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통합

Search Result 2,06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sign of Web Map Server for supporting Fusion Service (융합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 맵 서버의 설계)

  • Lee, Hye-Jin;Jun, Bong-Gi;Hong, Bong-He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6a
    • /
    • pp.109-122
    • /
    • 2000
  • 기존의 통합 시스템은 이미 구축된 자윈을 재활용하여 데이타의 구축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의도에서 연구되었다. 특히 GIS에서는 공간 데이타의 규모가 방대하므로 그 구축비용이 더욱 증가한다. 이로 인해 공간 데이타를 위한 통합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다. 최근 웹의 사용자 수와 그 응용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웹에서의 공간 데이타를 이용한 응용의 필요성이 승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웹 환경에서 분산된 공간 데이타의 통합 시스템이 요구된다. 기존의 미디에이터(Mediator)를 사용한 통합에 비하여 웹을 기반한 공간 데이타의 통합은 웹의 환경적 특성과 공간 데이타의 크기와 형태 등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OGC(OpenGIS Consortium)의 웹 매핑 기술인 WMT(Web Mapping Testbed)의 중첩 맵 서버 (Cascading Map Server)를 사용하여 공간 데이타를 통합한다. 통합 과정에서 요구되는 표준화된 데이타 모델과 인터페이스는 OGC가 최근 제안한 GML(Geography Markup Language)과 웹 맵 서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본 논문은 XML의 XLink와 XPointer의 개념을 가진 융합 서비스(Fusion Service)기법을 중첩 맵 서버에 도입한 융합 맵 서버(Fusion Map Server)를 제안한다. 이러한 통합 방식은 데이터 사이의 관계성을 고려한 링킹 기반 통합이므로 통합 응용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변환 등에서 생성되는 연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usability of Spatial Information in Urban Integration and Operation System in u-City (u-City 도시통합운영체계를 위한 공간정보 활용방안 연구)

  • Kim, Eun-Hyu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43-50
    • /
    • 2007
  • 최근 수요가 급증되고 있는 u-City의 경우 성공적인 구축을 위하여 도시통합운영센터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나아가 이를 보다 확장시킨 개념인 도시통합운영체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처럼 u-City의 핵심기반으로서 도시통합운영체계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효율적인 도시통합운영체계 구축을 위해선 공간정보 활용이 필요하다. 즉, 지자체에선 오래전부터 GIS 정보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공간정보를 구축 활용하고 있다. 효율적인 도시통합운영체계 구축을 위해선 공간정보의 활용은 필수적이며, 이는 u-City 추진의 핵심적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u-City 도시통합운영체계에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을 위해 u-City의 도시통합운영서비스와 관련하여 공간정보의 활용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patial Data Update Method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Map Management System (지하공간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공간 데이터 갱신 방법)

  • Lee, Bong-Jun;Kouh, Hoon-Joo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7
    • /
    • pp.57-64
    • /
    • 2022
  • There are various structures in the underground space, and the structures is managed as 3D data in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Map Management System(IUGMMS). The worker transmits and updates the integrated map including the changed underground geospatial data to IUGMMS with the completed book submission program.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ransmission time and the update time is delayed because the size of the integrated map file is large. In this paper, we try to extract and transmit only the changed integrated map by obtaining and comparing each spati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integrated map.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suggestion method is short and the update time is also short than the transitional method because the suggestion method transmits only the integrated map including the changed underground geospatial data.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delay time in transmitting and updating the changed integrated map.

A Study on Advanced Model for GIS Implementation in Local Governments (지차체 GIS 고도화 모델 연구)

  • Kim, Eun-Hyung;Park, Jun-Gu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87-94
    • /
    • 2007
  • 지자체 GIS 정보화가 확산되어감에 따라 구축된 공간정보의 활용확산, 타 정보와의 연계 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지자체 GIS 통합 연계는 지자체 정보화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지자체에서는 도로, 상하수도 등 공간정보 수요가 높은 업무 분야를 중심으로 지자체 GIS 통합연계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자체 지리정보 담당부서의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어 지자체 전 부서 대상의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선 지자체 내 전부서에서의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이 필요하다.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은 지자체 지리 정보 담당부서 중심의 통합연계에서 확대하여 지자체 전 부서 및 국가적 차원에서의 협력체계를 고려한 모델로서 지자체의 수평적 수직적 통합연계 모델이다.

  • PDF

A Method of Integrative Application of Various Spatial Data on GIS Contents Implementation (GIS 콘텐츠 구축에서의 다양한 공간자료의 통합적인 활용방안)

  • 연상호;홍일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144-150
    • /
    • 2004
  • GIS 콘텐츠의 가장 중요한 대상이 되는 지형 및 지리 공간정보는 다양한 자료의 수집과 변환에 의한 시스템 통합을 통하여 완성된다. 즉 다양한 공간자료의 통일된 표준화에 의해 통합을 이룰 수 있으므로, 그 내용과 형태가 서로 다른 공간정보는 처음 수집된 상태에서 여러 변환 과정을 통해 다른 형태와 영상으로 새롭게 생성되어 통합을 이루는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댐의 건설로 인하여 수몰된 지역의 과거의 지공간의 정보원 찾아 현실세계와 비교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영상복원을 하는데 이용된 여러 가지의 지공간 자료의 처리과정을 통하여 일반 사진부터 디지털 위성영상자료, 수몰 직전에 제작된 지형도, 마을 사진 등을 통합과정 을 통하여 수몰 이전의 GIS콘텐츠의 공간정보의 통합에 의한 활용 기법을 확인하였다.

  • PDF

국가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의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 Seo, Yong Won;Jin, Hui Chae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9 no.12
    • /
    • pp.50-50
    • /
    • 2002
  • 최근 GIS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정보 기술을 활용한 지리공간정보의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ㆍ정보통신부 등 관련 부처별로 국가 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상 지리공간정보의 특성에 따라 집중형 및 분산형의 공간정보유통체계가 개별적으로 구축되어 있어 유통체계의 혼란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형 및 분산형 유통체계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유통체계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의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용원;진희채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9 no.12
    • /
    • pp.1454-1463
    • /
    • 2002
  • 최근 GIS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정보 기술을 활용한 지리공간 정보의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ㆍ정보통신부 등 관련 부처별로 국가 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상 지리공간정보의 특성에 따라 집중형 및 분산형의 공간정보유통체계가 개별적으로 구축되어 있어 유통체계의 혼란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형 및 분산형 유통체계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유통체계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Unified Motion and Force Control of JS-10 Robot Manipulator Based on Operational Space and 3D CAD (작업공간과 3D CAD를 기반으로 하는 JS-10 매니플레이터의 운동과 힘의 통합제어)

  • Ahn, D.S.;Nguyen, Van Phuc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6 no.3
    • /
    • pp.57-63
    • /
    • 2012
  • 본 논문은 작업공간상에서 로봇 운동과 힘의 통합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의 구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조립 또는 디버링 같은 접촉작업에서의 매니플레이터 효율성 제고나 친 인간 환경에서의 휴머노이드 로봇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종래의 PID 제어나 관절공간상에서의 CTM(Computed Torque Method) 제어보다는 작업공간상에서의 운동과 힘의 통합제어를 실시해야 한다. 이것을 위해서는 작업공간상에서의 엔드이펙트(end-effector, E-E)에 대한 동역학식과 자코비안(jacobian)을 도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종 동적파라미터의 정확한 동정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D CAD 모델링, MATLAB, 동역학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로봇 모델링, 동역학식과 동적 파라미터 추출, 운동과 힘의 실시간 통합제어 시뮬레이션등을 쉽고 일관되게 진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현하였고 적용예로써 JS-10로봇을 택해서 그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A Study on Establishing the Under Space Integrated Map for Safety Management of Harbor Structures (항만구조물 안전관리를 위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방안 연구)

  • Park, Dong-Hyun;Jang, Y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9-140
    • /
    • 2016
  • 최근 대도심지를 중심으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지반침하, 지반함몰, 도로붕괴 등의 지하안전사고로 인해 정부는 지하안전 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국토교통부는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본사업에 박차를 가하여 지하공간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에서 구축계획하고 있는 지하공간통합지도는 서울, 부산, 대전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하고 있어, 태풍, 집중호우 등에 의한 지반침하 및 함몰 등의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항만구조물을 관리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만구조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Integrated Urban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 플랫폼 개발 전략 연구)

  • Hong, Sa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119-126
    • /
    • 2008
  •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도시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 특히 지상 및 지하시설물 관리에 필요한 센서 및 미들웨어 기술, 유무선 네트워크, GIS-USN 연계 등의 요소기술이 집적된 지능형 도시운영 기반환경으로 정의된다.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상수도, 하수도, 가스, 난방, 송유, 전력, 통신의 7대 지하시설물과 교량, 육교, 터널 등 도시 지상시설물 등 도로기반시설물 관리를 지능화 할 수 있는 기반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 개발을 위해 플랫폼의 비전을 설정하고 개방형 분산처리 레퍼런스 모델(RM-ODP, Reference Model for Open Distributed Processing)의 적용을 통해 개발전략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