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존재감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Joseon Confucian Ruling Class's Records and Visual Media of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during the Fif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조선 15~17세기 수륙재(水陸齋)에 대한 유신(儒臣)의 기록과 시각 매체)

  • Jeong, Myounghee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1
    • /
    • pp.184-203
    • /
    • 2020
  • The Confucian ruling class of the Joseon Dynasty regarded Buddhist rituals as "dangerous festivals." However, these Buddhist ceremonies facilitated transitions between phases of life from birth till death and strengthened communal unity through their joint practice of the rites. Ritual spaces were decorated with various utensils and objects that transformed them into wondrous arenas. Of these ornaments, Buddhist paintings served as the most effective visual medium for educating the common people. As an example, a painting of the Ten Kings of the Underworld (siwangdo) could be hung as a means to illustrate the Buddhist view of the afterlife, embedded in images not only inside a Buddhist temple hall, but in any space where a Buddhist ritual was being held. Demand for Buddhist paintings rose considerably with their use in ritual spaces. Nectar ritual paintings (gamnodo), including scenes of appeasement rites for the souls of the deceased, emphasized depictions of royal family members and their royal relatives. In Chinese paintings of the water and land ceremony (suryukjae), these figures referred to one of several sacred groups who invited deities to a ritual. However, in Korean paintings of a nectar ritual, the iconography symbolized the patronage of the royal court and underlined the historicity and tradition of nationally conducted water and land ceremonies. This royal patronage implied the social and governmental sanction of Buddhist rituals. By including depictions of royal family members and their royal relatives, Joseon Buddhist paintings highlighted this approval. The Joseon ruling class outwardly feared that Buddhist rituals might undermine observance of Confucian proprieties and lead to a corruption of public morals, since monks and laymen, men and women, and people of all ranks mingled within the ritual spaces. The concern of the ruling class wa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nature of festivals, which involved deviation from the routines of daily life and violation of taboos. Since visual media such as paintings were considered to hold a special power, some members of the ruling class attempted to exploit this power, while others were apprehensive of the risks they entailed. According to Joseon wangjo sillok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Joseon royal court burned Buddhist paintings and ordered the arrest of those who created them, while emphasizing their dangers. It further announced that so many citizens were gathering in Buddhist ritual spaces that the capital city was being left vacant. However, this record also paradoxically suggests that Buddhist rituals were widely considered festivals that people should participate in. Buddhist rituals could not be easily suppressed since they performed important religious functions reflecting the phases of the human life cycle, and had no available Confucian replacements. Their festive nature, unifying communities, expanded significantly at the time. The nectar ritual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period realistically delineated nectar rituals and depicted the troops of traveling actors and performers that began to emerge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Such Buddhist rituals for consoling souls who encountered an unfortunate death were held annually and evolved into festivals during which the Joseon people relieved their everyday fatigue and refreshed themselves. The process of adopting Buddhist rituals-regarded as "dangerous festivals" due to political suppression of Buddhism in the Confucian nation-as seasonal customs and communal feasts is well reflected in the changes made in Buddhist paintings.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환경오염의 세계적인 경향)

  • 송인현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2.03a
    • /
    • pp.3.4-5
    • /
    • 1972
  • 생활수준이 낮은 단계에 있어서는 우선 식량에 대한 수요가 강하다. 인간의 욕구가 만족스럽게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제일 강하게 발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점차 과학기술과 산업과 경제가 발전하여 성장과정에 오르게 되고 소득수준도 향상하게 되면 시장기구를 통해서 구입 할 수 있는 개인의 물적 소비재에 대해서는 점차 충족하게 되며 식량이외에도 의복, 전기기구 및 일용생활용품, 자동차 등에 이르기까지 더욱 고차원의 소비재가 보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며는 사람의 욕구는 사적 재물이나 물적 수요에서 점진적으로 공공재나 또는 질적 수요(주택, 생활환경 등)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써 여기에 환경오염 또는 공해문제에 대하여 의식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욱이 문제점이 되는 것은 소득 수준의 향상 과정이란 그 자체가 환경오염의 커다란 요인이라는 점이며 자동차의 급격한 보급과 생활의 편의성을 구하여 집중되는 도시인구의 집적, 높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생산성 높은 중화학공업의 발전 등등은 그 자체가 환경권이란 사람이 요구하는 고차원의 권리를 침해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나 공해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논의는 이미 시작된 지 오래이지만 현재는 우리의 건강보호를 위해서나 생활환경의 보전을 위해서라는 점에서는 그치는 것이 아니고, 더욱 넓혀서 자연의 보호, 자원의 보호라는 견지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확대된 이해와 이에 대한 대책강구의 제안은 1968년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에서 스웨덴 정부대표에 의하여 제시되었으며 1969년의 우- 탄트 사무총장의 인간환경에 관한 보고서, 1970년 Nixon 미대통령의 연두일반교서 그리고 1972년 5월 6일 스웨덴의 스톡홀롬에서 개최되는 인간환경회의의 주제 등을 통해서 알 수 있고, 종래의 공해나 생활환경의 오염문제라는 좁은 개념에서가 아니고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 다루고 있는 것이다. 즉 환경개발(도시, 산업, 지역개발에 수반된 문제), 환경오염(인위적 행위에 의하여 환경의 대인간조건이 악화하는 문제) 자연ㆍ자원의 보호관리(지하, 해양자원, 동식물, 풍경경치의 문제)란 3개 측면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다. 환경오염이란 문제를 중 심하여 보면 환경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대기, 물, 토지 또는 지각. 그리고 공간의 사대요소로 집약하여 생각할 수 있음으로 이 4요소의 오염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대기의 오염은 환경의 오염중 가장 널리 알려진, 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오염의 문제로써 이에 속하는 오염인자는 분진, 매연, 유해가스(유황산화물, 불화수소, 염화수소, 질소산화물, 일산 화염소 등) 등 대기의 1차 오염과 1차 존재한 물질이 자외선의 작용으로 변화발생 하는 오존, PAN등 광화학물질이 형성되는 2차적인 오염을 들 수 있다. 기외 카도미움, 연등 유해중금속이나 방사선물질이 대기로부터 토지를 오염시켜서 토지에 서식하는 생물의 오염을 야기케 한다는 점등이 명백하여지고 있으며 대기의 오염은 이런 오염물질이 대기중에서 이동하여 강우에 의한 침강물질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소위 광역오염문제를 발생케하며 동시에 토지의 토질저하등을 가져오게 한다. 물의 오염은 크게 내육수의 오염과 해양의 오염의 양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하천을 보호하기 위한 움직임 역시 환경오염의 역사상 오래된 문제이며 시초에는 인분뇨와의 연결에서 오는 세균에 의한 오염이나 양수 기타 일반하수와의 연결에서 오는 오염에 대비하는 것부터 시작하였지만 근래에는 산업공장폐수에 의한 각종 화학적유해물질과 염료 그리고 석유화학의 발달에 의한 폐유등으로 인한 수질오탁문제가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것은 측 오염이란 시초에 우리에게 주는 불쾌감이 크므로 이것을 피하자는 것부터 시작하여 인간의 건강을 지키고 각종 사용수를 보존하자는 용수보존으로 그리고 이제는 건강과 용수보존뿐만 아니라 이것이 농림 수산물에 대한 큰 피해를 주게됨으로써 오는 자연환경의 생태계보전의 문제로 확대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간 특히 해양오염에 대한 문제는 국지적인 것에만 끝이는 것이 아니고 전세계의 해양에 곧 연결되는 것이므로 세계각국의 공통관심사로 등장케 되었으며 이것은 특히 폐유가 유류수송 도중에 해양에 투기되는 유류에 의한 해양의 유막성형에서 오는 기상의 변화와 물피해등이 막심함으로 심각화 되고 있다. 각국이 자국의 해안과 해양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치를 서두르고 있는 현시점에서 볼 때에는 이는 국제문제화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국제적 협력과 협조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좋은 예라 하겠다. 토양의 오염에 있어서는 대기나 수질의 오염이 구국적으로 토양과 관련되고 토양으로 환원되는 것이지만 근래에 많이 보급사용되는 농약과 화학비료의 문제는 토양자체의 오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농작물을 식품으로 하여 섭취함으로써 발생되는 인체나 기타생물체의 피해를 고려할 때 더욱 중요한 것이며, 또 토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하여 농림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다. 지반강하는 지각 에 주는 인공적 영향의 대표적인 것으로써 지하수나 지하 천연가스를 채취이용하기 위하여 파들어 감으로써 지반이 침하 하는 것이며 건축물에 대한 영향 특히 풍수해시의 재해를 크게 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공간에 있어서의 환경오염에는 소음, 진동, 광선, 악취 등이 있다. 이들은 특수한 작업환경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강에 직접적인 큰 피해를 준다고 생각할 수 없으나 소음, 진동, 관선, 악취 등은 일반 일상시민생활에 불쾌나 불안을 줌으로써 안정된 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공간의 오염물로써 새로운 주목을 끌게된 것은 도시산업폐기물로써 이들은 대기나 물 또는 토지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공간을 점령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이나 기능을 손상케 하는 것이다. 즉 노배폐차의 잔해, 냉장고등고형폐기물등의 재생불가능한 것이나 비니루등 합성물질로 된 용기나 포장 등으로 연소분해 되지 않은 내구소비재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maker의 양식에 호소하여 그 책임 하에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본다. 이렇듯 환경오염은 각양각색으로 그 오염물질의 주요 발생원인 산업장이나 기타 기관에서의 발생요인을 살펴보며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A. 제도적 요인 1. 관리체재의 미비 2. 관리법규의 미비 3. 책임소재의 불명확 B. 자재적 요인 1. 사용자재의 선택부적 2. 개량대책급 연구의 미흡 C. 기술적 요인 1. 시설의 설계불량, 공정의 결함 2. 시설의 점검, 보전의 불충분 3. 도출물의 취급에 대한 검사부족 4. 발생방지 시설의 미설치, 결함 D. 교육적 요인 1. 오염물질 방제지식의 결여 2. 법규의 오해, 미숙지 E. 경제적 요인 1. 자금부족 2. 융자상의 문제 3. 경제성의 문제 F. 정신적 요인 1. 사회적 도의심의 결여(이기주의) 2. 태만 3. 무지, 무관심 등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방지란 상기한 문제의 해결에 기대하지 않을 수 없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국내적 국제적 상호협조에 의한 사회각층의 총력적 대책이 시급한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단속된다 하며는 미구에 인류의 건강은 물론 그 존립마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며, 현재는 점진적으로 급성피해에 대하여는 그 흥미가 집중되어 그 대비책도 많이 논의되고 있지만 미량의 단속접촉에 의한 만성축적에 관한 문제나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앞으로 태어날 신생률에 대한 영향이나 유전정보에 관한 연구는 장차에 대비하는 문제로써 중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기외에 우려되는 점은 오염방지책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올 수 있는 파생적인 문제이다. 즉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산기업체가 투자를 하게 되며는 그만큼 생산원가가 상승할 것이며 소비가격도 오를 것이다. 반면 이런 시책에 뒤떨어진 후진국의 값싼 생산국은 자연 수입이 억제 당할 것이며, 이렇게되면 후진국은 무역경쟁에서 큰 상처를 입게될 것이고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 필요한 오염물질의 발생이 높은 생산기기를 자연후진국에 양도하게 될 것임으로 후진국의 환경오염은 배가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 해양오염을 방지할 목적에서와 같이 자국의 해안보호를 위하여 마련된 법의 규제는 타국의 선박운항에 많은 제약을 가하게 될 것이며 이것 역시 시설이 미약한 약소후진국의 선박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으로 교통, 해운, 무역등을 통한 약소후진국의 경제성장에 제동을 거는 것이 될 것이다. 이렇듯 환경오염의 문제는 환경자체에 대해서만 아니라 부산물적으로 특히 후진국에는 의외 문제를 던져주게 되는 것임으로 환경오염에 대해서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써 Nixon 대통령이 말한 결의와 창의와 그리고 자금을 가지고 과감하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Property Change of Auto Body Color Design (자동차 바디컬러 디자인의 속성 변화에 관한 연구)

  • Cho, Kyung-Sil;Lee, Myung-Ki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1 s.63
    • /
    • pp.253-262
    • /
    • 2006
  • Research of color has been developed and also has raised consumer desire through changing from a tool to pursue curiosity or beauty to a tool creating effects in the 20th century. People have been interested in colors as a dynamic expression of results since the color TV appeared. The meaning of colors has been recently diversified as the roles of colors became important to the emotional aspects of design. While auto colors have developed along with such changes of the times, black led the color tren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from 1900 to 1950, a transitional period of economic growth and world war. Since then, automobile production has increased apace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throughout the world and automobiles became the most expensive item out of the goods that people use. Accordingly, increasing production induced facility investment in mass production and a technology leveling was achieved. Auto manufacturing processes are very complicated, auto makers gradually recognized that software changes such as to colors or materials was an easier way for the improvement of brand identity as opposed to hardware changes such as the mechanical or design components of the body. Color planning and development systems were segmented in various aspects. In the segmentation issue, pigment technology and painting methods are important elements that have an influence on body colors and have a higher technical correlation with colors than in other industries. In other words, the advanced mixture of pigments is creating new body colors that have not existed previously. This diversifies the painting structure and methods and so maximizes the transparency and depth of body colors. Thus, body color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echnical factors will increase in the future and research on color preferences by region have been systemized to cope with global competition due to the expansion and change of auto export regions.

  • PDF

A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Kokdugaksinorum' (<꼭두각시놀음>의 현재화 방안 연구 - 극단 '사니너머'의 <돌아온 박첨지 시즌2>를 중심으로 -)

  • Choe, Yunyoung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32
    • /
    • pp.71-106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work of the traditional theater around 'Back Parkcheomji(season2)' of theatre troupe 'Saninomou'. 'Back Parkcheomji(season2)' has proved that it is possible modernization while at the same time preserving the traditional theater. As a result, 'Back Parkcheomji(season2)' regained the spirit of contemporary social criticism and reality inherent in Kokdugaksinorum. The performance are beyond the traditional production method, which has created a new performance aspects. 'Back Parkcheomji(season2)' has created the puppets like this 'Kimga' 'Seweolho' 'Ryukbang' 'Chourani'. Traditional and creative dolls has criticized our modern society at the same stage. On the other hand, plays such as tightrope, Pungmul, Burna confirmed the spirit of Namsadangpae, and gave a dramatic fun. 'Back Parkcheomji(season2)' has dual stage. The dual stage will produce a magnificent spectacle, and has provided a variety of attractions. 'Back Parkcheomji(season2)' re-created the traditional theater of Namsadangpae in vivid contemporary version. The performance has made the opportunity to think again about the value of classical and allowed to recognize the new phase of classical theater.

From Frankenstein to Torture Porn -Monstrous Technology and the Horror Film (프랑켄슈타인에서 고문 포르노까지 -괴물화하는 테크놀로지와 호러영화)

  • Chung, Young-Kwon
    • Journal of Popular Narrative
    • /
    • v.26 no.1
    • /
    • pp.243-277
    • /
    • 2020
  • This paper examines a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f horror films through the keyword "technology", focusing on The Spark of Fear: Technology, Society and the Horror Film (2015) written by Brian N. Duchaney. Science fiction film is closely connected with technology in film genres. On the other hand, horror films have been explained in terms of nature/supernatural. In this regard, The Spark of Fear, which accounts for horror film history as (re)actions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remarkable. Early horror films which were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gothic novels reflected the fear of technology that had been caused by industrial capitalism. For example, in the film Frankenstein (1931), an angry crowd of people lynch the "monster", the creature of technology. This is the action which is aroused by the fear of technology. Furthermore, this mob behavior is suggestive of an uprising of people who have been alienated by industrial capitalism during the Great Depression. In science fiction horror films, which appeared in the post-war boom, the "other" that manifests as aliens is the entity that destroys the value of prosperity during post-war America. While this prosper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the middle class in accordance with the suburbanization, the people live conformist lives under the mantle of technologies such as the TV, refrigerator, etc. In the age of the Vietnam War, horror films demonize children, the counter-culture generation against a backdrop of the house that is the place of isolation and confinement. In this place, horror arises from the absolute absence of technology. While media such as videos, internet, and smartphones have reinforced interconnectedness with the outside world since the 1980s, it became another outside influence that we cannot control. "Found-footage" and "torture porn" which were rife in post-9/11 horror films show that the technologies of voyeurism/surveillance and exposure/exhibitionism are near to saturation. In this way, The Spark of Fear provides an opportune insight into the present day in which the expectation and fear of the progress of technology are increasingly becoming inseparable from our daily lives.

The Status of North Korean Airspace after Reunification (북한 공역의 통일 후 지위)

  • Kwon, Chang-Young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2 no.1
    • /
    • pp.287-325
    • /
    • 2017
  •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aerospace,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the 20th century, the sky is very important for the nation's existence and prosperity. The proverb "Whosoever commands the space commands the world itself!" emphasizes the need for the command of the air. This essay is the first study on the status of airspace after reunification. First, the territorial airspace is over the territory and territorial sea, and its horizontal extent is determined by the territorial boundary lines. Acceptance of the present order is most reasonable, rather than attempting to reconfigure through historical truths about border issues, and it could be supported by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reunification period. For peace in Northeast Asia, the reunified Korea needs to respect the existing border agreement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or Russia. However, the North Korean straight baselines established in the East Sea and the Yellow Sea should be discarded because they are not available under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t is desirable for the reunified Korea to redefine the straight baselines that comply with international law and determine the territorial waters up to and including the 12-nautical mile outside it. Second, the Flight Information Region (hereinafter "FIR") is a region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hereinafter "ICAO")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afe and efficient flight of aircraft and the search and rescue of aircraft. At present, Korea is divided into Incheon FIR which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South Korea and Pyongyang FIR which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North Korea. If North Korea can not temporarily exercise control of Pyongyang FIR due to a sudden change of circumstances, it is desirable for South Korea to exercise control of Pyongyang FIR, and if it is unavoidable, ICAO should temporarily exercise it. In reunified Korea, it is desirable to abolish Pyongyang FIR and integrate it into Incheon FIR with the approval of ICAO, considering systematic management and control of FIR, establishment of route, and efficiency of management. Third, the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hereinafter "ADIZ") is a zone that requires easy identification, positioning, and control of aircraft for national security purposes, and is set up unilaterally by the country concerned. The US unilaterally established the Korea Air Defense Identification Area (KADIZ) by the Declaration of Commitment on March 22, 1951. The Ministry of Defense proclaimed a new KADIZ which extended to the area including IEODO on December 13, 2013. At present, North Korea's military warning zone is set only at maritime boundaries such as the East Sea and the Yellow Sea. But in view of its lack of function as ADIZ in relations with China and Russia, the reunified Korea has no obligation to succeed it. Since the depth of the Korean peninsula is short, it is necessary to set ADIZ boundary on the outskirts of the territorial airspace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ADIZ. Therefore, KADIZ of the reunified Korea should be newly established by the boundary line that coincides with the Incheon FIR of the reunified Korea. However, if there is no buffer zone overlapping with or adjacent to the ADIZs of neighboring countries, military tensions may rise. Therefore, through bilateral negotiations for peace in Northeast Asia, a buffer zone is established between adjacent ADIZ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