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정의

Search Result 1,88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ocial Justice' in Geography of Welfare (사회정의와 복지지리학에 관한 고찰)

  • Bae, Mi-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9 no.4
    • /
    • pp.546-558
    • /
    • 2003
  • Social justice has been an interest of whole geographers for almost four decades. The conception of social justice includes fairness and equity in the distribution of a wide range of attribu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ocial justice in geography of welfare. The theories of social justice are needed to describ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justice and geography of welfare. The evaluation of spatial variations in welfare is closely associated with social justice. Equality, equity, efficiency, and fairness are the reasonable criteria to apply to the evaluation of distributions of welfare, relating to distributive(or territorial) justice. However, there are complications in the spatial application of welfare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access across space, boundary crossing and ecological fallacy.

  • PDF

A Study on the Air Space Right for 3D Cadastral System (3차원 지적을 위한 공간권에 관한 연구)

  • Lee, Bong-Joo;Koh, June-Hwa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52-258
    • /
    • 2007
  • 공간권은 3차원적으로 정의된 공간에 대한 지배권 또는 공간을 분할하여 공간의 일정범위를 공학적으로 이용하는 권리로 정의할 수 있다. 공간권은 입체적 토지이용을 촉진하는 제도적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토지의 이용가치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지적에 대한 법률관계의 형성, 공간권에 대한 정확한 개념정리 등이 필요하다. 현행 2차원 평면지적에서의 기본단위인 필지(筆地)도 공간상에 존재하는 토지에 대한 인위적이며 기하학적인 구획선으로 관리하고 있으므로, 토지를 기반으로 공간상에 존재하는 모든 객체를 3차원으로 정의하여 관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적용 가능한 3차원 지적모형을 찾기 위한 기본연구로 먼저, 공간권에 대한 개념을 정의한 후 공간권의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법률적인 부분에서 심층적으로 검토하고, 궁극적으로는 3차원 지적의 도입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자 한다.

  • PDF

유클리드 기하학

  • 김홍종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
    • /
    • v.15 no.1
    • /
    • pp.111-121
    • /
    • 2000
  • 유클리드 공간의 정의와 평행이동 및 벡터의 성질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 또 이를 이용하여 아핀 공간을 정의한다.

  • PDF

Design of 3D Spatial Topological Relationships Using The Dimension Separated Method (차원 분리 기법을 적용한 3차원 공간 위상 관계 연산자 설계)

  • Jun, Sung-Woo;Chi, Jeong-Hee;Kim, Sang-Ho;Ryu, Ke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c
    • /
    • pp.1363-1366
    • /
    • 2003
  • 기존 연구에서 3차원 공간 위상 관계 연산자를 정의하는 방법은 2차원 공간 위상 관계 정의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공간 교차 방법을 단순히 3차원으로 확장해서 정의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에 의해 정의된 3차원 위상 관계 연산자로는 3차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실제 응용시스템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특수한 위상 관계 분석을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실제 응용에서 적용 될 수 있는 특수한 3차원 위상 관계를 정의하기 위하여 x,y 좌표와 z좌표를 분리해서 고려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3차원 공간 위상 관계 연산자들을 정의하고 구체적인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PEL for Spatial Analysis WPS model - With Emphasis on the Selection of Housing Units for Water Supply - (공간분석 WPS 모델을 위한 BPEL 설계 및 구현 - 상수도 보급 대상 가구 선정 사례 중심으로 -)

  • Lee, Ha Kyung;Yom,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1 no.5
    • /
    • pp.355-363
    • /
    • 2013
  • Analysis and sharing of spatial information can be made possible through the reuse of spatial analysis processes, and the sharing of spatial models on the web. However, the deployment of spatial analysis models is possible, only when the difficult tasks of model design and the exchange of spatial data are overcome. In this study, a WPS spatial analysis model is defined, based on the OGC standards, and applied to the 'Selection of Housing Units for Water Supply' application. BPEL was used to define the sequence of processes and to enable the exchange of spatial data. To this end, WSDL was defined for WPS and WFS accesses, the sequence of spatial processes was defined in BPEL, and XSLT was defined for the exchange of XML data. The WPS model was designed and deployed using the Apache ODE which provides RESTful binding. It is expected that effective decision making will be easier using the web based spatial analysis models which are realized by WPS Orchestration with BPEL, as presented in this study.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gration method of spatial index in ORDBMS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환경에 적합한 공간 색인 통합 방법의 비교 연구)

  • Lee, Min-Woo;Park, Soo-Ho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2a
    • /
    • pp.75-80
    • /
    • 2004
  • 최근 공간 데이터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증가하면서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공간 데이터베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 데이터베이스는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정의 타입과 사용자 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하는 형태로 개발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공간 인덱스와 같은 사용자 정의 인덱스를 확장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한 공간 데이터베이스는 공간 영역 질의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한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 인덱스를 개발하고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통합시킬 수 있는 방법인 GiST와 Relational Indexing을 비교/분석하고 향후 이들 방법을 이용하여 공간 인덱스를 구현하고 공간 영역 질의에 대한 성능을 비교하여 보다 적합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racking in Indoor Symbolic Space with RFID Sensors (RFID센서를 이용한 실내 기호공간내의 이동객체의 위치 추적)

  • Kang, Hye-Young;Li, Ki-Jou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7-9
    • /
    • 2010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동 객체의 위치를 향상 명시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추적 가능 실내 기호 공간(Trackable Indoor Symbolic Space)을 정의하고, 이러한 공간을 정의하기 위한 규칙들을 제안한다 위치를 좌표로 나타내는 실외 공간의 응용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대부분의 실내공간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위치를 방 번호와 같은 기호적 값으로 표현하는 기호참조체계를 이용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내기호공간의 개념과 실내 기호공간에서의 이동객체의 위치 추정에 대해 소개하고, 추정 가능한 실내공간을 만들기 위한 규칙과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PDF

A Visual Programming Technique ofr Events in VRML (VRML의 이벤트를 위한 시각 프로그래밍 기법)

  • 김수정;황충환;김수겸;김지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239-241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상에서 현실감 있는 가상공간을 저작하는데 필요한 표준언어인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을 사용하여 손쉽고, 에러가 없이 정확하게 가상공간을 구축하기 위하여 시각프로그래밍 기법을 개발하였다. VRML로 정의된 가상공간 속의 물체를 아이콘으로 정의하고 정의된 물체들간의 상호작용을 정의해주는 이벤트(Event)들의 흐름과 그에 따른 물체의 행동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새로운 VRML 프로그래밍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면 VRML에서의 이벤트 흐름을 정의하는데 있어 직관적인 그래프 형태로 나타낼 수 있어서 VRML 코드 작성과 이해가 용이해지고, 온라인으로 VRMl 코드의 형식을 점검해주므로 에러 없는 VRML 코드를 작성하기가 쉬워진다. 그러므로 VRML 프로그래머의 생산성이 증가하고 제작된 인터넷 가상공간의 정확도와 신뢰도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spatial neighborhood in spatial regression analysis (공간이웃정보를 고려한 공간회귀분석)

  • Kim, Suj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8 no.3
    • /
    • pp.505-513
    • /
    • 2017
  • Recently, numerous small area estima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obtain more detailed and accurate estimation results. Most of these studies have employed spatial regression models, which require a clear definition of spatial neighborhoods.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Delaunay triangulation as a method to define spatial neighborhood, and compare this method with the k-nearest neighbor method. A simul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ich of the two methods is more efficient in defining spatial neighborhood, and we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using a land price data.

Spatial Analysis of the Confucian Cultural Landscapes at Jeongeuihyanggyo, Jeju Island (제주도 정의향교의 유교문화경관에 대한 공간분석)

  • Lee, HaengLyo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5 no.4
    • /
    • pp.29-42
    • /
    • 2017
  • Jeongeuihyanggyo(旌義鄕校) is a kind of traditional, Confucian cultural landscapes that is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ts historical background illustrates that the first erection was started at Goseong-li of Seongsan-eup(城山邑 古城里) at Taejong(太宗) of 16 years(1417) and it moved to the west gate of Hyunseong(縣城) at Heojong(憲宗) of 15 years,(1849) Joseon. The aim at this study is to reveal characters of these Confucian Spatial Composition and Order, which are valuable resources that can be created into the cultural contents. The results demonstrate the characters of the Confucian cultural landscape as followings; the changing process of new building and its relocation, the utilization of antique maps in location interpretation of Jeongeuihyanggyo, Confucian symbolic elements of it, the spatial compositions and layouts of its buildings, physical structures, main buildings and their characters, locational points of topographic profile, changes of axial line at Daeseongjeon(大成殿), the D/H ratio of its courts. This study can show that Jeongeuihyanggyo is a case for realizing the Confucian reformation to enhance Seongeup Hyun's education standard considering the locality of the site which is an isolated island like Jejudo(濟州島). The author can see that the example of Confucian space is applied to various layout techniques,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a limited space condition of being in the cast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ve this point so that it can utilize unique Confucian cultural landscape possessed only by Jeongeuihyangg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