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의사결정

Search Result 71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Model for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by Using PPGIS (주민참여형 GIS를 활용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SDSS) 모델 구상)

  • Kim, Byung-Hwa;Koh, Jun-Hwan;Jun, Chul-Min;Yi, Sang-Mi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83-386
    • /
    • 2005
  • GIS는 공간문제에 대한 분석 도구로서 발전해 왔다. 근래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공간분석의 기능 뿐 아니라 사회 전반의 문제들과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 해결방법으로 제시된 것이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정책결정자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시스템으로 개발 발전되어 왔다. 따라서 그 정책의 당사자이자 소비자인 주민들의 의견에 대한 반영은 미흡한 부분이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주민참여의 환경이 조성되고, 전자정부 시대를 맞아 주민참여가 내포하는 의미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과적이고 투명한 공간의사결정을 하기 위하여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SDSS)에 주민참여의 개념을 추가하여 주민의 의견을 반영하는 공간의사결정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Issues of Developing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patial Planning (국토공간계획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 개발과제와 해결방안)

  • Choe, Byong-Nam;Im, Eun-Sun;Kim, Ki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31-139
    • /
    • 2007
  • 국토기본법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은 국토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및 계획을 규정하고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GIS를 기반으로 공간의사결정 지원체계 구축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그 동안 행정업무를 위한 자료관리 중심의 정보화에서 공간자료분석을 기반으로 한 정보화에 대한 새로운 수요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국토공간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들이 있다. 본 연구는 국토공간계획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장애가 되는 과제를 파악하고, 해결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는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의 설계 및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s를 가지고 접근했다. 시스템 설계 관점에서 처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입력되는 자료와 지식, 분석처리하는 방법, 인터페이스 등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을 설정했다. 시스템 개발과 관련하여 개발도구 확보,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시스템의 지속성 확보 등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s를 설정했다. 마지막은 향후 공간의사결정 지원체계의 연구 및 개발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파트너쉽에 대한 research question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 구축과 관련해 기초적인 이론이나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다. 대부분 외국의 연구 및 개발사례를 소개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거나 운용하는 기반기술인 개발도구에 대한 기술수준이 상당히 미흡하다. 조사결과에서 공개소프트웨어 도입에 대한 필요성 강조가 이를 반증하고 있다. 또한 시민사회의 성숙, 다양한 사회단체 출현 등으로 국토공간계획 과정에 이해관계자 참여정도가 질적 양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기법 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고 단편적으로 관련 기술을 소개하는 정도이다. 국토공간계획 및 정책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장기간에 걸긴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국토공간계획은 우리나라만의 자연 환경 및 인문환경의 특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의 개발방법론, 우리의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 PDF

Development a Multi-Criteri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MC-SDSS) for Analyzing the Suitability of Waste Landfill Sites (다기준-공간의사결정 지원시스템(MC-SDSS)의 구축과 활용 -폐기물 매립시설 입지분석을 중심으로-)

  • 오규식;권오경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9 no.2
    • /
    • pp.227-238
    • /
    • 2001
  • As society progresses and becomes more complicated, improvements and demanded i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various interest groups. In relation to environment concerns, waste landfill sites in particular have been of concern. Conflicts involving treatment of such sites and decision making policies have been a point of conten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residents, and concerned organizations. To resolve these conflicts, this study developed the Multi-Criteri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MC-SDSS).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revealed several conclusions; first, the approach used in this study can help to yield a better consensus for deciding upon waste landfill sites; next, by conducing sensitivity analysis, technical errors which can occur during the decision making process can be minimized; and finally, resistance from specific opposition groups can be effectively dealt with by using MC-SDSS.

  • PDF

A GIS Based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Retail Center Locations (소매중심지 입지를 위한 GIS기반의 공간적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 백영기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3
    • /
    • pp.278-291
    • /
    • 2001
  • This paper is to build 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designed to solve problems relevant to the decision-making for retail center locations. For construction of the system this paper discusses the primary procedures of spatial modeling and issues of data, which are required for integrating spatial interaction models to GIS having capability of managing, analyzing and visualizing spatial data sets. Lexington, Kentucky, is selected as a case study to implement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the spatial modeling module. This system for retail center locations is useful of estimating the catchment areas more accurately and analyzing resultant flow patterns. And this system can make spatial analysis efficiently for what-if scenarios such as an intended retail center or changing demand. The benefits of adopting this system allow the decision makers to plan the investment strategies and search for stable market structure.

  • PDF

THE STUDY OF SPATIAL DECISION-MAKING ABOUT AREAS THAT LAND- SPECULATION CAN BE ARISE -In the base of fluctuations in land prices & land trade data (토지 투기 발생 가능 지역에 대한 공간적 의사 결정 지원에 관한 연구 - 지가변동과 토지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 김현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500-509
    • /
    • 2003
  • A land-speculation is to occur on a space. A purpose of this study interprets land speculation in a viewpoint of spatial, and to carry out effective decision-making about areas that land-speculation can be arise At the time of this, the focus of spatial interpretation Is recognition of a spatial continuity and consideration of a spatial association. In this study, I used fuzzy sets in order to recognize spatial continuity and. therefore a value in 0-1 was granted all area. And in order to consider spatial associations. carried out a local spatial association (Local Moran's I). Also. I introduced the spatial expert support systems (SESS) one of the computer-based decision support systems to dr efficient decision-making about a land-speculation in an object area. After that, as a case study I carried out decision-making about land-speculation's occurrence in the Seoul-Kyeonggi (2/4 quarter in 2001)

  • PDF

Analysis of Waterfront Utilization Index Using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다기준의사결정을 이용한 친수공간 이용지수 분석)

  • Kim, Byeong-Chan;Kim, Man-Sik;Maeng, B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5-195
    • /
    • 2011
  • 국가하천의 주변지역을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조성 이용하여 난개발을 방지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며, 그에 따른 이익을 하천의 정비 및 관리 등에 활용함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친수구역활용에 관한 특별법이 곧 시행될 예정이다. 친수는 단순히 하천 보전과 상대되는 수변이용의 측면이 아니라 하천의 경관, 생태계, 물 등 전체적인 하천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활동과 심리적 만족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친수활동 유형을 정립하기 위하여 전문가 및 실무자들의 도움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조사하였다. 또한 평가 항목간의 중요도를 합리적으로 부여하고자 전문가 집단 활용을 통한 다기준의사결정 기법 중 계층분석과정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와 이의 일반적인 형태인 ANP(Analytic Network Process)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AHP는 의사결정의 목표 또는 평가기준이 다수이며 복합적인 경우, 다수의 속성들을 계층적으로 분류하여 각 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함으로써 최적 대안을 선정하는 기법으로 다수의 목표, 다수의 평가기준, 다수의 의사결정주체가 포함되어 있는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화하여 해결한다. 그러나 의사결정 문제는 대부분 요소들 간의 수평적 상호작용과 수직종속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히 계층적 구조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ANP는 AHP 분석을 확장한 개념으로 평가 요소가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각 평가 요소간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시스템 분석, 통합 및 조정을 위한 방법으로 요소들 간의 비선형 관계를 모델화하는 복잡한 의사결정에 적용이 가능하다. ANP는 AHP의 기본 공리인 독립성이 유지되지 않을 때도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 방법이기 때문이다. AHP와 ANP 분석을 위해 평가기준은 하천특성, 생태환경특성, 인문환경특성, 경관, 유지관리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세부평가항목은 하천의 물리 생태학적 특성, 개발여건과 관련된 특성, 경관의 이용가치, 유지관리 용이성 등 20여 개로 나누었다. AHP와 ANP를 이용하여 친수공간 이용지수 가중치를 산정한 결과, 두 기법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ANP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최종 결정의 공정성이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rategic Plan for Building of Spatial Decision Support Service based on National Basic Districts (국가기초구역기반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전략)

  • Kang, Young Ok;Kang, Ae Tti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1 no.2
    • /
    • pp.85-97
    • /
    • 2013
  • The accumulation of spatial information - people, building, land and businesses- is required to make a rational decision successfully by utilizing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SDSS). Many foreign countries have utilized the SDSS by defining the minimum unit of spatial area and implementing the spatial database based on it. Even though in Korea, National Basic Districts were created for the purpose of utilizing these districts as a basic area, they have not been utilized as a basic area of managing the spatial database due to the lack of attributes data. Therefor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strategies of building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through the accumulation of the spatial data based on National Basic Districts. We propose the strategies in three different fields - legal system, database and application, services. We expect that the role of National Basic Districts w ill be strengthened by executing our strategies as a minimum spatial unit of Korea.

To collect the data of deduction of distance Estimating Position of Mobiles b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System (공간 추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 이동물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 연구)

  • Jang Hae-Suk;Jung Kyu-Cheol;Lee Jin-Kwan;Wi Seon-Jung;Choi Young-Hee;Park Ki-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947-949
    • /
    • 2006
  • In the microcell or picocell-based system the frequent movements of mobiles bring about excessive traffics into the networks. In this paper we stud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which can increase estimation accuracy by considering other multiple decision parameters tha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PDF

The Strategies of Developing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 Choe, Byong-Nam;Im, Eun-Sun;Kim, Kir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5 no.4
    • /
    • pp.371-383
    • /
    • 2007
  •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KOPSS) represent Korean style national policy and planning support systems using the GIS-based spatial analysis methods. The KOPSS refers to a kind of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SDSS) or the planning support systems (PSS) for stakeholders' spatial decision-making. The KOPSS uses the existing individual databases obtained from the Architecture Information Systems (AIS) and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LMIS) that have been constructed by information projects since the mid 1990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strategies and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the KOPSS by considering the comprehensive basic composites of the GIS-based SDSS or PSS. For this, it deals with the basic concepts, the development strategies, the base environment strategies, and the promotion strategies of the KOPSS.

  • PDF

A Spatial Entropy based Decision Tree Method Considering Distribution of Spatial Data (공간 데이터의 분포를 고려한 공간 엔트로피 기반의 의사결정 트리 기법)

  • Jang, Youn-Kyung;You, Byeong-Seob;Lee, Dong-Wook;Cho, Sook-Kyung;Bae, Hae-Yo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3B no.7 s.110
    • /
    • pp.643-652
    • /
    • 2006
  • Decision trees are mainly used for the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in data mining. The distribution of spatial data and relationships with their neighborhoods are very important when conducting classification for spatial data mining in the real world. Spatial decision trees in previous works have been designed for reflecting spatial data characteristic by rating Euclidean distance. But it only explains the distance of objects in spatial dimension so that it is hard to represent the distribution of spatial data and their relationships. This paper proposes a decision tree based on spatial entropy that represents the distribution of spatial data with the dispersion and dissimilarity. The dispersion presents the distribution of spatial objects within the belonged class. And dissimilarity indicates the distribu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classes. The rate of dispersion by dissimilarity presents that how related spatial distribution and classified data with non-spatial attributes we. Our experiment evaluates accuracy and building time of a decision tree as compared to previous methods. We achieve an improvement in performance by about 18%, 11%,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