자동차 등과 같은 작은 개체의 제거를 위해 고정된 작은 크기의 윈도우를 가지는 모폴로지 필터를 우선 적용한다. 그 후 건물과 같은 큰 개체의 포인트는 이웃 포인트와의 고도차이를 이용하여 인식하고 이웃에 위치하는 지면 포인트로 대체하며, 갱신된 값이 바로 다음 연산에 반영 되도록 한다. 또한 상, 하, 좌, 우 네 방향에 대하여 라인별로 독립된 연산을 수행한 후에 이들을 비교함으로써 오차를 보정한다.

  • PDF

Pre-Filtering based Post-Load Shedding Method for Improving Spatial Queries Accuracy in GeoSensor Environment (GeoSensor 환경에서 공간 질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선-필터링을 이용한 후-부하제한 기법)

  • Kim, Ho;Baek, Sung-Ha;Lee, Dong-Wook;Kim, Gyoung-Bae;Bae, Hae-You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2 no.1
    • /
    • pp.18-27
    • /
    • 2010
  • In u-GIS environment, GeoSensor environment requires that dynamic data captured from various sensors and static information in terms of features in 2D or 3D are fused together. GeoSensors, the core of this environment, are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sporadically, and are collected in any size constantly. As a result, storage space could be exceeded because of restricted memory in DSMS. To solve this kind of problems, a lot of related studies are being researched actively. There are typically 3 different methods - Random Load Shedding, Semantic Load Shedding, and Sampling. Random Load Shedding chooses and deletes data in random. Semantic Load Shedding prioritizes data, then deletes it first which has lower priority. Sampling uses statistical operation, computes sampling rate, and sheds load. However, they are not high accuracy because traditional ones do not consider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Pre-Filtering based Post Load Shedding'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spatial query and to restrict load shedding in DSMS. This method, at first, limits unnecessarily increased loads in stream queue with 'Pre-Filtering'. And then, it processes 'Post-Load Shedding', considering data and spatial status to guarantee the accuracy of result. The suggested method effectively reduces the number of the performance of load shedding, and improves the accuracy of spatial query.

A High-dimensional Indexing Scheme using Cell-based Filtering Technique (셀 기반 필터링 방법을 이용한 고차원 색인 기법)

  • Jang, Jae-U;Han, Seong-Geun;Kim, Hyeon-Ji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8 no.2
    • /
    • pp.204-216
    • /
    • 2001
  • 최근 이미지 특징 벡터와 같은 고차원 벡터 데이터에 관한 색인 기법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색인 기법들은 저차원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검색 성능이 우수하지만, 차원이 증가함에 따라 검색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dimensional curse'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터링을 이용한 새로운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셀 기반 필터링 기법은 셀 중심에서 객체까지의 거리값을 저장하여 필터링 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고차원 공간을 셀 단위로 분할하며, 각각의 셀을 시그니쳐로 표현한다.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셀 기반 필터링 기법은 데이터 파일을 직접 접근하기 전에 전체 시그니쳐들을 탐색하여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후보 셀들을 얻는다. 성능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VA-파일보다 검색 시간에 있어서 약 20%의 성능 향상을 보인다.

  • PDF

A Study of Query Indexing Scheme for RFID Middleware (RFID 미들웨어를 위한 질의 색인 기법에 관한 연구)

  • Park, Jae-Kwan;Hong, Bong-He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155-160
    • /
    • 2005
  • 최근 이동체 또는 센서 데이터에 대한 연속 질의를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질의 색인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RFID 미들웨어는 이전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은 특징이 존재한다. 첫째, 질의 색인에 삽입되는 질의는 Industry, Product, Serial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각 값은 범위 값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색인 공간에서 비연속적인 간격의 조각들이 반복해서 나타난다. 둘째, TagID가 가지는 Industry, Product, Serial의 값은 포함관계를 가진다. 즉, 하나의 Industry에 여러 Product가 존재하며, 하나의 Product에 여러 Serial Item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지 못하는 기존의 질의 색인을 적용하면 다수의 질의 조각을 삽입하게 되어 색인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RFID 미들웨어의 실시간 필터링 및 컬렉션을 위해서 Tag 스트림에 대한 질의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이 논문은 ECSpec 필터링 범위의 3단계 계층구조 특징을 고려한 코드 분할(Code Segmented) 도메인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그리드 기반 색인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ECSpec의 필터링 패턴 특징에 의해 나타나는 질의 조각의 반복 현상을 정의하고 이를 위한 질의 처리 기법을 제시한다.

  • PDF

Range Query Processing using Space and Time Filtering in Fixed Grid Indexing (고정 그리드 인덱싱에서 공간과 시간 필터링을 이용한 범위 질의 처리)

  • Jeon, Se-Gil;Nah, Yun-Moo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4
    • /
    • pp.835-844
    • /
    • 2004
  • Recently, the location-based service for moving customers is becom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area. For moving object applications, there are lots of update operations and such update loads are concentrated on some particular area unevenly. Range queries, whose range can be window or circular, are the most essential query types in LBS. We need to distinguish completely contained cells from partially contained cells in those range queries. Al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emporal dimension to filter out qualifying objects correctly. In this paper, we adopt two-level index structures with fixed grid file structures in the second level, which are designed to minimize update operations. We propose a spatial ceil filtering method using VP filtering and a combined spatio-temporal filtering method using time gone concepts. Som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for various window queries and circular queries with different filtering combinations to show the performance tradeoffs of the proposed methods.

Proximate Word Filtering by Hierarchical Clustering (계층적 군집화를 이용한 근사 단어 필터링 기법)

  • Kim, Sung-Hwan;Cho, Hwan-Gu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101-1104
    • /
    • 2012
  • 단어 필터링은 유해정보를 차단위한 기본적인 기능이다. 그러나 악의적인 사용자는 필터링 시스템을 우회하기 위하여 금지 단어에 의도적인 변형을 가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일정 오류를 허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근사 단어 필터링이 있다. 근사 단어를 검색하기 위한 문자열 색인 방법으로는 주로 기준 단어(Pivot)을 이용한 유클리드 공간에의 사상을 이용하는데, 이는 단어 필터링에 응용하기에는 근본적인 구조상의 한계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필터링 대상이 되는 단어 집합 내에서 군집화를 수행하여 계층적인 자료구조를 구성하고, 단어 필터링을 위한 필터링 질의(Filtering query)를 정의한 뒤 그에 적합한 탐색 상의 적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험 결과 기존의 기준 단어(Pivot)을 이용한 색인 기법에 비하여 16.9%~26.6%의 탐색 속도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Spatial Filtering Characteristics on Rotation of Single Slit (단슬리트구조센서의 회전에 따른 필터링특성 연구)

  • Jun, Seung-Hwan;Moon, Ser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50-251
    • /
    • 2012
  • 여러 분야에서 공간적 물리량, 패턴 또는 분포 등의 공간정보를 공간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연구 개발되어 왔다. 공간필터링 또는 공간필터법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이 기법은 현재 직선 회전 군속도, 표면거칠기, 토석류속도, 형상, 결함 등 여러 계측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들 분야에 활용되는 공간필터는 복수개의 슬리트로 구성되며, 최상의 계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적하중함수를 설계하여 각각의 슬리트에 맞는 하중값을 적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계측계의 간략화를 구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기본이 되는 단슬리트의 구조 및 회전에 따른 필터링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armful Word Filtering System for Edu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on Web Board (인터넷 게시판에서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위한 유해단어 필터링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 Kim, Chi-Min;Kim, Eu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73-276
    • /
    • 2002
  • 사이버 공간은 개방성, 익명성, 탈중심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청소년들의 사이버 공간에서의 활동은 제공되는 정보를 단순하게 탐색하는 수동적 역할에 그치지 않는다. 청소년들은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거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도 동시에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스스로 유해한 정보를 생산하거나 게시판에서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행위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정보제공 활동 시점에 발생하고 있는 정보화 역기능 현상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인터넷 게시판에서 유해단어 필터링에 의한 정보윤리 교육 기법을 제안한다. 인터넷 게시판에서 유해단어 필터링 기법은 초 중등학교 홈페이지 게시판에서 나타나는 부적절한 행동과 상대방에 대한 성적 모욕, 욕설의 사용, 상대방 비하 등에 관련된 유해단어를 추출하여 유해단어 사전을 구축하고 필터링하는 방법이다. 필터링 된 결과에 따라 글 쓰는 시점에서 정보윤리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 기법을 학교 홈페이지 게시판에 적용한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학생들의 글쓰기 자세와 글 내용이 바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mproving Collaborative Filtering with Rating Prediction Based on Taste Space (협업 필터링 추천시스템에서의 취향 공간을 이용한 평가 예측 기법)

  • Lee, Hyung-Dong;Kim, Hyoung-Joo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4 no.5
    • /
    • pp.389-395
    • /
    • 2007
  • Collaborative filtering is a popular technique for information filtering to reduce information overload and widely used in application such as recommender system in the E-commerce domain.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s collect human ratings and provide Predictions based on the ratings of other people who share the same tastes. The quality of predictions depends on the number of items which are commonly rated by peopl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pply pure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directly to dynamic collections where items are constantly added or removed.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for managing dynamic collections. It creates taste space for items using a technique called Singular Vector Decomposition (SVD) and maintains clusters of core items on the space to estimate relevance of past and future items.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we divide database of user ratings into those of old and new items and analyze predicted ratings of the latter. And we experimentally show our method is efficiently applied to dynamic collections.

Filtering investigation for abstracting the road and seashore boundary using satellite images (위성영상으로 도로 및 해안 경계추출을 위한 필터링 기법 검토)

  • Choi Hyun;Kang In-Joon;Lee Byung-G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73-77
    • /
    • 2006
  • 제 3차 국가 GIS 기본 계획의 목적은 국가지리정보체계의 원활한 구축 및 지리정보 활용촉진으로 기존의 구가 GIS 구축의 양적 확산에서 질적 심화를 도모하고 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용하게 됨에 따라 지형자료의 더 정확한 경계검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로 경계 검출은 교통정보시스템을 포함한 도로계획, 도시계획 등의 GIS 응용을 위한 필수 연구로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IKONOS 영상에서 도로 경계 검출을 위한 고주파 와 저주파 필터링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분석결과 저주파 필터링과 고주파 필터링은 입력영상의 경계부분에서 영상을 선택적으로 강조할 수 있었다. 저주파 필터링과 같은 영상강화 기법에서는 추출 가능한 경계부의 위치를 변화시키거나 영상의 화소값이 전체영상을 대상으로 변화시켜 비교적 도로 폭이 넓은 경우 효과적이었다. 고주파 필터링은 세부적인 영상정보를 선택적으로 강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