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그래픽

Search Result 341,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Design of Spatial Database User Interface based on Graphical Presentation Language (그래픽 표현언어에 기반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

  • 전찬모;홍의경;김장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176-17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된 그래픽 표현언어의 기능을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그래픽 표현언어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본 논문에서 설계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표현언어를 하나의 내부 모듈로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래픽 표현언어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호 연동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공간 데이터베이스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통합에 대한 설계 기준도 아울러 제시하였다.

A Case Study of Infographics for National Defense - Focusing on the Datajournalism of Afghanistan War in Guardian (국방분야에서 인포그래픽 적용사례 연구 - 영(英) 가디언지 아프가니스탄전 데이터저널리즘을 중심으로)

  • Kim, Dong Hw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5
    • /
    • pp.43-52
    • /
    • 2014
  • Recently, Big Data is a buzzword in the creative economy generation. The organizations related to spatial information society focus on building the spatial big data systems. As spatial big data is a combination of spatial information and big data, the data visualization is essential in order to utilize them efficiently. One of the great methodologies for data visualization is infographics. Nationally, Chousn.com initiated the infographics news in 2010. Korean Administration Branches 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fographic and they adopted infographics for their briefings from 2013. Internationally, Visual.ly is leading company in the infographics market and they produced noticeable interactive infographics for Egypt Parliamentary Elections results. In the defense part, Guardian's datajournalism of Afghanistan war log was a good example of utilizing infographics. Throughout the research, five requirements are extracted. First source data should have precision and accuracy in terms of time and space manner. Second, infographics images have a compressibility. Third, the infographics is properly processed for military commanders. Fourth, sharing, openness and communication are essential for high quality infographic. Lastly, infographics should be an analytic tool for predicting future event based on the past data. Infographics is not a direct representation of data but an analytic tool for helping user's choice and decision in critical moments.

Critical Review on the Arguments for Building Three-dimensional Cyberspace to Realize Ubiquitous (유비쿼터스 실현을 위한 사이버공간상의 3차원 그래픽 공간 구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Choi Chang-G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4
    • /
    • pp.81-88
    • /
    • 2006
  • Ubiquitous has been a new issue in information technology field. Some people in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urban and regional planning have maintained that not only building three dimensional graphic environment in cyberspace is the key for ubiquitous, but also planners should plan and control the new space. They may believe that ubiquitous would be a mixture or/and combination of real-space and cyberspace. For strengthening their arguments, they should show the character of the space can be related to the three dimensional space and planning the space is possible. This study tried to critically analyze their assertion. After reviewing various articles and studies in multidisciplinary view, this challenging analysis shows those arguments need more sophisticated studies and can limit the character of cyberspace which has made the space prosperous.

  • PDF

The Content-based Retrieval of Shape Similarity and Spatial Relationship (모양 및 공간관계에 대한 내용기반 검색)

  • 황종하;황수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220-222
    • /
    • 2001
  • 최근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분야에서는 3차원 그래픽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는 응용분야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3차원 그래픽에 대한 연구는 시각화 부분에만 집중되어 있고 검색에 대한 연구는 시작 단계에 있다. 본 논문에서 검색의 대상이 되는 assembled 객체는 기본 객체와 사용자 정의 객체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구축된 3차원 그래픽 데이타베이스 환경에서 공간 분할 이진 트리를 이용한 객체의 모양에 대한 유사성 검색과 3D 스트링을 이용한 공간관계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 PDF

Spatial Relation Representation using 2D Array (관계기반 구조를 이용한 공간관계 표현 기법\ulcorner)

  • 황종하;황수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26-228
    • /
    • 2001
  • 헌재 웹에서는 이미지, 3차원 그래픽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 혹은 3차원 그래픽 안에 존재하는 시각 객체 사이의 공간관계에 대해서 내용기반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공간관계를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법과 이를 위한 검색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 객체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관계를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법으로 객체를 MBR로 표현해서 2차원 평면에 투영해서 얻어진 관계기반 구조를 이용해서 공간관계 스트링을 추출할 수 있는 기법을 세안하고 이를 이용한 공간관계 검색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3D Space Perception available Motion Graphic (모션그래픽을 이용한 3D 공간감 연출에 관한 연구)

  • Joo, H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269-27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모션그래픽 응용으로 3D 공간감 연출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3D 공간에 입체적 효과를 연출하여 작품 전시회 효과를 나타내고, 다양한 공간 효과를 연출하여 2D의 평면 효과가아닌 3D 공간 효과를 연출함으로써 다양한 3D입체감 효과를 높여 방송, 다큐 같은 영상 전시에 응용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 PDF

An XML Database System for 3-Dimensional Graphic Images (3차원 그래픽 이미지를 위한 XML 데이타베이스 시스템)

  • Hwang, Jong-Ha;Hwang, Su-Cha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9 no.2
    • /
    • pp.110-118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3-D graphic database system based on XML that supports content-based retrievals of 3-D images, Most of graphics application systems are currently centered around the processing of 2-D images and research works on 3-D graphics are mainly concerned about the visualization aspects of 3-D image. They do not support the semantic modeling of 3-D objects and their spatial relations. In our data model, 3-D images are represented as compositions of 3-D graphic objects with associated spatial relations. Complex 3-D objects are mode]ed using a set of primitive 3-D objects rather than the lines and polygons that are found in traditional graphic systems. This model supports content-based retrievals of scenes containing a particular object or those satisfying certain spatial relations among the objects contained in them. 3-D images are stored in the database as XML documents using 3DGML DTD that are developed for modeling 3-D graphic data. Finally, this paper describes some examples of query executed in our Web-based prototype database system.

Alpha-Channel Space Culling Effect of 3D Game (3D게임의 알파채널 공간분할기법)

  • 최학현;이명학;김정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92-695
    • /
    • 2004
  • 현재 게임에서 3D 그래픽의 표현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결책의 하나로 게임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중에서 기존의 여러 가지 3D 그래픽에서 알파채널 공간분할 기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안하여 실제 프로그램에 적용 및 구현하였다.

  • PDF

Cuboid가 형성하는 공간의 표상

  • Lee, Jae-Sun;Lee, Cheong-Ju;Kim, Ga-Yeon;Han, Jae-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317-325
    • /
    • 1999
  • 수식에 의한 컴퓨터 그래픽의 입력과 출력에 관한 프로그램의 개발은 수학의 역동화, 인간화, 보편화에 기여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와 수식에 의한 해답이 전부인 현재의 수학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그래픽 기능을 첨부하면 움직이는 수학을 가시화 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수학의 실현은 수학자들 모두의 염원으로 전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이는 것이다. 수학의 원리와 응용성을 가미한 수학적 그래픽의 발전은 새로운 천년을 장식할 새로운 학문분야로 등장하고 있다. 기초과학의 여러 자료를 분석, 검토하여 그래픽으로 조립하는 작업은 수학적 그래픽의 힘으로 가능하며, 실험과 실습의 양상을 바꾸어 놓고 있다. 건축이나 토목 또는 전기전자 학과의 응용수학은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출현으로 컴퓨터 강의로 전환되고 있으며 수학 그 자체로 전산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편되고 있다. 수학 교과 내용의 전산 프로그램화와 컴퓨터 활용 수학 학습은 거부할 수 없는 시대적 요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천년의 시작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완성된 그래픽의 연출이라는 시각에서 수식에 의한 컴퓨터 그래픽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2차원 평면이나 3차원 공간에 이와 같은 다변수함수의 역할을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그래픽을 영상화할 수 있다. 다중화면의 연출, 다단계화면의 조합, 다단계다중화면의 영상화 등은 수학에 의한 애니메이션의 기초가 된다. 평면도형의 기본동작을 화면에 구체화시키는 Table 기능을 실제로 구현한다. 연습과 실행 그리고 재구성을 반복하여 조형미를 갖춘 수학적 그래픽을 실현한다. 수학의 학습에 적용할 가치가 있는 학습조형물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단순화에 노력한다. 미분기하학의 여러 공식을 이용하여 숨어 있는 그림을 표출하며 미분방정식의 해가 갖는 그래픽의 묘미를 형상화한다. 수식에 의하여 출력된 그래픽의 여러 효과를 응용수학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재조립하는 과정을 걸쳐 완성하는데 이 연구의 참된 의미가 있다.

  • PDF

Fame-work Design on 3D Cyber Museum-Construction of Augmented Reality(AR) Creation Module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3차원가상미술관 프레임워크디자인 - 국립현대미술관의 증강현실 창작모듈설계)

  • Lim, Janghoon
    • Trans-
    • /
    • v.9
    • /
    • pp.93-122
    • /
    • 2020
  • I intended to establish Augmented Reality(AR) Museum of 3D Cyber Space where artists and graphic designers can freely create in user integrated environment. This study is aimed at building a sufficient and integrated production environment for artists and graphic designers who utilize three-dimensional simulation methods i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IDE). This study intends to build a 3D simulation engine and a creation module of augment reality of 3D cyber space in Android platform to help artists and graphic designers to freely perform their creation in IDE. Based on these designs, I produced exhibition rooms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3D virtual space in which artists and graphic designers can put the graphics they have created on display, conducted a user survey and conducted tasking to an Android smartph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