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계획

Search Result 3,68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해양치유시설계획을 위한 공간환경기준 개발 연구

  • Gang, Yeong-Hun;Lee, Han-Seok;Seong, H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23-124
    • /
    • 2019
  • 본 연구는 해양치유시설 공간계획 수립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공간환경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서 해양치유시설계획의 기본적인 항목인 입지선정, 환경계획, 공간계획을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치유시설 특성을 살펴보고 해양치유시설계획의 기초가 되는 치유자원과 치유요법을 조사하며 해양치유시설 관련 해외기준을 분석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치유시설의 입지선정, 환경계획, 공간계획을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 PDF

Systematizing and Improving of Spatial Environment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공간환경계획 수립을 위한환경정보의 체계화와 개선방안)

  • Eum, Jeong-Hee;Choi, Hee-Sun;Lee, Gil-Sa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9 no.2
    • /
    • pp.111-133
    • /
    • 2010
  •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notwithstanding their feasibility and potential utility in constr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spaces, has long been perceived in practice as "declarative" and a "formality." Such perceptions are largely the result of the failure to provide spatial planning that is directly relevant to development of the space in question, and to sufficiently interconnect with urban development plan. This demonstrates the need for ways to link disparate plans, i.e. to enact "spatial environment plan." In response to these issues, this study proposes the systematization of spatial environment data as a necessary prerequisite to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 plan, which would provide both linkages with other plans, and ensure the applicability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existing environmental data, and then proposed systems for links with spatial environment plan. In respect of this, the study examined spatial data systems, and then classified applicable spatial according to each environmental medium. The study also produced spatial information and planning items that can be included in spatial environment plans for each of the nine environmental media, and then constructed a system that could link th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system, current spatial environment data, and spatial environment management plan. Furthermore, the study proposed matters for improvement in the construction of spatial environmental data to ensure the activation of spatial environment plan. The construction of a systematic spatial database, by facilitating the smooth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 plan, can enhance and upgrade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while contributing to enhanced linkages with related spatial plans.

  • PDF

An Alternative Proposal of the 3D Spatial Data Construction & Utilization for Cityscape Planning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3D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제안 -GIS DB 및 위성영상의 이용을 중심으로-)

  • Choi, Bong-Moon;Lim, Young-Taek;Han, In-Gu;Cho, B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11a
    • /
    • pp.421-425
    • /
    • 2006
  • 본 연구는 도시계획 및 설계에 범용되는 그래픽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3차원 공간정보의 구축 방법과 신규 도시개발이나 도시경관계획에서 3D 공간정보를 이용한 컴퓨터시뮬레이션 활용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은 기 구축된 GIS DB(수치지형도, 건축물 대장 등)와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도시경관계획에 필요한 3D 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그렇게 구축된 공간정보의 활용 방안으로 도시경관 측면에서 계획 및 개발 시나리오에 대한 컴퓨터 3D시뮬레이션을 통한 좀더 사실적이고 직접적인 경관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특히 3D 공간정보의 구축과 활용에 있어서 공간적 위계에 따라 광역적 차원, 도시적 차원, 지구차원에서 경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연구를 통해서 도시경관계획 등 다양한 공간계획 및 개발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위한 효율적이고 간편한 3D 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Planning for Accommodation Area of Accommodation Barge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Kang, Young-Hun;Lee, Han-Seok;Doe, Ge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38-339
    • /
    • 2011
  • 본 연구는 해양플랜트 지원선 중 작업자들에게 전용거주시설을 제공하는 생활바지선 거주구공간계획에 관한 연구이다. 생활바지선의 거주구는 '작업자영역', '서비스영역', '승무원영역', '업무영역'으로 공간을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10척의 생활바지선 일반배치도(GA)를 조사하여 거주공간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양플랜트 거주구 설계시 가장 많이 참조되는 ABS, NORSOK 등 해외선급협회에서 제시하는 해양플랜트 거주구 공간설계지침을 분석하여 생활바지선에서 거주구 공간계획에 적용하기위한 설계지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생활바지선 거주구 설계모델을 설정하고 모델을 대상으로 데크별 공간배치와 동선을 계획하였다. 마지막으로 거주구 설계모델의 객실, 식당, 주방, 휴게공간 그리고 위생시설 등 주요공간을 대상으로 공간계획을 실시하고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최근 국내 조선업계에서도 생활바지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거주구 공간설계기술의 부족으로 외국 설계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우선 한국선급협회에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계획을 위한 설계지침을 시급히 만들어야만 한다.

  • PDF

녹지네트워크계획을 위한 녹지유형구분의 한일비교 연구

  • 강명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82-84
    • /
    • 2003
  • 도시생태환경복원을 위한 녹지기본계획에서 취급되어질 수 있는 녹지유형 구분에 관한 한일비교연구로, 한국의 환경부, 서울시, 울산시의 계획과 일본의 동경도, 오사카부, 아오모리현, 효고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의 녹의 기본계획을 참고로, 녹지공간의 구분기준에 대한 고찰을 행하였다. 그 결과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의 녹화공간의 구분은 녹지 공간배치를 중심으로하는 시점에서의 공간 구분을 행하고 있어, 공간 위계질서 체계를 구축함에 유용한 구분으로 되어있다. 이와 달리, 일본에서의 녹화 공간구분은 관련법규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행정적인 시점에서의 공간 구분을 행하고 있어, 실현성 높은 공간 구분으로 행정적인 관리체계에까지 일괄적인 연계가 가능하도록 고려되어 있다. 또한, 도시공간의 동일한 지역구분을 하고 있으나, 그 지역 내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세부지역을 구분하여 지역성을 남길 수 있는 유연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비록 법적인 체계 정립이 미비한 한국이지만, 녹화의 계획적인 면보다는 행정적으로 실질성을 가질 수 있는 녹지계획의 관련법규 및 규제 등을 고려한 공간유형구분이 보다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Critical Reviews on Concept of Spatial Planning - From the Perspective of ESDP and PCPA in 2004 in the UK - (공간계획의 개념에 관한 검토 - 유럽의 ESDP와 영국의 PCPA 2004를 중심으로 -)

  • Kim, Tae-Hoon;Kwon, Hyuk-Jin;Lee, Cheon-Jae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5 no.1
    • /
    • pp.99-122
    • /
    • 2015
  • Spatial planning, is required to be conceptualized corresponding to the shifts in planning paradigm through logical and systematic approaches. The concept of planning, thu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not only the planning discipline but also the planning activities or practices. This study aims to review and examine the concept of spatial planning based on the different approaches of planning and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land use planning, then review a meaning of spatial planning in terms of its dimensions. The research range will be limited to only the concept of spatial planning and survey was carried on through collecting the secondary research data by literature reviews and both descriptive and comparative approaches will be applied concurrently.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found as follows: Firstly, spatial planning has been reviewed with regard to theoretical, practical and integrated approaches. Secondly, the concept of spatial planning has been examined in terms of definitions, dimensions and analysis criteria and then analyzed conceptual differences compared with traditional land use planning. Finally, a meaning of spatial planning has been highlighted based on the dimensions of spatial planning, such as future visions, policy toolbox,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clusivity.

Structuration of Space Change due to Planning and Leisure Activities in Hangang River Park - Focused on the Hangang River Park in Yeouido from the 1970s to the 2000s - (여가 활동 공간으로서 여의도 한강공원 공간변화의 구조화 -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여의도 한강공원의 여가 활동과 계획을 중심으로 -)

  • Cho, Han-S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2
    • /
    • pp.13-27
    • /
    • 2019
  • This study shows the changes in the space created by the planning and leisure activities of Hangang River Park, focusing on the Yeouido portion of the Hangang River Park, which has the most users and the greatest degree of plan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ing, behavior, and space changes are explained based on Giddens's Structural Theory. As research material, Hangang River Park plans and satellite photos were interpreted and newspaper articles were used to identifying the space changes and their causes, and a model of the space changes was deri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The flow of space change in the Yeouido portion of the Hangang River Park due to planning and leisure activities is as follows. In the 1970s, the first sports spaces are made due to need from residents near the riverside, but huge plans for the utilization of the entire space were not realized. In the 1980s, leisure spaces were planned and developed through a comprehensive plan. Various sports spaces were built, but the environment of the spaces became a slum. In the 1990s, various leisure activities were revitalized due to the revision of the legal system, regulations on the usage of space, and space maintenance, and from the late 1990s, ecological issues arose along the Hangang River. In the 2000s, there was an overall space improvement project directed by two comprehensive plans, and cultural and ecological issues appeared in the Hangang River Park plans. However, actual leisure spaces were developed along with the promotion of large-scale activities. Regarding the structuration theory, elements of interaction, modality, and structure are the aspects of space changes in the Yeouido portion Hangang River Park. As the flow of the space change, the proportions of the comprehensive plan and the individual plans were similar. The comprehensive plan was influenced by the change of public businesses and the proliferation of large-scale activities. Individual plans were influenced by the user's activities and opinions. However, both plans were influenced by the users and suppliers. The leisure space of the Hangang River Park can be viewed as a social space, in terms of the structuring as a theory due to the user repeatedly changing the use of the space. The purpo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Hangang River Park space through planning and leisure activities. Throug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gang River Park in planning the leisure activity space.

Hierarchical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U-Eco City Services in Urban Space -Focused on the Service Classification by Planning Factors and its Spatial Adaptability - (U-Eco City 서비스의 공간위계별 적용가능성 분석 -계획요소별 서비스 분류와 공간단위 적용성을 중심으로-)

  • Lee, Sangho;Leem, Yountaik;Kim, He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11
    • /
    • pp.458-46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U-Eco City services and to analyze the possibility and easiness of application in urban space. The most significant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design and planning guidelines for integrated U-Eco City. This study progress as follows; First, U-Eco City concept and their services were defined and the spatial units of U-Eco City were distinguish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U-Eco City spaces are classified into four levels such as building, street, facility and district. Finally, the application of U-Eco city services was analyzed together by the statistical technique of cross-tabulation. 35.7% of U-city services was serviced in urban district and 38.8% of Eco City services was applied to Building. U-City and/or Eco city services were adap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rban spatial hierarchy. Those services should be appli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in designing and planning U-Eco City.

Issues of Developing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patial Planning (국토공간계획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 개발과제와 해결방안)

  • Choe, Byong-Nam;Im, Eun-Sun;Kim, Ki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31-139
    • /
    • 2007
  • 국토기본법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은 국토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및 계획을 규정하고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GIS를 기반으로 공간의사결정 지원체계 구축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그 동안 행정업무를 위한 자료관리 중심의 정보화에서 공간자료분석을 기반으로 한 정보화에 대한 새로운 수요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국토공간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들이 있다. 본 연구는 국토공간계획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장애가 되는 과제를 파악하고, 해결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는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의 설계 및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s를 가지고 접근했다. 시스템 설계 관점에서 처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입력되는 자료와 지식, 분석처리하는 방법, 인터페이스 등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을 설정했다. 시스템 개발과 관련하여 개발도구 확보,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시스템의 지속성 확보 등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s를 설정했다. 마지막은 향후 공간의사결정 지원체계의 연구 및 개발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파트너쉽에 대한 research question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 구축과 관련해 기초적인 이론이나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다. 대부분 외국의 연구 및 개발사례를 소개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거나 운용하는 기반기술인 개발도구에 대한 기술수준이 상당히 미흡하다. 조사결과에서 공개소프트웨어 도입에 대한 필요성 강조가 이를 반증하고 있다. 또한 시민사회의 성숙, 다양한 사회단체 출현 등으로 국토공간계획 과정에 이해관계자 참여정도가 질적 양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기법 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고 단편적으로 관련 기술을 소개하는 정도이다. 국토공간계획 및 정책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장기간에 걸긴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국토공간계획은 우리나라만의 자연 환경 및 인문환경의 특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의 개발방법론, 우리의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 PDF

부산남항 재창조를 위한 수변공간계획

  • 최혜린;강영훈;이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9-131
    • /
    • 2023
  • 부산남항은 부산도심의 중심지에 위치한 연안항으로서 지난 1세기동안 수산업, 수리조선업을 토대로 성장해왔다. 하지만 항만기능의 축소, 항만시설 노후화, 수변과의 단절. 주변지역 침체 등으로 항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증가하고 남항을 둘러싼 주변 여건이 급격하게 변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부산남항의 기능재편 및 공간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남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변모시키기 위해서는 항만이 차지하던 수변을 친수공간을 비롯한 다목적 도시공간으로 재개발하여 시민과 관광객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재창조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변공간, 수변경관, 수변활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부산남항의 재창조를 위한 수변공간계획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