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정보 추진체계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tudy on a Potentiality Analysis of Spatial Information in Urban Information System (도시정보체계의 공간정보 관련성 분석 연구)

  • 고광철;민경옥;김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261-267
    • /
    • 2003
  • 사회의 빠른 변화 속에서 지자체가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과 행정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의사결정과 기획을 위한 정보망과 정보시스템의 활용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도시정보체계(UIS)의 구축은 의사결정의 효율적인 도구로 각광받아 대다수 지자체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 행정업무의 70~80%가 공간정보와 연계되어 있다는 막연한 기대감에서 출발한 현재의 도시정보체계(UIS) 구축사업은 단지공간정보 관리 중심의 시스템 개발에 치우치게 되었으며, 시설물 관리 분야에 대한 사업을 이미 수행한 지자체에서는 향후 어떠한 사업들을 전개해야 할 지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비전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 아닌가라는 우려를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정보체계(UIS)의 새로운 비전 수립을 위해서는 막연하게 제시되고 있는 공간정보 관련성 분석을 보다 세분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공간정보 관련성 분석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지자체 도시정보체계(UIS) 구축사업의 현재를 돌아보고 보다 발전적인 새로운 사업추진의 시각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업무영역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공간정보의 관련성 분석을 위해 공간정보를 업무관점, 업무-정보산출물 관점, 데이터구축관점, 정보관점, 서비스관점으로 세분화여 하여 접근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최종적인 공간정보 관련성 분석 모형을 구성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도시정보체계(UIS) 사업의 추진을 위해 시간적 개념의 변화 양상을 제시함으로써 GIS의 발달단계에 따라 어떠한 부분에 비중을 둔 사업의 추진이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시설물 관리 중심의 도시기반정보화에 편중된 도시정보체계의 구축사업의 시각이 행정정보화, 생활정보화, 산업정보화 등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여 보다 큰 시너지 효과와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개선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을 기대해 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beta}$-glucan은 고용량일 때 직접적으로 또는 $IFN-{\gamma}$ 존재시에는 저용량에서도 복강 큰 포식세로를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탐식효율도 높임으로써 면역기능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효과는 crude ${\beta}$-glucan의 추출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eveloped. Design concepts and control methods of a new crane will be introduced in this paper.and momentum balance was applied to the fluid field of bundle. while the movement of′ individual material was taken into account. The constitutive model relating the surface force and the deformation of bundle was introduced by considering a representative prodedure that stands for the bundle movement. Then a fundamental equations system could be simplified considering a steady state of the process. On the basis of the simplified model, the simulatio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could be confirmed by the experiments under various conditions.뢰, 결속 등 다차원의 개념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와 최근 제기되고 있는 이론의 확대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간의 개념적 분류, 차이의 검증, 영향력 등

  • PDF

Constructing PKIMS based on SDI(Spatial Data Infrastructure) Supporting Efficient Park Administrative Servic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ty- (효율적 공원행정업무 지원을 위한 공간정보통합체계기반 KIMS(P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구축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Jo, Yun-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2
    • /
    • pp.37-46
    • /
    • 2009
  • In this study the infrastructure of PKIMS(P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as constructed based on SDI(Spatial Data Infrastructure) not only to provide the consistent spatial information of the space called park but also to share the latest information so that administrative officers could make people satisfied for their information request and promote consistent policy for the park management. PKIMS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with SDI for all life cycle of spatial data such as the data generation, use and share so that the efficiency and executive of administrative services could be acquired. Moreover, this construction of successful application system based on SDI would be the very good sample for implementation of NSDI(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 PDF

A Study on the mobile-based service method of Korea river map (모바일 기반의 한국하천지도서비스 방안)

  • Hwang, Eui-Ho;Lee, Geun-Sang;Koh, Deuk-K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78-8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02년 제작 배포된 한국하천지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하천관리업무 지원의 체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 구축된 한국하천지도 추진현황 및 GIS DB를 분석하여 최신 IT기술 적용방안을 검토하였다. 또한, 최신 기술 동향 분석을 통하여 한국하천지도의 활용성 극대화를 위한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기술을 선정하여 시스템 설계 구축하였으며, 실시간 하천관리기술 확보를 위하여 건교부 및 공사에서 추진 중에 있는 정보시스템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한국하천지도의 유무선통합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로써, 하천관련 종합적인 정보제공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하천관리 업무시 웹 및 모바일 시스템을 통하여 조사자료 및 관리정보를 실시간 조회 및 활용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가능하여 하천업무의 효율성 및 대국민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National GIS Research Support System Improvement in the Pluralistic GNSS Environment (다원화된 위성측위체계 환경에서의 국가 GIS 연구추진 방안에 대한 고찰)

  • Yang, Sung-Chul;Kim, Yong-Il;Yu, Ki-Yu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4 no.2 s.37
    • /
    • pp.177-189
    • /
    • 2006
  • In the past several years there has been relying on USA fur the resource of global positioning data in the pluralistic GNSS environment(Galileo, Post GPS,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For this reason, we should make a decision which strategy for research is carried out. According to a diversity of resource for obtaining positioning data, well organized research support at government level for efficient using is required. 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hat subcommittee for research organized with National GIS Promotion Committee as a leader make counterplan strategy. We have obtained an conclusion that we can make a good decision by establishing Spatial Information Expert Group and selection of essential element of technology.

  • PDF

Forecasting Demand for Human Resource of Spatial Information Systems in Korea (공간정보체계 관련 인력수요 조사 및 분석)

  • Jin, Heui-Cha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141-147
    • /
    • 2005
  • 공간정보체계 관련 구축 사업들이 시작되면서 전문분야별 소요인력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고,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전문 인력양성을 추진하여 왔다. 초장기 인력 규모의 예측은 사업 규모에 기반하여 예측되어졌고 인력 수요기관의 요구와 특징이 반영되지 못한게 사실이다. 이제는 공간정보체계가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산업 현장을 통하여 소요 인력의 예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력 소요처들로부터 필요한 인력 규모를 조사하여 소요인력을 예측하고, 인력의 변화 특성들을 파악함으로서 기술수요에 따른 인력 육성분야와 수요량을 기반으로 하는 인력양성에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력 소요예측은 소요 인력이 활용되는 기업 등을 중심으로 산업적 성장성과 개별 기업의 인력 요구 등을 고려한 공간정보체계의 각 분야별 인력 소요 예측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토대로 산업적 특성, 기술적 특성, 소요 인력의 수요 증가 형태 및 특징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소요 인력 규모를 산정하고 있다.

  • PDF

Method of systematic river information service (체계적인 하천정보서비스 방안)

  • Hwang, Eui-Ho;Chae, Hyuo-Suck;Koh, Deuk-K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17-224
    • /
    • 2005
  • 하천정보의 관리기관이 다양하고 정보의 표현 및 분석단위가 관리주체에 따라 다르며, 하천정보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책자료 분석 제공 기능의 부재로 인한 이수 및 치수, 하천 환경 등을 고려한 국가수자원종합계획의 수립을 어렵게 해왔다. 하천 및 유역정보의 관리단위를 일원화하여 국가적으로 표준화시키고, 유역정보, 수문정보 등에 대해서 국가 수자원 정보망의 형성을 통해서 하천정보의 유기적인 공동이용을 추구해야 한다. 또한, 정보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시스템간 중복을 방지하고 상호 연계가 원활히 이루어져 대정부, 대국민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추진을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정보 신뢰성 높고 다양한 하천정보 DB 구축을 통하여 보다 편리하고 유용한 시스템 사용 환경을 제공 및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하천정보서비스 구축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하천정보서비스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중장기종합정보화전략계획 수립과 국내에 적합한 필수 데이터 항목도출, 데이터모델과 구축방법론 표준화로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하천공간정보의 유통체계는 기존의 국가공간정보 유통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the Web based System for Assessing GIS Benefit (웹 기반의 GIS 효과 측정시스템 개발)

  • 김정옥;유기윤;김용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85-91
    • /
    • 2004
  • 제1차와 제2차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기본계획’ 을 시행하면서 체계적인 GIS기반이 마련되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GIS구축사업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GIS사업은 초기 막대한 구축비용과 사업완료이후에도 유지관리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되기 때문에 그 타당성이 가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면 사업의 추진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효과분석을 위한 GIS사업의 평가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 기반의 GIS 효과분석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GIS 효과분석시스템은 최신의 정확한 정보와 검증된 분석방법을 실시간 제공하기 위해 웹 기반으로 설 계 하였다. 왱 기반의 분석시스템은 GIS사업의 효과분석에 있어 시ㆍ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GIS사업의 효과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GIS사업의 효과측정에 있어서 타당성을 부여하여 과학적인 기준을 제시하며, 분석결과는 사업의 추진을 위한 재원마련과 정책결정자 설득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for Comparison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Distribution Models (지리정보 유통모형 비교분석 연구)

  • Shin, Dong-Bin;Jeong, Jin-Seo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75-379
    • /
    • 2007
  • 정부는 지난 몇 년간 국가GIS사업을 비롯해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한 각종 GIS사업을 통해 구축된 지리정보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자 국가지리정보유통체계 구축사업을 추진해 왔다. 지리정보유통망과 같은 정보 유통체계는 유통 상품이 물류배송이 아닌 인터넷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유통흐름을 가지고 있어 유통의 주체, 객체, 수단, 환경 등 제반 요소의 변화에 따라 유통모형을 달리 적용할 필요가 있다. 국가지리정보유통체계 구축사업에 적용된 유통모형은 크게 중앙집중형, 지방분산형,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각각의 모형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현황과 정보화 환경을 고려하여 초기 단일 유통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중앙집중형에서 점차 지역별 통합관리소가 운영되는 지방분산형으로 전환되었고, 근래에는 중앙집중형과 지방분산형이 통합된 혼합형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적용된 유통모형을 정립하고 이에 대한 장 단점을 도출하여 향후 발전해 나아갈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유통모형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이는 정보 유통을 고려하는 사업의 참고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보다 성공적인 유통시장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Acquisition Scheme of North Korea Geospatial Information (접근불능지역 공간정보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Hong-G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7 no.6
    • /
    • pp.749-760
    • /
    • 2009
  • For the economic cooperation and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reference information of natural and environment resources is indispensable. It will require to collect the comprehensive geospatial information of whole country of the north korea for the unification as well as important areas in commercial purposes. The geospatial information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are based on korean peninsula geo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linking the NSDI. In this study, through the research of the digital map coordinate systems and map grid systems in our and other countries, I suggested the coordinates system and presented the map grid and index system on behalf of the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ones as the reference information for korean peninsula geo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Design for Spatial Information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장애인권리협약의 효과적 이행을 위한 공간정보 구축방안 연구)

  • Ahn, Jong Wook;Shin, Dong Bi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6
    • /
    • pp.59-68
    • /
    • 2012
  •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to acknowledge that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dignity as human being and to give us duty to make an effort for prote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rights. This study deducts several tasks in spatial information field to fulfill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effectively. First of all, For the deduction, this study starts by considering accessability, personal movement, freedom of expression and accessability to information. Second, this study defines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the spatial information what ensure for prior considerations. Third, this study deducts some requirements on spatial inform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the basis of the survey target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expert opinion, and suggests objectives, strategies, tasks, system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this study sets up a goal on spatial information establishing strateg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Disadvantaged groups like persons with disabilities can obtain requirable information without distinction of person, thereby pursuing the convenience of lif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