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체계

Search Result 2,74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국가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의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 Seo, Yong Won;Jin, Hui Chae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9 no.12
    • /
    • pp.50-50
    • /
    • 2002
  • 최근 GIS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정보 기술을 활용한 지리공간정보의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ㆍ정보통신부 등 관련 부처별로 국가 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상 지리공간정보의 특성에 따라 집중형 및 분산형의 공간정보유통체계가 개별적으로 구축되어 있어 유통체계의 혼란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형 및 분산형 유통체계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유통체계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의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용원;진희채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9 no.12
    • /
    • pp.1454-1463
    • /
    • 2002
  • 최근 GIS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정보 기술을 활용한 지리공간 정보의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ㆍ정보통신부 등 관련 부처별로 국가 지리공간정보 유통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상 지리공간정보의 특성에 따라 집중형 및 분산형의 공간정보유통체계가 개별적으로 구축되어 있어 유통체계의 혼란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형 및 분산형 유통체계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유통체계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Introducing Spatial Data Warehouse into Clearinghouse Systems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유통체계에의 도입 연구)

  • Jin, Hui-Chae;Jeong, Seung-Ryeol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11a
    • /
    • pp.237-25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Clearinghouse 중심의 공간 유통정보체계에 대하여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를 적용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유통체계에 따라서 설치 가능한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유형 및 특성을 검토하여 3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또한 조직의 특성 등에 따라 수평적 체계 및 수직적 체계에서의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 및 확산전략을 제시하고, 이런 요소들이 전체적인 구성을 이룰 경우 총괄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는 국가 공간데이터 웨어하우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esirable Model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licy Promotion System (국가공간정보정책 추진체계의 바람직한 모형구축에 대한 연구)

  • Kim, Tae Ji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6
    • /
    • pp.91-98
    • /
    • 2012
  • In order to efficiently promote a nation's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vision, it is important that a rational NSDI promo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such a NSDI promotion system, cooperation among the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consistency of policies are crucial. In these regard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desirable model for the NSDI promotion system. Also,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problems and provide solutions in Korea NSDI promotion system.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views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a desirable NSDI promotion system should be consisted of the upper system (at the planning level) and the lower system (at the executive or implementing level). Second, the upper and lower system in NSDI promotion system should both be vertically connected and be horizontally connected. Third, the upper system should consist of the NSDI promotion committee, civil advisory committee, and sub-committee. Fourth, the lower system for the execution purposes of NSDI projects should consist of the NSDI top manager, in each central/local government, and professional support institute.

Issues of Developing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patial Planning (국토공간계획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 개발과제와 해결방안)

  • Choe, Byong-Nam;Im, Eun-Sun;Kim, Ki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31-139
    • /
    • 2007
  • 국토기본법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은 국토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및 계획을 규정하고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GIS를 기반으로 공간의사결정 지원체계 구축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그 동안 행정업무를 위한 자료관리 중심의 정보화에서 공간자료분석을 기반으로 한 정보화에 대한 새로운 수요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국토공간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들이 있다. 본 연구는 국토공간계획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장애가 되는 과제를 파악하고, 해결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는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의 설계 및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s를 가지고 접근했다. 시스템 설계 관점에서 처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입력되는 자료와 지식, 분석처리하는 방법, 인터페이스 등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을 설정했다. 시스템 개발과 관련하여 개발도구 확보,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시스템의 지속성 확보 등을 중심으로 research questions를 설정했다. 마지막은 향후 공간의사결정 지원체계의 연구 및 개발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파트너쉽에 대한 research question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 구축과 관련해 기초적인 이론이나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다. 대부분 외국의 연구 및 개발사례를 소개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거나 운용하는 기반기술인 개발도구에 대한 기술수준이 상당히 미흡하다. 조사결과에서 공개소프트웨어 도입에 대한 필요성 강조가 이를 반증하고 있다. 또한 시민사회의 성숙, 다양한 사회단체 출현 등으로 국토공간계획 과정에 이해관계자 참여정도가 질적 양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기법 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고 단편적으로 관련 기술을 소개하는 정도이다. 국토공간계획 및 정책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장기간에 걸긴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국토공간계획은 우리나라만의 자연 환경 및 인문환경의 특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의 개발방법론, 우리의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 PDF

The Strategies of Developing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 Choe, Byong-Nam;Im, Eun-Sun;Kim, Kir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5 no.4
    • /
    • pp.371-383
    • /
    • 2007
  •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KOPSS) represent Korean style national policy and planning support systems using the GIS-based spatial analysis methods. The KOPSS refers to a kind of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SDSS) or the planning support systems (PSS) for stakeholders' spatial decision-making. The KOPSS uses the existing individual databases obtained from the Architecture Information Systems (AIS) and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LMIS) that have been constructed by information projects since the mid 1990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strategies and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the KOPSS by considering the comprehensive basic composites of the GIS-based SDSS or PSS. For this, it deals with the basic concepts, the development strategies, the base environment strategies, and the promotion strategies of the KOPSS.

  • PDF

Building up Spatial Data Warehouses into the Spatial Data Infrastructure (유통체계를 고려한 공간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방안 연구)

  • Jin, Heui-Chae;Jeong, Seung-Ryul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2 no.2 s.4
    • /
    • pp.89-97
    • /
    • 2000
  • This paper deals with the method which can apply spatial-data warehouses into the spatial data infrastructure in the view of clearinghouse. First, we classify the type of available data warehouses in the consider with patterns and properties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 Then we suggest strategies for building and expanding data warehouses into various organizations.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ors, we suppose how the national spatial data warehouse come into being.

  • PDF

Position Identification Scheme for Ubiquitous Spatial Computing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위치 식별체계 : u-Position)

  • Kang, Hae-Kyong;Lee, Sang-Zee;Li, Ki-Jou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80-285
    • /
    • 2008
  • 유비퀴터스 공간컴퓨팅 환경이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지리정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융복합 IT환경을 말한다. 이 유비퀴터스 공간컴퓨팅 환경에서 객체의 위치는 이질적 공간에서 수시로 변하는 특성을 가진다. 공간의 이질성과 이동성에 대한 유지관리는 지리정보 서비스공급자들에게 많은 부담으로 존재한다.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 본 연구는 물리적 위치변화에 독립적인 논리적 위치참조체계(이후, 'u-Position' 체계)를 제안한다. u-Position 체계는 IRI형태의 명명 체계와 이를 해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로 구성된다. 인터넷 환경에서 u-Position의 서비스 구조를 보여준 후, 사용 예를 기술하겠다. u-Position은 feature가 여러 공간에서 다른 좌표체계에 의해 다중 표현 되더라도, 이 feature를 인식하는 유일 식별자로서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공간의 이질성과 위치 이동성이 존재하는 유비퀴터스 공간컴퓨팅 환경이라 하더라도 객체의 위치투명성(location transparency)과 공간의 연결성(seamlessness)을 보장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usability of Spatial Information in Urban Integration and Operation System in u-City (u-City 도시통합운영체계를 위한 공간정보 활용방안 연구)

  • Kim, Eun-Hyu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43-50
    • /
    • 2007
  • 최근 수요가 급증되고 있는 u-City의 경우 성공적인 구축을 위하여 도시통합운영센터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나아가 이를 보다 확장시킨 개념인 도시통합운영체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처럼 u-City의 핵심기반으로서 도시통합운영체계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효율적인 도시통합운영체계 구축을 위해선 공간정보 활용이 필요하다. 즉, 지자체에선 오래전부터 GIS 정보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공간정보를 구축 활용하고 있다. 효율적인 도시통합운영체계 구축을 위해선 공간정보의 활용은 필수적이며, 이는 u-City 추진의 핵심적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u-City 도시통합운영체계에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을 위해 u-City의 도시통합운영서비스와 관련하여 공간정보의 활용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Reference System for Spatial Information of Railway Object (철도 선로 및 시설물 공간정보 참조체계에 관한 연구)

  • Won, Jong-Un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 /
    • v.11 no.4
    • /
    • pp.441-448
    • /
    • 2014
  • The application of spatial information has drawn significant attention from a wide range of industries. Railway spatial information facilitates the cooperation among related parties and improves the efficiency of asset management and operations. This study proposes the structure of Railway Object IDentifier(ROID) on railway spatial information. Current facility management and train operation are based on relative positioning system. Despite many advantages, relative positioning system causes serious problems such as the entire reconfiguration of positioning in the case of line change. Another major concern is the interface compatibility between individual facilities with different relative positioning. ROID based on absolute positioning addresses these issues, allowing the information exchange and convergence between independent parties. This study proposes ROID based on OID standard with object IDentifier and service object-oriented reference system. Our ROID employs the absolute positioning and the unique identifier, maintaining the compatibility with existing manage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