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질의처리

Search Result 60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K-Nearest Neighbour Search Algorithm based on Hilbert Curve for Outsourced Spatial Database (아웃소싱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힐버트 커브 기반 k-최근접점 질의처리 알고리즘)

  • Yoo, Hye-Kyeom;Cha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199-1202
    • /
    • 2011
  •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이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데이터 소유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그대로 아웃소싱 할 경우, 서비스 제공자는 이를 불법으로 취득하여 악용할 수 있고, 질의 요청자들의 통계 정보를 통해 개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아웃소싱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 및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보호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기법 및 변환된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질의를 처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아웃소싱 환경에서 공간 네트워크를 고려한 가공 데이터 생성 기법 및 암호화 기법을 설계한다. 아울러, 인증된 사용자가 질의 요청 시, 서비스 제공자가 저장한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k-최근접점 질의를 수행하기 위한 힐버트 커브 기반 k-최근접점 질의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Extended R-tree Spatial Indexing Methods with DTVF (DTVF를 갖는 확장 R-tree 공간 색인 기법)

  • 정원일;정보흥;박동선;김재홍;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228-230
    • /
    • 1999
  • 공간 인덱스를 이용한 공간 질의 처리의 과정은 여과와 정제 단계로 이뤄진다. 여과 단계에서 후보 객체의 수를 줄이며, 정제 단계에서의 false-hit이 낮아지므로 불필요한 디스크 접근과 공간연산으로 인한 질의 처리 비용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과 단계에서 후보 객체를 최소화하기 위해 DTVF가 추가된 확장 R-tree를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n차원 상에 존재하는 공간 객체의 대표 정점들을 구석점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2n차원의 점으로 변환하고, 이 값을 확장된 R-tree라는 리프 노드의 DTVF에 유지한다. 공간 질의 처리시 여과 단계에서 DTVF를 이용하면 후보 객체 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DTVF에 유지된 차원 변환된 값을 통해 후보 객체 선정에도 빠른 성능을 나타낸다. 제안된 기법은 공간 질의 처리시 여과 효율을 극대화하여 질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킨다.

  • PDF

A Parallel Processing Method for Partial Nodes in R*-tree Using GPU (GPU를 활용한 R*-tree에서의 부분 노드 병렬 처리 방법)

  • Kim, Seong;Oh, Byoung-Wo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6
    • /
    • pp.139-144
    • /
    • 2012
  • The R*-tree manages hierarchical nodes for efficient access of spatial data. We propose a method that maintains partial nodes of R*-tree in the GPU memory to improve efficiency using parallel processing. The proposed method attempts to load as many nodes as possible to the GPU memory. The new nodes are inserted to manage the rest of R*-tree nodes in the main memory.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efficient than the main memory based R*-tree.

The Spatial View Creation and Materialization Technique in Multi-Server Environments (멀티서버 환경에서의 공간 뷰 생성 및 실체화 기법)

  • 김태연;정보홍;조숙경;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12-114
    • /
    • 2001
  • 지금까지 구축 된 공간 데이터들을 각 서버끼리 공유하여 유사한 내용의 공간정보구축을 위만 중복투자를 막고 공간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이 시급하다. 멀티서버 환경에서의 공간데이터의 공유는 데이터의 보안과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뷰로 제공되고 관리되어질 수 있다. 분산 된 대용량의 공간데이터에 대해 복잡한 공간연산 처리를 감안한다면 멀티서버 환경에서는 공간 뷰의 실체화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서버 환경에서의 공간데이터의 유통을 지원하고 공유 된 공간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과 네트웍 부하를 고려한 공간 뷰 실체화 기법을 제안한다. 확장 된 공간데이터 디렉토리 서비스(Extended Spatial Data Diretory Service)를 이용하여 각 서버가 공유하는 공간테이블에 대란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 된 징보를 바탕으로 로컬서버는 각 서버에에 직접 접속하여 필요한 영역의 데이터를 얻어 뷰를 생성한다. 이때 공유 공간데이터가 대용량 데이터임을 고려하여 로컬서버는 공간 뷰 성의에 대한 술어를 분리하여 뷰 질의 처리를 각각의 원격서버로 분산시켜 네트웍 부하와 서버의 질의처리 비용을 줄이고 공간 뷰 서버에 실제화 시킴으로써 뷰에 대한 질의처리시 각 서버로의 접근을 데비터의 접근을 줄여 사용자 응-답시간을 최소화한다.

  • PDF

Effective Spatial Partitioning Technique for Query Result Size Estimation (질의 결과 크기 추정을 위한 효과적인 공간 분할 기법)

  • 김현국;김학자;황환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55-57
    • /
    • 2002
  •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규모는 매우 방대하여 질의 처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위해서는 질의 수행 결과의 예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실제 공간 데이터의 특성을 근접하게 나타내는 요약 데이터를 생성하여 그 결과를 통해 질의 결과의 크기를 추정하게 된다. 기존의 공간 데이터 요약 기법으로는 면적 균등 분할 기법, 개수 균등 분할 기법, 인덱스 분활 기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다양한 분말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힐버트 공간 재움 곡선 방법에 개수 균등 분말 기법을 적용시킨 새로운 공간 분할 방법을 제안하여 기존의 방법과 새로운 방법의 성능을 비교한다.

  • PDF

Power-Aware Query Processing Using Optimized Distributed R-tree i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최적화된 분산 R-tree를 이용한 에너지 인식 질의 처리 방법)

  • Pandey Suraj;Eo Sang-Hun;Kim Ho-Seok;Bae Hae-Yo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3D no.1 s.104
    • /
    • pp.23-28
    • /
    • 2006
  • In this paper, a power-aware query processing using optimized distributed R-tree in a sensor network is proposed. The proposed technique is a new approach for processing range queries that uses spatial indexing. Range queries are most often encountered under sensor networks for computing aggregation values. The previous work just addressed the importance but didn't provide any efficient technique for processing range queries. A query processing scheme is thus designed for efficiently processing them. Each node in the sensor network has the MBR of the region where its children nodes and the node itself are located. The range query is evaluated over the region which intersects the geographic location of sensors. It ensures the maximum power savings by avoiding the communication of nodes not participating over the evaluation of the query.

The Design of Spatial Query Optimization Technique using Horizontal Splitting of CNF (CNF의 수평적 분리를 이용한 공간 질의 최적화 기법의 제안)

  • 이환재;정보흥;조숙경;이순조;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229-231
    • /
    • 2001
  •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의 질의처리 과정 중 질의 재작성 과정에 의해 다중 블록 질의가 단일 블록으로 변환되면 공간 서술자와 비공간 서술자가 OR와 AND에 의해 연결되어있는 복잡한 CNF가 생성된다. CNF 내의 공간 서술자는 공간연산의 정제단계의 수행 비용이 비공간 연산에 비해 상당히 많이 들기 때문에 비공간 서술자와는 다른 최적화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서술자가 포함된 복잡한 CNF를 수평적으로 분리하여 질의를 재작성하고 수행순서를 재조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원시 CNF를 수행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전처리 단계의 CNF와 이에 비해 수행비용이 많이 드는 후처리 단계의 CNF로 분리하고 질의를 재작성 한 후 비용 모델에 의거해서 실행 트리를 최적화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기법은 질의 최적화 단계에서 공간연산의 단계별 실행특성을 감안한 효율적인 실행 계획 생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PDF

An Efficient Spatial Data Transformation Method Using Caching on S-XML Middleware (S-XML 미들웨어에서 캐싱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간 데이터 변환 기법)

  • Lee, Dong-Wook;Jang, Yong-Il;Park, Soon-Young;Oh, Young-Hwan;Bae, H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47-5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S-XML 미들웨어에서 캐싱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간 데이터 변환 기법을 제안한다.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SDBMS)을 기반으로 하여 S-XML 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SDBMS 에서 사용되는 이진 데이터와 S-XML 간의 상호 변환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변환 과정에서 공간 데이터는 비공간 데이터에 비해 데이터 크기가 크고, 복잡한 동시에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가지고 있어 비공간 데이터에 비해 변환 비용이 크다. 따라서 공간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한 변환 비용 감소 기법이 필요하다. 제안 기법은 SDBMS 의 질의 처리 결과인 이진 데이터를 S-XML 문서로 변환하고, S-XML 미들웨어의 캐싱 관리자에서 공간 데이터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캐싱 한다. 캐싱 관리자는 질의를 점 질의와 영역 질의로 구분한다. 점 질의의 결과에 대해서는 공간 데이터의 OID 를 키 값으로 하는 해쉬 색인을 사용하며, 영역 질의 결과에 대해서는 질의에서 표현된 MBR 에 따라 R-Tree 색인을 사용한다. 변환 과정에서 요구되는 공간 데이터가 캐싱된 데이터로 존재하면 질의 종류에 따른 색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S-XML 데이터로 치환한다. 캐싱 데이터를 이용한 공간 데이터 변환 기법에 의해 공간 데이터의 변환 비용을 줄임으로써 S-XML 미들웨어 에서의 변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 PDF

A Physical Database Design Method for Access Structures of Spatial Database Systems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위한 액세스 구조의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기법)

  • Lee, Jong-Hak;Park, Byeong-Gwo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9D no.2
    • /
    • pp.203-214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physical database design methodology for spatial access structures using transformation techniques in spatial database systems. Recently, many spatial access structures have been proposed in the literature. However, there has been no effort for their physical database design. We first show that most spatial queries in the original space are transformed into one type of range queries in the transform space, and then propose a method for finding the optimal configuration of spatial access structures by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s of query regions, that are correspond to the range queries, and page regions, that are correspond to data pages, in the transform space. For performance evaluation, we perform extensive experiments with the MBR-MLGF, a spatial access structure using transformation techniques, using various types of queries and data distribu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our proposed method builds optimal MBR-MLGF according to the query types. When the interval ratio of a transformed four-dimensional query region is 1 : 16 : 256 : 4096,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enhanced by as much as five times over that of the conventional cyclic splitting method. The result confirms that the proposed physical database design methodology is useful in a practical way.

Spatial Big Data Query Processing System Supporting SQL-based Query Language in Hadoop (Hadoop에서 SQL 기반 질의언어를 지원하는 공간 빅데이터 질의처리 시스템)

  • Joo, In-Hak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0 no.1
    • /
    • pp.1-8
    • /
    • 2017
  • In this paper we present a spatial big data query processing system that can store spatial data in Hadoop and query the data with SQL-based query language. The system stores large-scale spatial data in HDFS-based storage system, and supports spatial queries expressed in SQL-based query language extended for spatial data processing. It supports standard spatial data types and functions defined in OGC simple feature model in the query language.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core functions of the system including query language parsing, query validation, query planning, and connection with storage system. We compares th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system with an existing system, and our experiments show that the system shows about 58% performance improvement of query execution time over the existing system when executing region query for spatial data stored in Hado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