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자료 구조

Search Result 1,09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Air Environment Index and Urban Spatial Structure: Based On Land Use and Traffic Data In Seoul (대기오염지수와 도시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토지이용과 교통자료를 바탕으로)

  • Lee, Won-Do;Won, Jong-Seo;Joh, Chang-Hye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2
    • /
    • pp.143-156
    • /
    • 2011
  • Recently, the environmental problems become a serious social issue, there are many efforts to manage it efficiently. As one of the ways to measure the environment in quantitative index,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are used in decision-making process. Air Environmental Index(AEI), which is derived from the U.S. Air Quality Index(AQI), illustrat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study as follows: to find the charateristics of administrative dongs in Seoul,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land-use patterns and daily traffic data that represent AEI and urban spatial structure of Seoul.

  • PDF

Analysis of Rainfall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Using Minutely Data (분단위 자료를 이용한 강우의 공간상관구조 분석)

  • Yoo, Chul-Sang;Park, Chang-Yeol;Kim, Kyoung-Jun;Jun, Ky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6
    • /
    • pp.113-120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orrelograms of minutely rainfall data with respect to various accumulation times. A bivariate mixed lognormal distribution was applied for rainfall modelling. A total of 26 minutely rainfall data sets from rain gauge stations in the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were analyzed, also repeated for several storm types like Jang-Ma, typhoon and convective storms for their comparison. The accumulation times 1, 2, 3, 5, 10, 30 and 60 minute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inutely rainfall data available was not good enough for estimating minutely rainfall intensity at ungaged locations. It seems more practical to use the hourly rainfall data with much higher rain gauge density, if proper methods for interpolation and data dis-aggregation are provided.

An Integration Algorithm of X-tree and kd-tree for Efficient Retrieval of Spatial Database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X-트리와 kd-트리의 병합 알고리즘)

  • Yoo, Jang-Woo;Shin, Young-Jin;Jung, Soon-Key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6 no.12
    • /
    • pp.3469-3476
    • /
    • 1999
  • In spatial database based on spatial data structures, instead of one-dimensional indexing structure, new indexing structure which corresponds to multi-dimensional features of spatial objects is required. In order to meet those require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d new indexing structure for efficient retrieval of spatial database by carrying through the feature analysis of conventional multi-dimensional indexing structures. To improve the sequential search method of supernodes in the conventional X-tree and to reduce the retrieval time in case of generating the huge supernode, we proposed a indexing structure integrating the kd-tree based on point index structure into the X-tree. We implemented the proposed indexing structure and analyzed its retrieval time according to the dimension and distribution of experimental data.

  • PDF

An Analysis of the street structure and the Morphological Change using Space Syntax in Kangnam, Seoul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가로체계와 공간변화 분석 - 서울 강남구를 사례로)

  • Kim, Hye-Young;Joo, Yong-Jin;Jun,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69-70
    • /
    • 2010
  • 우리나라의 경우 시계열적인 토지 이용의 변화특성에 대한 경향 및 유형의 분석과 예측에 관련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의 구축한 시계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로체계와 토지이용 자료를 사용하여 강남구 공간구조의 시계열 공간구조변화의 패턴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토지이용 변화과정을 함께 비교분석한다. 강남구는 70년대 초부터 개발로 인해 많이 변화해온 지역이다. 이를 고려하여 60,70,80,90년의 시계열별 공간구문론을 도입하여 축선도(Axial map)를 통해 정량적 분석을 한다. 향후 도로의 접근성 측면에서의 토지이용변화 예측모델 방법론과 연계가 이루어진다면 공간변화를 효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Urban spatial structure change detection in land cover map using time-series patch mapping (시계열 패치 매핑을 이용한 토지피복도의 도시공간구조 변화 검출)

  • Lee, Young-Chang;Lee, Kyoung-Mi;Chon, Jinhyu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9
    • /
    • pp.1727-1737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o detect spatial structures in land cover maps and to detect time-series spatial structure changes. At first, the proposed system detects patches in a certain area at different times and calculates their measures to analyse spatial structure patterns of the area. Then the system conducts patch mapping among the detected time-series patches and decides 6 types of patch changes such as keeping, creating, disappearing, splitting, merging, and changing in a mixed way. Also, the system stores the patch-based spatial structure patterns of time-series land cover maps in binary form to extract changes. Thi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change detection system can be used as a basis for planning the reconstruction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by measuring the degree of urban sprawl.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서울대도시권 도시 간 공간적 연관성 분석)

  • Bai, Joon-Seok;Chang, Hoon;Kim, Jy-S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68-7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서울대도시권의 1990년 이후 공간구조 변화에 대하여 도시 간 공간적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서울대도시권을 포함하고 있는 서울시와 인천 및 경기도 도시들 간의 1990년에서 2005년에 이르는 15년의 통근 통학자 자료를 바탕으로 통근 통학비율과 Moran's I를 통하여 서울대도시권 내 도시들의 공간적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도시권 내에서 서울시의 인구는 경기지역으로 분산되고 있으며 외곽지역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서울대도시권의 교외화 확산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인접지역 간 매우 강한 공간적 연관성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는 서울대도시권 관리와 정책수립을 뒷받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Cost-Effective Bulk Insertion Method in Mobile GIS DBMS Environment (Mobile GIS DBMS에서 비용효율적인 대량삽입기법에 관한 연구)

  • Lee, Kyung-Ah;Lee, K.J.;Jin, S.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177-182
    • /
    • 2006
  • 최근 무선 통신 구조가 확산대면서, 모바일 기기와 다양한 모바일 GIS 서비스가 일반화되었다. 그래서 모바일 기기에서 효과적으로 GIS 자료들을 검색할 수 있는 모바일용 GIS DBMS가 필요하다. 물론 모바일 GIS DBMS는 환경적 제약사항과 GIS 자료들의 특성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량삽입 기법이 필요하며 이 기법은 모바일 GIS DBMS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 이 제약사항은 낮은 대역폭, 작은 저장공간 그리고 비공간 데이터 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큰 공간 데이터의 특징을 포함한다. OBO기법을 이용하는 GIS DBMS로의 데이터의 삽입은 차례대로 삽입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간데이터들은 전송비용과 긴 로딩시간으로 인해 서비스를 지연시키기 때문에 공간 인덱스를 기반으로 하는 대량삽입을 선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성능과 안전성을 가진 동적인 공간 인덱스 R*-tree을 이용하는 대량 삽입 기법을 제공한다.

  • PDF

Halo structure of old open cluster NGC 2420 (늙은 산개성단 NGC 2420의 헤일로 구조)

  • Lee, Sang Hyun;Kang, Yong-Wo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9 no.2
    • /
    • pp.87.1-87.1
    • /
    • 2014
  • 우리는 늙은 산개성단 NGC 2420의 외곽 헤일로 구조를 연구하였다. Sloan Digital Sky Survey (SDSS)의 DR10 자료에 공개된 g, i의 영상을 이용하여 psf측광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측광 자료로부터 g vs (g-i) 색-등급도, 별들의 공간분포 및 측광학적인 비 구성원별들의 공간분포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4차원 구성원 확률을 얻었다. 구성원 확률을 고려한 유효 밀도 분포를 조사하여 밝은 별과 어두운 별의 반경에 따른 분포특징을 통해 질량 분리의 증거를 살펴보았으며, 성단 외곽 헤일로의 구조에 대해 고찰한다.

  • PDF

Application of Statistical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o Soil Stratification (통계적 지반 공간 정보 기법을 이용한 지층구조 분석)

  • Kim, Han-Saem;Kim, Hyun-Ki;Shin, Si-Yeol;Chung, Choong-Ki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7 no.7
    • /
    • pp.59-68
    • /
    • 2011
  • Subsurface Investigation results always reflect a level of soil uncertainty, which sometimes requires statistical corrections of the data for the appropriate engineering decision. This study suggests a closed-form framework to extract the outlying data points from the testing results using the statistical geo-spatial information analyses with outlier analysis and kring-based crossvalidation. The suggested analysis method is conducted to soil stratification using the borehole data in Yeouido.

Deelopment of a Multisite Daily Rainfall Simulation Model Using a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 개발)

  • So, Byung-Ji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3-83
    • /
    • 2017
  • 수자원공학에서 일강수량 모의기법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홍수와 가뭄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수공구조물의 위험도 및 신뢰성 평가 및 수자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입력 자료생성을 목적으로 활용된다. 유역 단위의 분석시 단일 지점에 대한 강수 모의 기법을 적용할 경우 각각의 지점에서 관측된 강수 자료의 시계열 및 통계치 특성이 효과적으로 재현되지만 공간적으로 발생하는 즉, 지점 간의 종속관계를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공간적인 전이 특성이 있는 가뭄 분석 및 유역내 유출량의 공간적 변동 특성 분석에 단일지점별 모의 결과를 이용할 경우 관측 자료와 상반된 공간적 변동성으로 인하여 잘못된 가뭄 및 유출 분석 결과가 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발생하는 강수 특성을 반영한 유역 단위의 홍수 및 가뭄 등의 수문 분석을 위해서는 지점간의 종속성을 반영할 수 있는 다지점 강수 모의 모형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지점 모의에 있어서, Wilks 모형의 지점별 시변동 특성과 공간상관성 재현 능력, HMM 모형이 갖는 강수 사상별로 분포된 양적 분포 패턴 재현 능력을 복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인 기계학습 기반 범주화 기법을 이용한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ML-MRS)을 개발하였다. 또한, 지점별 강수량에 적용되는 확률분포모형은 Gamma 분포로 구성된 혼합모형을 적용하여 단일 확률 분포 모형의 자료 적합 문제를 개선하였다. 모의를 통한 일강수량 시계열 자료는 일 강수자료의 통계량을 효과적으로 모의하였으며, 다지점 모형의 모의 결과를 적용한 가뭄 모의 결과 관측 자료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패턴이 재현되었다. 본 모형은 시 공간적 사상을 효과적으로 재현함으로서 지역의 변동특성을 반영한 가뭄, 홍수, 기상 현상 분석 등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