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ga Structure System

입체.복합 공간구조(Mega Structure)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 정유나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
  •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
  • 신영수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 Published : 2008.11.07

Abstract

Recently, as necessity for urban recycling has increased, the research on integrated multi-purpose space has been required. Development of the system for integrated multi-purpose space is needed to form the efficient and higher value-added space. In this research, the notion of integrated multi-purpose space is defined and two proposed structural system, which are space truss and mega structure system, are compared. Mega structure system has been found as more proper system and proposed for analysis. As verified by the number of mega beam and shape of mega column, the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he results show that mega structure system offers proper performance for integrated multi-purpose space.

국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국가 단위가 아닌 도시 단위의 경쟁력 제고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도시재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시재생의 위한 공간의 효율성 극대화와 고부가 가치를 갖는 공간의 창출을 위해서는 입체 복합 공간구조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과 시공 사례를 바탕으로 하여 입체 복합 공간구조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위한 구조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입체 복합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규모 및 용도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Mega structure 시스템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에 따라 Mega structure 모델의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을 위해 기본 Mega structure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모델의 Mega column과 Mega beam의 형태 및 위치를 변화시켜가며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Mega structure 시스템이 실제 입체 복합 공간을 실현시킬 수 있는 충분한 성능을 발휘한다고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