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 기록화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초

CIDOC-CRM을 이용한 지역기록의 공간 기반 구조화 - 부산항을 사례로 - (A Space-Based Approach to Organizing Local Records Using CIDOC CRM: A Case of the Port of Busan)

  • 현문수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3-101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기반으로 한 지역기록의 구조화 가능성을 실험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공간은 지역기록의 이용과 이해를 지원할 수 있는 중요한 기록 맥락으로 여겨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공간을 독립 개체로 추가한 공간 중심의 기록 모형을 정의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례 지역과 기록을 대상으로 구조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CIDOC CRM 6.0 버전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사례 공간인 부산항을 거점으로 확인된 기록 중 5개 유형을 사례로 구조화하였다. 실험을 통해 공간은 기록을 포함한 다양한 개체와 다양한 연관 관계로 구조화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공간은 지역기록 구조화에 있어 독립 개체로 정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기록의 맥락 이해를 지원하는 주요 개체로 다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Designing a Space-based Locality Documentation Model)

  • 설문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7-455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장소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로컬리티 기록화의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ox 등이 주창한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과 우리나라에서 최근 이루어진 관련 연구 등을 분석하여 로컬리티 기록화의 방향과 전략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새로운 로컬리티 기록화 패러다임을 도출하였다.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공간 기반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spanDoc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기록화의 원칙, 구조, 절차를 포함하며, 특히 로컬리티 기록화의 결과가 디지털 환경에서 축적되고 활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공간 중심의 연계형 기록화의 실행 방안 부산지역 동해남부선을 사례로 (Implementing Space-based Networked Documentation for Donghae-Nambu Railway Area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설문원;김정현
    • 기록학연구
    • /
    • 제36호
    • /
    • pp.233-269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방식의 기록화 모형을 부산의 공간 기록화에 적용함으로써 디지털 환경에서 지속가능한 로컬리티 기록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네트워크 방식의 모형으로는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spanDoc 모형'을 채택하였으며, 이를 기록 수집 및 연계 과정에 적용해 봄으로써 모형의 실효성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모형은 지역의 기록을 종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로컬리티 아카이브 구축을 위하여 지역사에 의미 있는 주제에 관한 기록이 점진적으로 축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사례 공간은 부산지역 동해남부선으로 설정하였다. 부산의 로컬리티를 이동성과 개방성으로 볼 때 고정된 공간이 아니라 연결된 공간이며, 사람들의 이동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역, 역과 역을 이어주는 철도의 기록화가 부산지역의 역사를 남기는 작업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특히 동해남부선은 부산 시내를 관통하는 근거리 교통수단이며 시내의 각 역은 부산 지역민들의 경험과 기억이 축적된 장소들이라는 점에서 볼 때 이 공간에 대한 기록화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모형에 제시된 절차에 따라 문헌 및 자료 분석을 실시하고, 관련 기록을 조사, 수집하는 과정을 실행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주제 기술서와 기록 기술서를 작성하고, 각 작업의 결과물들이 상호 연계되면서 지속적으로 축적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모형 실행의 의미와 제한점을 밝혔다.

각.공간 복합 다중화 체적 홀로그래픽 메모리 시스템 (Angular-Spatial Multiplexed Volume Holographic Memory System)

  • 강훈종;이승현;한종욱;김은수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5D권12호
    • /
    • pp.75-82
    • /
    • 1998
  • 체적홀로그램의 저장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 가지 다중화 기법이 제안되고 있는 가운데, 본 논문에서는 각다중화와 공간다중화를 병행한 복합 다중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기준파의 각도 및 공간상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스텝 모터를 사용하여 다중 홀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었다. 기록 시간 스케줄에 의하여 노출 시간을 조절하므로써 기준파와 물체파 간의 간섭 패턴을 홀로그램에 기록하였다. 3층 300개의 영상을 한 개의 LiNbO₃ :Fe에 기록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보였다.

  • PDF

디지털 환경에서의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 연구 (A Study on Documenting Locality in Digital Environment)

  • 설문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07-230
    • /
    • 2011
  •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 내 기록유산기관들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Cox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고 디지털 환경에 맞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로컬리티 기록화와 관련한 접근방법을 4가지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특히 공간과 장소를 중심축으로 하는 기록화의 범주를 도출하고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로컬리티가 담긴 기록을 생산 수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마을문화 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을기록관'을 제안한다 (A Suggestion to Establish Maul Archives to Improve Maul Culture)

  • 김덕묵
    • 기록학연구
    • /
    • 제33호
    • /
    • pp.39-84
    • /
    • 2012
  • 오늘날 문화적으로 소외된 마을을 되살리고, 정체성을 강화하고 마을과 외부세계를 연결하고 소통시키는 기재로서 마을기록관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마을기록관이 설립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인식과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학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이론적인 선도가 있어야 한다. 마을기록관의 설립과정은 위원회를 구성하고 선행사례에 대한 벤치마킹, 마을에 대한 기록화와 자료수집, 마을기록관의 설립, 마을기록관의 관리와 운영 순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마을기록관은 오래된 민가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민가를 리모델링해서 기록물을 전시하고 합리적인 보존을 통해 관리해야 한다. 또한 마을기록관에는 전시공간 외에도 자료의 보존공간, 관리공간, 교육공간, 휴식공간을 두기 위해서 민가의 각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 마을기록관은 마을을 새롭게 의미화 시키고, 주민을 문화국민으로 향상시켜 삶의 질을 나아지게 하고, 마을과 외부세계를 소통하는 관문, 균형 있는 지역발전을 위한 방향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마을기록관은 전시, 교육, 연구 및 자료수집 활동을 하며 운영과 관리에 있어서는 민 관 학이 협력해야 한다.

주민참여를 통한 장소 기록화 방안 연구 (A Study on Place Archiving Methodology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 안정희;신유림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5-63
    • /
    • 2024
  • 이 연구는 소멸된 장소의 기록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론연구를 통해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을 정리하고 장소 기록화의 의의를 밝혔다. 장소의 소멸은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매개의 소실을 의미한다. 장소 기록화는 공간의 장소성을 기록하는 과정으로 기억매개체의 상실에 대응하고, 공유기억의 부재를 해소하며, 공동체 정체감을 강화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록의 이해당사자들을 기록의 생산주체로 복원하여 관련된 맥락을 풍부하게 기술하는 방법과 도구를 제공하는 아카이빙 방법론이다. 이에 장소 기록화 현황과 장소 기록화 방안 연구를 통하여 기록화 실행 시 주민의 참여, 기록관을 중심으로 한 장소성의 소통과 그 과정의 기록화, 문화예술 통합 프로젝트의 실행을 주요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이어 증평기록관의 '메리놀병원' 사례를 이 세 가지 방안을 기준으로 설명하여 장소 기록화가 어떠한 과정으로 구현되는지를 설명하였다.

회전, 각, 그리고 공간 다중화 방법을 결합사용한 홀로그램 기록 시스템 (Holographic recording system by combined use of rotational, angular, and spatial multiplexing method)

  • 신동학;장주석
    • 한국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9-204
    • /
    • 1998
  • 홀로그램 기록에 있어서 기록저장밀도를 높이기 위해 각다중, 회전다중, 그리고 공간다중, 그리고 공간다중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방식을 제안하고 실험하였다. 각다중과 회전다중은 두 개의 쐐기 프리즘을 이용하여 기준빔을 직접 제어함으로써 얻고, 공간다중은 기록매질을 기록평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얻었다. 기준빔과 물체빔의 사이각도가 예각인 예각기록 구조와 이것이 90$^{\circ}$인 90$^{\circ}$기록구조가 모두 구현될수 있다. 실험에서는 광풀리머를 사용한 예각기록구조로 180개의 홀로그램을 다중기록하였고, 철함유 LiNbO3 광굴절결정을 사용한 90$^{\circ}$기록구조로 147개의 홀로그램을 다중기록하였다. 우리의 방식은 3가지 다중화를 위한 복잡한 기계적 움직임의 제어를 단순함으로써 실질적 홀로그래피 메모리 시스템의 실현을 쉽게 한다.

  • PDF

이미지의 시대 기록전시와 사진기록 (Archival Exhibitions and Photographs in the Age of the Image)

  • 조민지
    • 기록학연구
    • /
    • 제39호
    • /
    • pp.73-100
    • /
    • 2014
  • 한 사회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지난 과거의 기억을 현재화하여 문화적 기억으로 생산해내는 것을 필요로 한다. 과거와 현재가 갖는 시간적 격차에 의한 망각의 상황은 흔히 기념일이나 기념 공간 등으로 현재화되고 있다. 각기 반영하는 재현 형식은 다르지만 지나간 과거가 어떻게 기억되고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와 관련되어 있다. 기록, 특히 국가가 확보한 진본 기록은 지나간 현재에 대하여 지금의 현재에 설득이 가능한 증거라는 존재론적 특징을 가지며 근원적 객관성에서 연원한 신뢰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이 가진 이러한 엄정함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는 시각적 전시 행위를 통해 구체적 기억의 촉발성을 구현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재현 공간에서 과거를 이해하는데 국가 기록, 특히 사진기록의 의미와 전시 활용 효과를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