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분할 방법

Search Result 966,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Selectivity Estimation using Maximum Area Difference (최대 면적 차이 분할 방법을 이용한 선택률 추정)

  • 이미란;황환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09-111
    • /
    • 2001
  • 공간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 질의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질의 결과 크기를 계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크기는 매우 방대하여 질의 결과 크기를 계산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제 공간 데이터의 분포와 특성에 근접하도록 공간 데이터의 분포를 요약하여 이를 토대로 질의 결과 크기를 추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공간 분할 방법에는 균등분할 방법과 비균등 분할 방법이 있으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1차원 데이터에 대한 선택률 추정기법 중에서 그 성능이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된 바 있는 최대 면적 차이 분말을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공간 분할하는 것이다.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을 추정 방법은 공간 분할 방법에 따라 성능상의 차이가 있으며 본 논문은 기존의 방법과 제안한 방법을 실험을 통하여 선택률 추정의 정확성을 비교, 평가하여 제안한 방법이 우수함을 보였다.

  • PDF

Parallel Spatial Join using Vector Quadtrees (벡터 사분트리를 이용한 병렬 공간 조인)

  • Kim, Jin-Deok;Seong, Won-Mo;Hong, Bong-Hui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1
    • /
    • pp.25-39
    • /
    • 1999
  •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공간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연산인 공간 조인은 대상이 되는 공간 객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연산 시간이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다량의 공간 데이터에 대해서 공간 연산시간을 줄이기 위한 병렬처리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비겹침 정규분할 방식의 사분트리를 이용한 공간 조인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MIMD 구조 및 공유 디스크 방식의 병렬 처리시스템에 적용하여 성능을 평가한다. 사분트리를 이용한 공간조인 방법으로서 중복 표현된 공간객체를 줄이기 위한 사분면(quadrant)의 병합 방법,영역 제한을 통해 연산 대상 객체를 줄이기 위한 사분면의 분할 방법, 그리고 병합 및 분할 방법을 혼용하여 공간 조인 연산의 숫자를 최소화하는 혼합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 평가에서는 각 방법들을 병렬 처리 시스템에 적용하여 여과단계 및 정제단계에서의 연산량과 수행 시간을 통해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실험결과, 여과 단계에서는 분할 방법이 가장 우수했지만, 정제 단계에서는 병합 방법이 가장 우수했다. 따라서 전체적인 고려할 때 두 방법의 장점을 수용한 혼합 방법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Effective Spatial Partitioning Technique for Query Result Size Estimation (질의 결과 크기 추정을 위한 효과적인 공간 분할 기법)

  • 김현국;김학자;황환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55-57
    • /
    • 2002
  •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규모는 매우 방대하여 질의 처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위해서는 질의 수행 결과의 예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실제 공간 데이터의 특성을 근접하게 나타내는 요약 데이터를 생성하여 그 결과를 통해 질의 결과의 크기를 추정하게 된다. 기존의 공간 데이터 요약 기법으로는 면적 균등 분할 기법, 개수 균등 분할 기법, 인덱스 분활 기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다양한 분말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힐버트 공간 재움 곡선 방법에 개수 균등 분말 기법을 적용시킨 새로운 공간 분할 방법을 제안하여 기존의 방법과 새로운 방법의 성능을 비교한다.

  • PDF

A Study for Splitting Method of Search Space (검색 공간의 분할 방법에 관한 연구)

  • 선휘준;김홍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138-140
    • /
    • 1998
  •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동적 및 정적 환경에서 발생하는 공간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간색인방법이 필요하다. 그리고 검색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간국부성을 고려한 공간색인방법이 요구되며, 공간국부성은 객체들의 위치 속성과 관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국부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측도인 변형계층분산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검색공간 분할 방법의 성능을 변형계층분산에 의해 평가하였다. 실험에 의하면 하나의 분할 도메인을 선택한 후 선택된 도메인에서 분할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검색공간 상에 표현된 모든 엔트리들의 위치 속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분할 도메인 및 위치의 선택은 검색공간을 구성하는 모든 도메인에서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Selectivity Estimation for Spacial Data Distribution and Query Size (공간 데이터 분포와 질의 크기를 고려한 선택률 추정)

  • 문현수;이미란;황환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77-79
    • /
    • 2000
  •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질의에 대한 선택률 추정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공간 질의에 대한 선택률 추정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 논문에서는 공간 검색 조건의 정확한 선택률 추정을 위해 공간 데이터 분포를 통계 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선택률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공간 질의에 대한 선택률 추정을 위해서 기존의 통계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균등 분할 방법과 비균등 분할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보다 정확한 선택률을 추정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통계 데이터 작성 방법인 크기별 분할 방법을 제안하였다. 각 방법의 성능은 다양한 파라미터에 대한 선택률 오차를 산출하여 평가하였다.

  • PDF

Spatial Partitioning using filbert Space Filling Curve for Spatial Query Optimization (공간 질의 최적화를 위한 힐버트 공간 순서화에 따른 공간 분할)

  • Whang, Whan-Kyu;Kim, Hyun-Gu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1
    • /
    • pp.23-30
    • /
    • 2004
  • In order to approximate the spatial query result size we partition the input rectangles into subsets and estimate the query result size based on the partitioned spatial area. In this paper we examine query result size estimation in skewed data. We examine the existing spatial partitioning techniques such as equi-area and equi-count partitioning, which are analogous to the equi-width and equi-height histograms used in relational databases, and examine the other partitioning techniques based on spatial index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patial partitioning technique based on the Hilbert space filling curve. We present a detailed experimental evaluation comparing the proposed technique and the existing techniques using synthetic as well as real-life datasets. Th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proposed partitioning technique based on the Hilbert space filling curve achieves better query result size estimation than the existing techniques for space query size, bucket numbers, skewed data, and spatial data size.

STR-Tree : A Multidimensional Index Structure for Static Data using a Hierarchical STR (STR-Tree : 계층 공간 분할을 이용한 다차원 정적 데이터 색인)

  • 최미나;문정욱;이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64-66
    • /
    • 2002
  • 최근 다차원 공간색인 방법의 성능 향상을 위해 근사법을 사용하여 노드의 팬아웃을 증가시키려는 시도가 많이 행해졌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색인 구조의 정확성이 떨어져 불필요한 노드를 방문할 확률을 높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적 데이터에 대하여 노드의 팬아웃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향식 STR 공간분할방법을 사용한 새로운 색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공간분할방법을 사용하므로 근사법을 이용한 방법에 비해 정확성이 높을 백 아기라 하향식 계층 STR을 제안하여 STR 공간 분할방법을 효율적으로 트리 구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피에도 이중분할 방법을 제안하여 점 데이터 및 사각형 데이터의 색인을 가능하게 딸 딱 아니라 사상 공간을 줄여 불필요한 노드의 방문을 막아 성능을 향상시켰다.

  • PDF

Unsupervised Segmentation of Objects using Genetic Algorithms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의 비지도 객체 분할 방법)

  • 김은이;박세현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1 no.4
    • /
    • pp.9-21
    • /
    • 2004
  • The current paper proposes a genetic algorithm (GA)-based segmentation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extract and track moving objects. The proposed method mainly consists of spatial and temporal segmentation; the spatial segmentation divides each frame into regions with accurate boundaries, and the temporal segmentation divides each frame into background and foreground areas. The spatial segmentation is performed using chromosomes that evolve distributed genetic algorithms (DGAs). However, unlike standard DGAs, the chromosomes are initiated from the segmentation result of the previous frame, then only unstable chromosomes corresponding to actual moving object parts are evolved by mating operators. For the temporal segmentation, adaptive threshold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intensity difference between two consecutive frames. The spatial and temporal segmentation results are then combined for object extraction, and tracking is performed using the natural correspondence established by the proposed spatial segmentation method. The main advantages of the proposed method are twofold: First, proposed video segmentation method does not require any a priori information second, the proposed GA-based segmentation method enhances the search efficiency and incorporates a tracking algorithm within its own architecture. These advantages were confirmed by experiments where the proposed method was success fully applied to well-known and natural video sequences.

Color image segmentation based on clustering using color space distance and neighborhood relation among pixels (픽셀간의 칼라공간에서의 거리와 이웃관계를 고려하는 클러스터링을 통한 칼라영상 분할)

  • 김황수;이화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532-53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칼라공간상의 거리와 이웃정보를 이용한 클러스터링을 통한 칼라영상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의 픽셀들을 이웃관계를 유지하여 칼라공간으로 매핑한다. 칼라공간상에서 이웃하는 픽셀들을 클러스터링하여 영상의 세그먼트들을 찾는다. 클러스터링 방법으로서 인력을 모방하는 클러스터링(gravitational clustering)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으로 클러스터의 중심값과 클러스터 수를 미리 정해주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gravitational 클러스터링에서 찾은 클러스터 수를 가지고 다른 클러스터링 방법에 입력으로 주어 결과를 비교해 본다. 본 논문에서는 이웃관계를 따라 클러스터링하는 것이 정확한 경계선을 찾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Declustering Algorithm by Efficient Grid-Partitioning Multi-Dimensional Space (다차원 공간의 효율적인 그리드 분할을 통한 디클러스터링 알고리즘 성능향상 기법)

  • Kim, Hak-Cheol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2 no.1
    • /
    • pp.37-48
    • /
    • 2010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hortcomings of the previous declustering methods, which are based on grid-like partitioning and a mapping function from a cell to a disk number, for high-dimensional space and propose a solution. The problems arise from the fact that the number of splitting is small(for the most part, binary-partitioning is sufficient), and the side length of a range query whose selectivity is small is quite large.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mathematical model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a grid-like partitioning method. With the proposed estimation model, we can choose a good grid-like partitioning method among the possible schemes and this results in overall improvement in declustering performance. Severa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we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previous declustering method up to 2.7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