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질의 처리

Search Result 602,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In-Route Nearest Neighbor Query Processing Algorithm with Time Constraint in Spatial Network Databases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 시간제약을 고려한 경로 내 최근접 질의처리 알고리즘)

  • Kim, Yong-Ki;Kim, Sang-Mi;Chang, Jae-Wo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2
    • /
    • pp.196-200
    • /
    • 2008
  • Recently, the query processing algorithm in spatial network database (SNDB) has attracted many interest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route-based query processing algorithm in SNDB. Since the moving objects moves only in spatial networks, the route-based algorithm is very useful for LBS and Telematics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analyze In-Route Nearest Neighbor (IRNN) query, which is an typical one of route-based queries, and propose a new IRNN query processing algorithm with time constraint. In addition, we show from our performance analysis that our IRNN query processing algorithm with time constraint is better on retrieval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IRNN query processing one.

Aggregation Method using R-tree for Spatial Continuous Query in DSMS (DSMS에서 영역을 포함하는 공간 연속질의 처리를 위한 R-tree기반의 집계기법)

  • Kim, Sang-Ki;Li, Yan;Lee, Dong-Wook;Oh, Young-Hwan;Bae, H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80-84
    • /
    • 2008
  • DSMS는 USN과 같은 환경으로부터 스트림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 받아 등록된 연속질의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DSMS는 등록된 연속질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버퍼에 관리하며, 스트림데이터의 저장기법에 따라 연속질의 처리 성능 및 버퍼 저장비용이 개선될 수 있으며, DSMS에서 연속질의는 특정 스트림데이터에 대해 일정한 기간 동안의 평균 값, 최대 소 값, 누적 값 등의 집계 연산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DSMS에서는 이러한 집계 연산이 필요한 연속질의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LINT, BINT등의 자원 공유 집계 처리기법이 제안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자원공유 집계 기법들은 위치 값을 포함하는 GeoSensing 데이터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DSMS에서 공간영역질의 기반의 연속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R-tree기반의 집계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각각의 연속질의에 포함된 공간 영역을 R-tree 인덱스로 구성하고, 연속질의에 필요한 공간 스트림데이터에 대한 집계값을 저장하여 연속질의를 처리하는 것이다. 제안기법은 공간 DSMS에서 공간영역 기반의 연속질의 처리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R-tree 기반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데이터 만을 버퍼에 관리하여 저장비용을 줄일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aster Processor for Spatial Object Management System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을 위한 래스터 처리기의 설계와 구현)

  • 박재진;황태규;김광;허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147-14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국가 지리정보 시스템 기술 개발 사업의 지원으로 현재 연구, 개발되고 있는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에서 래스터 형태의 공간 정보를 처리하는 래스터 처리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먼저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의 저장 시스템안에 저장될 래스터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이를 클래스 라이브러리의 형태로 구현하여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작성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래스터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질의문 작성에 포함되는 질의 연산 및 관련 모듈을 구현하여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의 질의 수행기에 삽입하여 래스터 정보의 질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atial Database System Supporting Integrity maintenance Facility (무결성 유지 기능을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Young-Geol;Bae, Hae-You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9
    • /
    • pp.2224-2232
    • /
    • 1998
  • 본 논문은 공간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연계 처리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의미적 무결성을 보장하는 확장된 공간 질의 처리 시스템의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다양한 실세계의 지형 및 공간 정보를 모델링해야하는 지리정보 시스템은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다루는 데이터는 단순 객체가 아닌 추상화된 복합 객체로 다양한 유도 데이터에 대한 의미적 무결성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내부에서 효율적으로 유지해야 하며 공간 데이터의 의미적 특성을 제약 조건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질의 처리기를 확장하기 위해 공간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 정보를 술어 논리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 제약 언어를 제안한다. 제안된 공간 제약 언어는 축약된 질의 트리 형태로 메타-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저장된 공간 제약 언어는 사용자의 질의에 대해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일치성을 보장하는 정보로 사용된다.

  • PDF

Resource Sharing Method to Reduce Duplicate Operation Cost of Multiple Spatial Aggregates in u-GIS Environment (u-GIS 환경에서 다중 공간 집계 질의의 중복연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원공유 기법)

  • Seo, Min-ho;Kim, Sang-Ki;Baek, Sung-Ha;Li, Yan;Lee, Dong-Wook;Bae, H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344-347
    • /
    • 2009
  •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연속집계질의 수행 시 중복연산 및 메모리의 절약을 위하여 큐를 공유하는 자원공유기법이 연구되었다. 기존의 자원공유 기법들은 질의의 프리디킷이 일치할 때만 처리하기 때문에, 질의의 프리디킷이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은 다중공간 집계질의가 자주 요청되는 u-GIS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중복영역을 처리할 수 있는 자원공유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영역을 효율적으로 그룹화하는 R-tree 의 특징을 이용하여 질의간의 중복영역을 그룹화하고 중복영역의 자원을 패인(Pane)구조를 이용하여 공유한다. 노드 수에 제한이 없고 레벨을 1로 하는 R-tree 로 유사한 위치의 질의들을 그룹화 한 후, 그 질의들의 영역이 겹쳐지는 부분을 패인을 이용해 집계 값을 공유하여 중복계산을 피하는 방법이다. 제안 기법은 공간 집계질의를 처리할 수 있고, 기존의 계층구조의 자원공유 기법을 사용할 때에 비해 자원을 적게 사용하고 질의 처리 시간을 단축시켰다. 성능평가를 통하여 제안기법이 메모리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였으며, 질의 처리 속도가 증가하였다.

Querying Spatio-Temporal Context for Intelligent Service Robots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위한 시-공간 상황 질의)

  • Kim, Jong-Hoon;Kim, 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96-89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일상생활 환경에서 동작하는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위한 시 공간 상황 질의 언어와 질의 처리 방안을 제안한다. 서비스 로봇이 외부 환경 변화를 정확히 인식하고 행동 절정에 신속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로봇 내부에서 관리되는 상황 지식들이 매우 높은 시간 의존성을 가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상황 질의 언어인 RCQL은 시간 의존성이 높은 공간 관계 상황 지식들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Allen의 간격 대수 이론에 기초한 시간 연산자들을 포함하고 있다. 물체들 간의 고수준 공간 관계 상황 지식을 조회하는 RCQL 질의들에 신속히 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후향 정량 추론을 포항한 질의 처리기의 설계 방안도 제시한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상황 질의 언어와 질의 처리 방안의 우수생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osest Pairs and e-distance Join Query Processing Algorithms using a POI-based Materialization Technique in Spatial Network Databases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 POI 기반 실체화 기법을 이용한 Closest Pairs 및 e-distance 조인 질의처리 알고리즘)

  • Kim, Yong-Ki;Chang, Jae-Woo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9 no.3
    • /
    • pp.67-80
    • /
    • 2007
  • Recently, many studies on query processing algorithms has been done for spatial networks, such as roads and railways, instead of Euclidean spaces, in order to efficiently support LBS(location-based service) and Telematics applications. However, both a closest pairs query and an e-distance join query require a very high cost in query processing because they can be answered by processing a set of POIs, instead of a single POI. Nevertheless, the query processing cost for closest pairs and e-distance join queries is rapidly increased as the number of k (or the length of radius) is increased. Therefore, we propose both a closest pairs query processing algorithm and an e-distance join query processing algorithm using a POI-based materialization technique so that we can process closest pairs and e-distance join queries in an efficient way. In addition, we show the retrieval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s by making a 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conventional algorithms.

  • PDF

Range and k-Nearest Neighbor Query Processing Algorithms using Materialization Techniques in Spatial Network Databases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체화 기법을 이용한 범위 및 k-최근접 질의처리 알고리즘)

  • Kim, Yong-Ki;Chowdhury, Nihad Karim;Lee, Hyun-Jo;Chang, Jae-Woo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9 no.2
    • /
    • pp.67-79
    • /
    • 2007
  • Recently, to support LBS(location-based services) and telematics applications efficiently,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which consider the spatial network instead of Euclidean space. However, existing range query and k-nearest neighbor query algorithms show a linear decrease in performance as the value of radius and k is increased. In this paper,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query processing algorithm, we propose materialization-based range and k-nearest neighbor algorithms. In addition, we make the performance comparison to show the proposed algorithm achieves better retrieval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algorithm.

  • PDF

Extended R-tree Spatial Indexing Methods with DTVF (DTVF를 갖는 확장 R-tree 공간 색인 기법)

  • 정원일;정보흥;박동선;김재홍;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228-230
    • /
    • 1999
  • 공간 인덱스를 이용한 공간 질의 처리의 과정은 여과와 정제 단계로 이뤄진다. 여과 단계에서 후보 객체의 수를 줄이며, 정제 단계에서의 false-hit이 낮아지므로 불필요한 디스크 접근과 공간연산으로 인한 질의 처리 비용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과 단계에서 후보 객체를 최소화하기 위해 DTVF가 추가된 확장 R-tree를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n차원 상에 존재하는 공간 객체의 대표 정점들을 구석점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2n차원의 점으로 변환하고, 이 값을 확장된 R-tree라는 리프 노드의 DTVF에 유지한다. 공간 질의 처리시 여과 단계에서 DTVF를 이용하면 후보 객체 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DTVF에 유지된 차원 변환된 값을 통해 후보 객체 선정에도 빠른 성능을 나타낸다. 제안된 기법은 공간 질의 처리시 여과 효율을 극대화하여 질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킨다.

  • PDF

A Study on Data Caching and Updates for Efficient Spatial Query Processing in Client/Server Environments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효율적인 공간질의 처리를 위한 데이터 캐싱과 변경에 관한 연구)

  • 문상호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7 no.6
    • /
    • pp.1269-1275
    • /
    • 2003
  • This paper addresses several issues on data caching and consistency of cached data in order to process client's queries efficiently in client/server environments. For the purpose, first of all, materialized spatial views are adapted in a client side for data caching, which is called client views. Also, an incremental update scheme using derivation relationships is applied to keep cached data of clients consistent with the rest of server databases. Materialized views support efficient query processing in a client side, however, it is difficult to keep consistent their contents by the update of a server database. In this paper, we devise cost functions on query execution and view maintenance based the cost of spatial operators so as to process client's queries efficiently. When request the client's query, in our query processing scheme, 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or not materialize it as a view due to evaluation using the related cost functions. Since the scheme supports a hybrid approach based on both view materialization and re-execution, hence, it should improve query execution times in client/server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