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지도

Search Result 1,84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Case Study on Production of Next Generation Digital Map (차세대 수치지도 구축을 위한 국내.외 사례 분석)

  • Lee, Hyun-Jik;Yu, Young-Geol;Ru, Ji-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335-340
    • /
    • 2008
  • 급속한 지식정보화 시대의 도래로 인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토지관리, 환경, 국토계획, 해양, 재해 등과 관련된 정보를 통합하고 교류하는데 있어 핵심기술로 인식되어가고 있으며 GIS의 이용이 생활 속에서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GIS의 기초데이터인 수치지도는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사업의 일환인 공간정보 기반인프라 기술개발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는 단계에 있으며 현실세계의 모형에 가장 적합하고 최신성의 확보가 용이한 차세대 수치지도의 제작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수치지도의 개념과 구축 방안을 정립하기 위하여 국내 외의 수치지도 제작 및 활용 사례 조사를 통하여 현재 수치지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차세대 수치지도가 갖추어야 할 특성을 정의하였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and Design of 3D Digital Map (3차원 수치 지도 제작 및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범수균;송상수;정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604-607
    • /
    • 2003
  •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사용이 여러 분야에서 점차 확대됨에 따라 단순한 2차원적인 평면 공간상의 수치정보의 제공에서 벗어나 보다 실제적이고 현실감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지도모델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져가고 있다. 이에 2차원 지리정보시스템(2D GIS)의 데이터 정보 표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모델이 3차원 수치지도 정보를 가진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3D GIS)이다. 3차원 수치지도는 2차원 수치지도가 가지는 정보 표현 한계를 벗어나 보다 높은 가독성과 함께 표현한 수 있는 정보량이 높고 다양해 여러 분야로 활용 방안이 가능하다. 따라서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에 대한 공간자료(Spatial Data)의 오차한계 극복과, 정밀한 3차원 데이터를 효율성 있게 구축하기 위한 3차원 수치지도의 모델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전 지역을 대상으로 한 3차원 수치지도 측량 및 제작, 이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진행한다.

  • PDF

The Verification of updating road based digital map using GPS-Van (GPS-Van을 이용한 도로기반의 수치지도 수정 가능성 검증)

  • Jeong, Ju-Kwon;Joo, Young-Eun;Choi, Jong-Hyun;Park, Su-Young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175-181
    • /
    • 2004
  •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부터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건설교통부,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및 행정자치부 등 범국가적으로 2000년까지 제 1단계 사업을 마쳤으며, 2001년부터 제 2단계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국가지형 및 시설물 등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다양한 객체에 대한 위치 및 속성정보의 획득, 저장, 관리, 활용을 위한 신속한 수치지도 수정갱신이 요구된다. 또한 도로시설물을 비롯한 다양한 지형지물정보는 공간정보를 다루는 도시, 교통, 물류, 환경 및 군사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결정 및 계획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이고 이와 같은 정보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득되어야 하며,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정보를 획득하는 신기술을 적용한 작업방법론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도 신기술인 "차량탑재 모바일매핑 시스템(Mobile Mapping System : GPS-Van) 개발이 완료되었고, 이를 활용한 각종 지형공간정보의 수정 갱신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수치지도 수정갱신의 가능성에 대한 검토와 방법론에 대한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신기술인 GPS-Van을 이용한 수치지도 수정갱신을 위한 정확도 분석 및 오차의 영향 분석을 통하여 보다 높은 정밀도의 도로기반 수치지도 수정 갱신의 가능성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a Feature-based Spatial Data Management System for Digital Map (수치지도를 위한 피처 기반 공간자료 관리 시스템 설계)

  • Chi, Jeong-Hee;Kim, Seung-Kwan;Ryu, Keun-Ho;Kim, Myung-Ju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7 no.3 s.15
    • /
    • pp.107-118
    • /
    • 2005
  • Various spatial data are utilized, throug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the process to make a decision related to space. Generally, spatial data is large in quantity and it costs high and takes quite a long time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it. An existing spatial data management system, tile-based one, for digital map manages spatial data being separated by a uniform data unit called tile. These systems can be implemented easily but have many problems such as they can directly store and manage feature included in tile. Therefore, in this paper, we suggest a feature-based spatial data management system for digital map. The proposed system is able to store and manage spatial data in the unit of feature directly. Hence this system is able to immediately update any change in the data and to supply users with the updated data without any delay. The proposed system can not only support a function of data input, management, supplying and update but also support unity origin coordinate conversion, UFID creation, feature unifying, feature dividing and metadata input which is not supported by the existing tile-based system. The proposed system can easily manage spatial data and can increase efficiency in processing and application.

  • PDF

An Analysis of Spatial Cognition and Operation in Children's Drawings (아동의 그림을 통해 본 공간인지와 조작능력)

  • Kang, Kyo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6 no.3
    • /
    • pp.83-99
    • /
    • 2000
  • This paper purpose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for better development of geography texts. For this purpose, we have applied spatial cognition development theory to children's drawings. We have suggested that children's spatial operation ability has three development stages according to their age: topological space, projective space, euclidean space. This study turns out that Piaget and Inhelder's spatial concept development theory is on the right track. However, we make clear that their division according to the age is not always accurate due to children's individual differences. These findings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as the following: First, it is dubious that most children can understand pictures, pictorial maps and illustrations in the third grader's textbook. Second, current textbooks require pictorial map understanding and drawing to third grade students and map drawing to fourth grade students. However, according to this study, the placement of these tasks are not fit for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because both tasks correspond to euclidean space operation. Therefore, we should remove them from the textbook for children at the age.

  • PDF

대형 할인점 매출 데이터를 이용한 Semi-Variogram의 추정과 거리에 의한 할인점 이용권 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 Yu, Seong-Mo;Yun, Yeon-Sang;Kim, Gi-Hwan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4a
    • /
    • pp.99-108
    • /
    • 2006
  • 대형 할인점 매출 데이터는 G-CRM, 에어기어 마케팅(Area Marketing)에 활용하기 위해 고객의 구매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TM중부좌표로 이루어진 고객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점간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통시에 측정된 자료들이 공간적인 변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면, 공간적인 변인의 함수식에 의한 예측모형을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인 변인으로 거리가 주어졌을 때, 대형 할인점 매출 자료에 대한 세미베리오그램(Semi-Variogram)의 모형을 추정하고, 관측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할인점 이용권을 공간예측기법으로 예측하였다. 그리고 공간예측 기법을 통해 예측된 할인점 이용권을 토대로 할인점 이용권 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매출 데이터의 공간이상치 탐지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실례로 알아보았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ystem for providing mobile may service in Wireless Devices (무선 단말기에서 지도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재호;임덕성;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46-48
    • /
    • 2002
  • 무선 네트웍을 통해 공간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PDA에서 지도 정색을 하기 위해 캐쉬와 공간 색인을 사용하는 한정을 대상으로 한다. 서 대로부터 전송되는 공간 객체들은 캐쉬된 영역의 공간 객체와 중복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처리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추가되는 영역의 공간 데이터를 색인에 추가하는 연산은 Bulk-Insertion기법이 효과적이지만 추가영역에 대한 색인 구축 연산이 무선 단말기에 부하를 준다. 그리고 교체로 인한 캐쉬 영역 삭제 시에도 신속한 영역 단위의 삭제 방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중복 객체에 대한 처리 방법을 분류하고 Bulk-operation을 통해 캐쉬 영역의 빠른 색인 삽입, 삭제 연산을 수행하는 지도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계시한다. 무선 단말기에 집중된 부하를 분산시키고 성능 향상을 위해 에이전트를 이용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하여 실험한 결과 클리핑 방법이 효과적이며 전체적인 성능 향상을 보인다

  • PDF

An Explorator Spatial Analysis of Shigellosis (세균성 이질의 탐색적 공간분석)

  • 박기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5
    • /
    • pp.473-491
    • /
    • 1999
  • 세균성 이질은 국내 제1종 법정 전염병으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는 질환으로서 1998년 이후 그 발병 사례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9년 3월 부산시 사상구에서 집단 발병한 세균성 이질을 대상으로 하여, 각 환자들의 발병 시점과 장소의 분포패턴에 대한 지리학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환자분포의 특징적 공간패턴과 그들의 시계열적 확산 양상 등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론은 보건지리학과 지도학 및 공간통계학에 기반을 둔 공간분석기법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자료는 해당 지역의 수치지형도, 지적도, 인구 센서스 자료를 포함한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다. 인구분포를 감안한 밀도구분도를 바탕으로 개별환자의 위치자료와 동 단위로 집계된 자료를 자료의 형태에 따라 분석기법을 달리하였으며, 환자 발생 밀도, 상대적 위험지수 등을 지도화하여 역학자료의 시각적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환자분포의 공간적 중심위치와 분산의 변화 등 기술적 통계분석과 함께 제1차 공간속성을 커널추정법으로 찾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공간적 의존성’과 관련된 제2차 공간속성은 K-함수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군집성 등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학조사시 GIS의 활용사례가 제시되었으며, 모집단 인구를 고려한 확률지도 작성 기법과 다양한 데이터 가시화 방법, 그리고 시계열별 발생 환자들의 지리적 변이를 분석 하는데 따르는 문제들이 논의되었다.

  • PDF

The LR-Tree : A spatial indexing of spatial data supporting map generalization (LR 트리 : 지도 일반화를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를 위한 공간 인덱싱)

  • Gwon, Jun-Hui;Yun, Yong-I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9D no.4
    • /
    • pp.543-554
    • /
    • 2002
  •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need faster access and better visualization. For faster access and better visualization in GIS, map generalization and levels of detail are needed. Existing spatial indexing methods do not support map generalization. Also, a few existing spatial indexing methods supporting map generalization do not support ail map generalization operations. We propose a new index structure, i.e. the LR-tree, supporting ail map generalization operations. This paper presents algorithms for the searching and updating the LR-tree and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Our index structure works better than other spatial indexing methods for map generalization.

Generation for Attribution Information of Digital Map using Space Matching (공간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속성정보 생성)

  • Moon, Yong Hyun;Kim, Myoung Suk;Jo, Eui Hwan;Choi, Seok K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3
    • /
    • pp.101-108
    • /
    • 2012
  • The construction of data connection is required due to the digital map do not have the new address data which is implemented by the Korea government and it cannot use between government and other agency. The manually matching of digital map and new address data is time and money consuming process due to the huge amount of data. In this research, new system is developed for data generation of attribute data by the data connection method of digital map and new address data using spatial matching and matching rate of data connection is analyses. The results of data matching rate in the research area are 84% in building case and 67% in road case in 1:1000 digital map at Suwon and 18% in building case and 21% in road at Seogwip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