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정보 모델링

Search Result 79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Spatial Modeling Framework for Marine GIS (에이전트 기반의 해양공간정보시스템 모델링 연구)

  • Park Jongm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8 no.10 s.96
    • /
    • pp.917-923
    • /
    • 2004
  • With a rapid growing of information networks and development achievements in mobile technology the spatial inform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for modern daily life. But the speed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rends are far from the real service demands as compared to the other relevant fields, and it would be natural that this unbalanced gap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is being resulted from the absence of appropriate modeling concepts at some extents. In this paper there would be shown a new approaching model for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agent concepts, which is able to perform some spatial tasks if properly implemented afterward. And to give resonable background of the new modeling framework here also some known critics for the commonly used modeling approaches when they applied to spatial information modeling followed by several alternative requirements for a good spatial modeling framework. And also there would be some considerations for applying this approach to the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communities.

Evaluation on Practical Use of Raw Data for 3D Indoor Space Modeling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

  • Kim, Yun Ji;Yoo, Byoung Min;Lee, Jiy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6
    • /
    • pp.33-43
    • /
    • 2014
  • As the number of people who live indoor space has been increased, the interest in 3D indoor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grown. Object-Oriented 3D indoor space modeling includ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has performed in level of detail 4, and modeling data is able to be constructed based on various raw data which are as-built drawing, laser scanning, BIM data, and camera. 3D indoor space modeling has been worked based on established indoor space modeling process, and the result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 fields such as indoor space pedestrian navigation, facility management, disaster management, and so on. However, the modeling process has limitations to perform indoor space modeling efficiently, because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wastes time at modeling 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evaluation on practical use of raw data for 3D indoor space modeling purpose on supporting efficient indoor space modeling through analyzing the established process. Therefore, we define the requirements to evaluate the practical use of raw data and propose the verification method. In addition, as-built drawing which has been used in Seoul 3D indoor space modeling project will be applied to proposed method as a raw data.

A Web-based Virtual Space Modeling Using 2D CAD Data (2차원 캐드자료를 이용한 웹기반 가상공간 모델링)

  • Lee, Jang-Kyung;Lee, Su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443-446
    • /
    • 2002
  • 인터넷과 컴퓨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가상공간에 대한 관심은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가상공간을 생성하는 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가상공간 모델링에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차원 CAD 데이터로부터 가상공간을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CAD 파일에서 2차원 지형정보를 추출하여 웹에서 볼 수 있는 3차원 가상공간을 생성한다. 가상공간생성 과정은 전처리, 데이터 추출, 모델생성, 렌더링으로 이루어진다. 전처리는 CAD 파일에서 도로경계선을 분리하며 데이터 추출은 등고선, 도로경계선, 건물 정보를 CAD 파일로부터 추출하는 과정이다. 모델 생성은 추출한 지형정보들을 이용해서 3차원 공간모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은 실세계에 근접한 가상공간을 생성하며 가상공간을 생성하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 PDF

Building Identification for 3D Modeling of Urban Area (도심지 3D 모델링을 위한 동일건물 인식)

  • Sohn, Hong-Gyoo;Park, Jung-Hwan;Kim, Ho-Su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453-457
    • /
    • 2005
  • 3차원 지형공간정보체계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도심지의 3차원 모델링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단색영상을 용하여 영역기반정합이나 형상기반정합을 실시하던 기존의 3차원 모델링 기법은 오정합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며, 모델링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3D 모델링에 대한 접근법의 하나의 단계로서 컬러영상으로부터 경계정보와 색상정보를 활용하여 동일건물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계정보에 대해서는 보완된 Hausdorff 거리 개념을 사용하였으며, 색상정보에 대해서는 수정된 컬러 인덱싱 기법을 사용하였다 IKONOS영상을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 두 가지 정보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는 두 가지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인식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3D Modelling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University Campus (대학캠퍼스의 관리효율화를 위한 3D 공간모델링)

  • Lee, Jin-Duk;So, Jae-Kyoung;Park, Jin-Pyo;Kim, Dong-S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19-325
    • /
    • 2005
  • 지리정보데이터는 공간개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2차원 평면 위주의 공간 자료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GIS 데이터는 2차원 평면위주의 공간자료보다 3차원 공간자료를 기반으로 한 시각화를 통하여 다차원적인 분석이 가능해지고 있다. 최근 인터넷 환경에서 구동되는 3D GIS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3D GIS는 초기에는 지형을 단순히 3차원 가시화 하는 기능 위주에서 최근 3차원 지형분석, 3차원 도시, 3차원 시설물 등의 현실감 있는 모델링과 분석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물론, 가상현실 기능이 강조된 3D GIS까지 등장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GIS 툴(ArcView)을 사용하여 대학캠퍼스의 부지, 구조물 및 시설물의 3D GIS를 구축할 수 있었으며 3D 모델링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의 조감도 작정과 경관분석을 행하였고 향후 시설물 확충에 따른 공간활용계획의 기본 자료로서 그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GIS의 가장 발전적 형태인 Web GIS구축을 위한 인터넷 데이터베이스로서 정보 공유와 조회는 물론 사용자 측면의 분석까지 가능하도록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후 웹 GIS 기법을 적용하여 캠퍼스의 3차원 관리를 위해 웹서버를 구축하고 2D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 맵의 한계를 벗어나 3D 모델링으로 웹상에서 사용자에게 다각도의 3차원 공간을 구현함으로써 2차원 데이터와 더불어 3차원 공간영상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시도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ata Modeling for a Noise Management of Construction Field using Spatial Data (공간자료를 이용한 가설현장 소음관리를 위한 자료 모델링에 관한 연구)

  • Song, Jeo;Seo, Jeong Min;Lee, Hyeongah;Lee, Sang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373-374
    • /
    • 2013
  • 대용량 공간DB에 저장된 자료에 대한 접근과 관리에 대한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간자료와 비공간 자료에 대한 사항들을 구축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공간 개체의 공간적 요소와 비공간적 요소를 함께 관리하는 가설현장의 소음관리를 위한 시스템에서도 공간 개체에 대한 데이터의 모델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설현장에서 소음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벽 등의 설치를 위해 필요한 소음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모델링에 관해 연구한 결과를 제시한다.

  • PDF

Development of KBASIN-HSPF system for estimating parameter of watershed based model (유역모형 파라미터 산출을 위한 KBASIN-HSPF 시스템 개발)

  • Park, Dae-Hee;Ha, Sung-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328-332
    • /
    • 2006
  • 환경모델링 기법은 비선형 오염유출현상을 구조화하여 배출특성 규명 및 정책대안의 영향예측 도구로서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반면 복잡한 입력 파라미터의 구성은 모형운영에 있어 비정량적 수치를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들어 GIS와 정보기술의 연계를 통한 자료관리 및 모형 매개변수 산출을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GIS-모델링 분야의 기술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정보구축의 시점, 주기, 구축 형태 등의 통일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BASINS과 같은 기 구축된 정보 분석체계를 사용하고자 할 때 단위사업별로 구축된 공간정보의 구조해석을 다시 수행해야 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는 구축된 정보를 사용하여 해석하고자 하는 주체가 분명하지 않고, 분석모델에서 요구하는 입력 자료의 구조를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 정보기술과 분석기술의 연계부족으로 발생한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NGIS사업을 통해 축척된 지형공간 데이터베이스와 GIS의 공간분석기능을 연계하여 유역 오염원 기상 공간정보의 관리, 유역 오염유출모형인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Fortran)의 운영정보 생성을 지원하는 지능형 정보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주 연구내용은 시스템 분석 및 설계, 기초 데이터 수집과 DB 구축, 지형 매개변수 산정을 위한 GIS-HSPF의 통합 인터페이스 구축이다. 개발된 KBASIN-HSPF는 EPA에 의해 개발된 BASIN의 유역분할, 하천망생성, 지형특성계수 산정 기능과 함께 우리나라의 지형.오염원.기상정보의 저장구조를 고려한 데이터 모델링, Tissen망에 준한 강우자료 생성 그리고 HSPF 모형운영정보 산정 및 전환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KBASIN-HSPF는 유역기반 점.비점오염원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자 하는 오염총량관리제의 기술적 정보관리 환경으로 활용가능하며, 기존의 오염유출모델링을 위해 자료준비부터 정보연계, 모형운영까지 분산된 환경에서 수행되었던 것을 통합환경하에서 진행함으로써 정보의 질적보장과 정보전환의 표준화방안을 제시하는 정보분석시스템이다.

  • PDF

3D modeling of Korean Traditional House based on BIM for Uploading to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탑재를 위한 한옥의 BIM 기반 3차원 모델링 연구)

  • Kim, Kyeong-Min;Kim, Chan-Yong;Choi, Yun-Woong;Cho, Gi-Sung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4 no.2
    • /
    • pp.91-101
    • /
    • 2014
  • This study tried to create 3D object with LOD3 level for Korean traditional house which is atypical structure, upload to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and confirm the possibility for creating 3D-map. And this study tried to create 3D model for Korean traditional house based on BIM, performed 3D modeling for interior spatial informa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e and confirm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3D modeling and visualization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house. Also this study present the possibility of LOD4 level visualization for spatial informa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e which is atypical structure, but 3D object with LOD4 level can't be uploaded to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currently, cause by data volume limitation of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Water Quality Modeling using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수질 모델링)

  • Kim, Young Joo;Kim, Ji Sung;Park, In 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547-54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담수호 및 하천유역에서 수질오염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 GIS 기반의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수질모델 시스템을 구축하여 향후 담수호 유역의 종합적인 수질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수질 모델링을 통해 오염원의 체계적인 관리와 자동화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수문 및 수질모델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Smart Geospatial Information for Modeling and Analysis of City River (도시하천 분석과 모델링을 위한 스마트 지형공간정보의 응용)

  • Lee, Hyun Jik;Eom, Jun Sik;Yu, Young Geol;Park, Eun G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4
    • /
    • pp.135-142
    • /
    • 2013
  • This study aims to seek adequate and optimized method of applying high quality three-dimensional spatial data created via high-resolution digital aerial photograph image and aerial LiDAR data onto three-dimensional planning of environmentally friendly, ecological restoration of rivers in accordance with irrigation and flood control objectives of urban rivers. Through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before and after the restoration, the research also offers basic information regarding restorations of rivers. Also the transition from the conventional two-dimensional planning into three-dimensional planning environment using smart spatial information acquire accuracy of river analysis, analyze possible civil complaints and suggest solutions to potenti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