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구조화

Search Result 1,42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 of Spacial Structure from Rural Space to Urban Space : The Case of Hwamyeong-Dong of Buk-gu in Busan (농촌에서 도시로의 공간구조 변화와 특성 - 부산 북구 화명동을 중심으로 -)

  • Kong, Yoon 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9 no.1
    • /
    • pp.97-1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pacial structure from rural space to urban space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spacial restructure, focusing on the Hwamyeong-Dong of Buk-gu in Busan. Hwamyeong-Dong has changed from rural area to urban area because of spacial expansion owing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unique natural environment, rural village, etc. were disappeared and instead the apartment complex, commercial building, and so on were built. For this reason, historic and concrete place were vanished and so the spacial homogenization and uniformization were formed centering around apartment complex. But the singularity of Hwamyeong-Dong exposes in the way that unique history, custom and memory, trace of Hwamyeong-Dong preserved through the support and effort of the residents and that the Daechen stream changed to ecological stream. In addition, Hwamyeong-Dong altered heterogeneous, multi-layered urban space from homogeneous rural space in terms of the apartment supply sectors and scale, the distribution and kind of commercial facility, residents's composition. This has brought about the subdivision, hierarchization of the space as well as the residence, education, culture. Especially, Hwamyeong3-Dong that built to large scale apartment complex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Hwamyeong2-Dong. Hwamyeong2-Dong is marginalizing step by step.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residents in Hwamyeong2-Dong are making an effort for liveable place with ecological residential community and educational cultural community as the center.

  • PDF

Performance Analysis for Spatial Multiplexing MIMO in MB-OFDM UWB Receivers (MB-OFDM UWB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MIMO 수신기의 성능 분석)

  • Suh, Jung-Won;Kwon, Yang-Soo;Kim, Seok-Hyeon;Chung, Jea-Ha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3 no.2A
    • /
    • pp.121-129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he spatial multiplexing MIMO system to increase data rate to double in MB-OFDM UWB system, which is ECMA standards, and compares BER performance of various receiver structures. The complexity and BER performance of various types of spatial multiplexing receivers a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diagonal and horizontal encoding techniques for $2{\times}2$\;and\;2{\times}3$ antennas systems. Computer simulations exhibit that $2{\times}2$ MML and $2{\times}3$ ZF method show better BER performance than that of SISO system with simple complexit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ga Structure System (입체.복합 공간구조(Mega Structure)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 Jung, You-Na;Lee, Hyun-Ju;Shin, Ye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11a
    • /
    • pp.261-264
    • /
    • 2008
  • Recently, as necessity for urban recycling has increased, the research on integrated multi-purpose space has been required. Development of the system for integrated multi-purpose space is needed to form the efficient and higher value-added space. In this research, the notion of integrated multi-purpose space is defined and two proposed structural system, which are space truss and mega structure system, are compared. Mega structure system has been found as more proper system and proposed for analysis. As verified by the number of mega beam and shape of mega column, the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he results show that mega structure system offers proper performance for integrated multi-purpose space.

  • PDF

Instance Identification between a Network and tis Simplification (단순화 관계를 갖는 네트워크간의 인스턴스 동일성 확인)

  • 권용식;차상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86-188
    • /
    • 1999
  • 지리 정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서로 다른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이질성으로 인하여 통합 작업은 단순화 관계를 갖는 네트워크간의 인스턴스 동일성 확인에 대한 연구를 기술한다. 네트워크 구조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는 위치 정보와 위상 정보를 명시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도로, 수도, 배전 등 많은 응용분야를 갖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네트워크 구조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통합에서 기본이 되는 인스턴스의 동일성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signing a Space-based Locality Documentation Model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 Seol, Moon-Wo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4
    • /
    • pp.437-455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ign a space-based locality documentation model. It begins with analysing the changes of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locality documentation through literature surveys. Based on the analysis, a new paradigm of locality documentation is suggested in digital environment. It then suggests space-based documentation model, i.e., 'spanDoc Model (SPAace-based Networked Documentation Model)' which represent the new paradigm. The model focuses on planning the framework of use and accumulation of locality documentation.

A forecasting and analysis on the changing process in the spatial structures of southeast region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Seoul-Pusan High Speed Railway -A effects on Ulsan spatiality by Kyongju station of HSR- (경부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국토동남권 공간구조 변화과정의 분석과 전망 -경부고속전철 경주역이 울산시 공간에 미치는 영향-)

  • 김성득;최양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33-5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국토동남권의 인구와 고용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향후 경부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변화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범위는 양산시, 울산시, 경주시, 포항시를 대상지역으로 한 총 52개 지역공간을 기초분석 단위로 하였다. 국토동남권내 인구와 고용의 공간구조를 분석 전망하기 위하여 공간구조 측정방법인 로렌쯔곡선측정식, 중심성측정식, 접근도측정식등의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공간적 집중과 분산의 정도를 전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1994년까지 인구와 고용구조를 조사하여 공간구조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 계획된 건설 공정을 바탕으로 개통 예정시점인 2006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토동남권 공간구조를 전망하기 위하여 3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인구와 고용의 공간구조 변화를 예측하였다. 시나리오(1)은 경부고속철도의 서울-대구 구간을 우선적으로 건설하여 운행하고 대구-부산 구간은 경부철도의 기존선을 전철화하여 활용하는 방안이다. 시나리오(2)는 경부고속철도를 기본계획과 같이 2006년 완공하고 국토동남권내 1개 정차역인 경주시 건천역을 개통하였을 경우이다. 시나리오(3)은 시나리오(2)와 같은 조건하에서 국토동남권내 2개 정차역인 건천역과 울산역을 개통하였을 경우이다. 시나리오 (2)와 (3)의 경우는 일본 시즈오카현 노선을 경유하는 신간선 주변의 지역공간 특성이 우리나라 국토동남권과 유사함을 근거로 신간선개통전과 개통후의 지역공간 변화를 분석하여 본 연구와 비교하였다.

  • PDF

A New Spatial Indexing Method for Level-Of-Detailed Data (레벨별로 상세화된 공간 데이터를 위한 새로운 공간 인덱싱 기법)

  • 권준희;윤용익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5 no.4
    • /
    • pp.361-371
    • /
    • 2002
  • An efficient access techniqu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in GIS. Using level -of-detailed data, we can access spatial data efficiently, because of no access to the fully detailed spatial data. Previous spatial access methods do not access data with level of detail efficiently. To solve it, a few spatial access methods for spatial data with level of detail, are known. However these methods support only a few kinds of data with level of detail, i.e, data through selection and simplification operations. For the effects, we propose a new spatial indexing method supporting fast searching in all kinds of data with level of detail. In the proposed method, the collection of indexes in its own level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index structur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offers both no data redundancy and high search performance.

  • PDF

Spatial Object-Relational Data Model in iSTORM (iSTORM에서의 공간 객체-관계 데이터 모델)

  • 박경현;남광우;박성희;류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24-26
    • /
    • 2000
  • 공간 데이터는 복합적인 속성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연산 또한 복합적이라는 점에서 일반 데이터와 다른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공간 데이터는 일반 속성 데이터와 구별되는 파일이나 별도의 저장 구조를 사용하여 관리되어야 한다. 이것은 비공간 데이터와 공간 데이터간의 상호 동기화 문제와 트랜잭션의 처리 등에서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단일 데이터베이스화하여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일화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지원하기 이한 공간 객체-관계 데이터 모델을 정의하고 이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타입 저장 방법들에 대해 기술한다.

  • PDF

GIS를 이용한 교통망상 시간거리 지도화 방법 및 접근성의 구조 분석

  • Kim, So-Yeon;Lee, Geum-Suk
    •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 /
    • 2005.12a
    • /
    • pp.40-47
    • /
    • 2005
  • 카토그램(Cartogram)은 통계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공간에 나타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카토그램이란 넓은 의미에서 모든 통계지도를 포함하지만, 좁은 의미에서 지도의 변형을 통해 통계데이터의 특징을 표현하는 시각화 방법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후자의 의미에서 카토그램이란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절대적 공간을 시간거리 접근성에 의한 공간 카토그램으로 재구성하여 지도화하고, 변화된 공간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카토그램은 특정한 목적을 위해 기본도의 형상이나 지역간의 연속성을 강조시켜서 만든 변형된 지도의 일종으로 전통적인 지도와는 매우 다른 이미지를 주게 되지만, 표현하고자 하는 현상의 공간적 구조를 매우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