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정보 콘텐츠

검색결과 819건 처리시간 0.023초

공간정보 콘텐츠의 현황 및 새로운 거리 수준 콘텐츠 (Current Status of Geo-referenced Contents and a New Street Level Contents)

  • 윤보람;최경아;이임평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91-103
    • /
    • 2014
  •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주제의 매쉬업(mash-up)이 활발해지면서 공간정보 콘텐츠의 품질과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항공 수준에서 시작해서 거리 수준의 실외와 실내 공간까지도 실제처럼 표현한 공간정보 콘텐츠들이 등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리 수준의 공간정보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매쉬업 사례는 상당히 미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거리 수준 콘텐츠의 활성화를 위해 기존 거리 수준의 공간정보 콘텐츠가 가진 한계를 도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기존의 공간정보 콘텐츠를 공간적 범주와 표현 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각 특성에 따라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존 거리 수준 공간정보 콘텐츠의 한계를 도출한다. 나아가 기존 거리 수준 콘텐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뉴미디어 공간정보 콘텐츠'를 제안한다. '뉴미디어 공간정보 콘텐츠'는 콘텐츠 내에서 객체의 3차원 지상 좌표를 결정할 수 있고 그 좌표를 매개로 데이터베이스와 유기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지상의 절대 좌표를 참조 키로 하는 '뉴미디어 공간정보 콘텐츠'는 다양한 정보와의 정교하고 유기적인 연동을 실현하고, 이를 통해 거리수준 콘텐츠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GIS 콘텐츠 기반 공간정보교육의 효용성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ing Methods of Spatial Information Education based on the GIS contents)

  • 연상호;이영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5-379
    • /
    • 2003
  • GIS를 이용한 공간정보의 교육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모든 산업분야에서 폭넓게 채택되고 있는 필수적인 분야이다. 그에 비해 GIS 콘텐츠는 GIS를 하나의 도구를 통해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들에 있어 매우 생소한 분야이며, 그 정확한 의미와 학문의 범주를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인터넷을 통해 공간 정보 콘텐츠를 쉽게 접근 하고자하는 의도에서 현재 사용하는 커리큐럼의 분석을 통해 GIS 콘텐츠 기반에서의 공간정보의 적용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그리고 참여자의 관심과 확인을 위해 제천지역의 GIS콘텐츠 사례를 추가적으로 보완하면 더욱 유익한 공간정보교육 사이트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IS와 RS에 기반한 지방자치단체 지리정보콘텐츠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Contents in Local Government on the basis of GIS and RS)

  • 김항집;서동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251-254
    • /
    • 2003
  • 이 연구는 지방정부의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지역주민과 관광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정보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공간정보기술인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와 RS(Remote Sensing)기법을 활용하여 지역정보의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써, 지방정부 홈페이지의 콘텐츠를 다양타함과 동시에 공간정보의 응용분야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지역인 전라남도 무안군을 대상으로 인터넷 관련 콘텐츠, 지리정보 관련 콘텐츠 및 인공위성영상 관리프로그램의 3가지 지역정보콘텐츠를 개발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정보 및 관광정보 둥 공간정보의 현실성과 가독성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 PDF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 2.1의 공간정보 웹 시각화 적용 기초 (Application Basics of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1 to Web Visualization of Geo-based Information)

  • 박한샘;김광섭;이기원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123-135
    • /
    • 2016
  • 최근 위치정보 기반 광고, 개인용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공간정보 응용 서비스는 스마트폰의 보편적인 기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고부가 콘텐츠와 연계하여 온라인 지도 편집과 같은 전문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정보 기반 웹 서비스들을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동등하게 사용하는 것을 쉽지 않다. 물론 이 같은 실정이 공간정보 관련 서비스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모든 사람들이 동등하게 다양한 분야의 웹 서비스를 제공받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웹 콘텐츠를 다루는 데 필요한 기술적 사양이 필요하다. 이에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에서는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을 개발하여 공표하였으며,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은 이를 참조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인증심사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외를 막론하고 다른 웹 서비스 분야에 비해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웹 콘텐츠 접근성 적용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나 실무 적용 서비스 사례가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웹 콘텐츠 접근성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 여러 응용 분야 중에서 공간정보 웹 시각화 분야를 중심으로 이 지침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간적 은유를 적용한 3D 격자구조의 TV 콘텐츠 정보공간 제안 : TV 인터페이스 사용성 관점에서 (3D lattice information space for TV contents based on spatial metaphor : TV interface perspective)

  • 이재길;신동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51-661
    • /
    • 2014
  • TV 플랫폼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찾기 위한 복잡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컴퓨터 영역에서 이루어진 콘텐츠 관리를 위한 연구들을 참고해 TV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콘텐츠 검색과 선택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컴퓨터 상의 정보는 대부분 현실 공간을 모사하는 공간적 은유(Spatial Metaphor)를 적용해 표현되고, 이는 사용자의 정보 확인 및 재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제안된 정보 공간은 채널,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분류와 시간 속성에 따른 분류를 포함한다. 시청자는 정보 공간 내에서 공간적 단서에 따라 콘텐츠 간의 관련성을 추론하여 선택할 수 있고, 시간적 순서에 따라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다. 내재된 능력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인지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영상콘텐츠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상현실과 공간정보를 이용한 배리어 프리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Implementation of Barrier-free Content by using Virtual Reality and Geospatial Information)

  • 김병선;전해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93-202
    • /
    • 2021
  • 배리어 프리는 보행 약자들이 시설물의 접근이나 이동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공간을 계획, 설계, 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는 공간정보와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배리어 프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인 요소를 식별하고 자유로운 이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해 배리어 프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인 장애 요소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주요 기능을 도출한다. 그리고 실험 지역을 대상으로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3차원 공간정보와 가상현실 서비스를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가상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실험 콘텐츠에서 개발된 주요 기능의 유용성과 활용성을 검토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보행 약자를 위한 배리어프리 서비스 콘텐츠는 공공 시설물 구축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GIS 콘텐츠 구축에서의 다양한 공간자료의 통합적인 활용방안 (A Method of Integrative Application of Various Spatial Data on GIS Contents Implementation)

  • 연상호;홍일화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4-150
    • /
    • 2004
  • GIS 콘텐츠의 가장 중요한 대상이 되는 지형 및 지리 공간정보는 다양한 자료의 수집과 변환에 의한 시스템 통합을 통하여 완성된다. 즉 다양한 공간자료의 통일된 표준화에 의해 통합을 이룰 수 있으므로, 그 내용과 형태가 서로 다른 공간정보는 처음 수집된 상태에서 여러 변환 과정을 통해 다른 형태와 영상으로 새롭게 생성되어 통합을 이루는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댐의 건설로 인하여 수몰된 지역의 과거의 지공간의 정보원 찾아 현실세계와 비교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영상복원을 하는데 이용된 여러 가지의 지공간 자료의 처리과정을 통하여 일반 사진부터 디지털 위성영상자료, 수몰 직전에 제작된 지형도, 마을 사진 등을 통합과정 을 통하여 수몰 이전의 GIS콘텐츠의 공간정보의 통합에 의한 활용 기법을 확인하였다.

  • PDF

공간정보 가시화를 위한 MAP DB 설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P DB Design for Visua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 연상호;이영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136
    • /
    • 2004
  • 공간정보는 도형적인 요소와 결합된 비도형 속성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하고 있어 필요시에는 언제든지 가시적인 형태로 보여줄 수 있어야 그 효율성이 증대된다. 이를 위하여 가장 많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다양한 형태의 지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도의 다양한 형태를 구분하여 필요시에 언제든지 보여줄 수 있는 지도 콘텐츠의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SQL문으로 손쉽게 검색하여 보여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약 100여 가지의 다양한 지도파일을 인덱스로 구분하여 도엽번호, 지명, 년대별, 주제별로 공간정보의 가시화를 보여줄 수 있었다.

  • PDF

u-GIS 콘텐츠를 위한 GeoPhoto 콘텐츠 언어의 설계 (Design of GeoPhoto Contents Markup Language for u-GIS Contents)

  • 박장유;남광우;진희채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5-42
    • /
    • 2009
  • 이 논문은 공간 사진을 이용한 u-GIS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GeoPhoto 콘텐츠 마크업 언어를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GeoPhoto 콘텐츠 마크업 언어는 상이한 여러 플랫폼에서 개인 맞춤형 공간 사진 영상 정보를 표출 및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지원하기 위한 GeoPhoto 콘텐츠 모델과 마크업 언어를 포함하고 있다. GeoPhoto 콘텐츠 언어는 다양한 공간 사진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GeoPhoto, CubicPhoto, SequenceGeoPhoto 타입을 기반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지리 정보, 위치 정보, 사진 정보등의 정보를 융합하여 표현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사진과 관련한 다양한 콘텐츠 모텔을 제공 할 수 있도록 다양한 GeoPhoto 콘텐츠 모텔과 이 콘텐츠들 사이의 연산들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논문은 GeoPhoto 콘텐츠를 표현하기 위한 연산으로서 Annotation 연산과 Enlargement 연산, Overlay 연산들을 제안하고 있다.

  • PDF

공간정보 및 문화콘텐츠 융합 환경에서 공공 문화콘텐츠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현 (An Implementation of Service Framework for Public Culture Contents i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of Spatial Information and Culture Contents)

  • 홍대기;송병선;이남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95-201
    • /
    • 2010
  • 최근 문화산업은 세계화, 컨버전스, OSMU(One Source Multi use)의 확산 등 환경 변화에 따른 글로벌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감성, 체험 등 문화적 창의성이 국가 발전을 위한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화된 문화콘텐츠는 자료의 축적, 보존, 관리 수준으로서 그 정체성 및 활용성 저하가 심화되고 있어, 문화의 공간화 및 공간의 문화화를 통한 상생 모델화가 필요하다. 문화콘텐츠 산업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창조 콘텐츠가 생산될 수 있는 기반으로 시공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공공 문화콘텐츠를 자유롭게 검색하고 원하는 대로 가공 또는 재생산하여 전시, 유통할 수 있는 문화공간(Culture Space)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Culture) 및 공간(Space)의 융합 형태를 통하여 시공간의 디지털 정보를 담고 있는 문화콘텐츠에 개인이 자유롭게 확대 재생산 및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정보와 문화콘텐츠 융합 환경에서 공공 문화콘텐츠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