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정보

검색결과 16,265건 처리시간 0.04초

풍수해 피해 추정을 위한 공간정보 DB의 활용방안 및 품질 점검 기준 제안 (Proposal for application of spatial data and quality check criteria for estimating damage from storm and flood)

  • 원석환;김현덕;김상민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2호
    • /
    • pp.81-100
    • /
    • 2020
  • 본 연구는 풍수해로부터 발생 가능한 피해를 추정하기 위한 공간정보 DB 활용 방안과 공간정보의 품질 점검 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공개자료 목록을 대상으로 공간정보 DB 중 풍수해 피해 추정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피해유형별로 매핑하였으며, 해당 데이터를 활용하여 피해 분석을 위한 품질 점검 기준 항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풍수해 피해 추정을 위한 공간정보 DB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품질 점검 기준을 통해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기종 분산 공간데이타베이스 상호운용을 위한 국가공간정보유통체계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Korean Spatial data Distribution Infrastructure for the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distributed spatial databases)

  • 이득우;권준희;김윤경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1)
    • /
    • pp.103-105
    • /
    • 2001
  • 국토정보화의 기반준비 단계인 ‘1차 국가 GIS 사업’기간 동안, 상당량의 수치화된 공간 정보가 축적되었고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지리정보시스템이 국가기관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사용중인 지리정보시스템은 조직적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공간데이타베이스의 이질성 및 폐쇄성으로 인해, 공간정보의 상호운용 측면에서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만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분산 이기종 공간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공간정보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통합검색하며, 상호운용 가능토록 하는 국가공간정보유통체계를 설계 및 구현한다. 본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단일 유통게이트웨이, 복수개의 유통노드, 지리정보공급기관을 국가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컴퓨팅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공간정보유통망을 검색망 및 전송망으로 분리 설계한다. 검색망에서는 메타데이타의 검색 및 전송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으로서 OpenGIS OLE DB Provider 기반 데이터제공자 컴포넌트를 구현한다. 또한 데이터제공자 컴포넌트를 통해 전송된 이기종 공간데이타베이스로부터의 WKB 형태의 공간정보를 상호운용할 목적으로, 공간데이타 구조와 처리에 대한 인터페이스 표준화를 실시한 MapBase 컴포넌트를 활용하여 공간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분석 및 상호운용을 구현한다.

  • PDF

웹기반형 농공단지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현 (A Construction of and industry DB using spatial information on the Web)

  • 전흥구;최관순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1-4
    • /
    • 2000
  • 지금까지의 데이터베이스는 문자정보만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공간정보를 접하기가 쉽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문자정보와 공간정보가 결합된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공간정보와 문자정보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로컬 컴퓨터에서 공간정보와 연계된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구현하였고, 다음에 웹에서 구현하였다.

  • PDF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3D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제안 -GIS DB 및 위성영상의 이용을 중심으로- (An Alternative Proposal of the 3D Spatial Data Construction & Utilization for Cityscape Planning)

  • 최봉문;임영택;한인구;조병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1-425
    • /
    • 2006
  • 본 연구는 도시계획 및 설계에 범용되는 그래픽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3차원 공간정보의 구축 방법과 신규 도시개발이나 도시경관계획에서 3D 공간정보를 이용한 컴퓨터시뮬레이션 활용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은 기 구축된 GIS DB(수치지형도, 건축물 대장 등)와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도시경관계획에 필요한 3D 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그렇게 구축된 공간정보의 활용 방안으로 도시경관 측면에서 계획 및 개발 시나리오에 대한 컴퓨터 3D시뮬레이션을 통한 좀더 사실적이고 직접적인 경관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특히 3D 공간정보의 구축과 활용에 있어서 공간적 위계에 따라 광역적 차원, 도시적 차원, 지구차원에서 경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연구를 통해서 도시경관계획 등 다양한 공간계획 및 개발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위한 효율적이고 간편한 3D 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공간정보 표준화 동향

  • 유재준
    • 정보와 통신
    • /
    • 제34권4호
    • /
    • pp.47-52
    • /
    • 2017
  •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공간에 대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 공간정보는 위치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위치 값의 표현은 공간적 체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효율적이고 정확한 측위를 위한 중요한 정보로 활용되기도 한다. 위치, 측위 그리고 공간정보의 관계에 있어 공간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의 전달과 활용의 효율성 등을 위해 표준화는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위치 및 측위, 그리고 그 활용 과정에서 참고될 수 있는 공간정보 표준화 동향에 대해 정리해본다.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Spatial Information Service for Mobile Environment)

  • 황정래;김태훈;최현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57-67
    • /
    • 2012
  • 최근에 공간정보 활용분야 확대와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위치기반서비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공간정보 서비스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공간정보기술 개발의 잠재력은 보유하고 있으나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모바일 기반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모바일 앱/웹 현황 조사와 모바일 공간정보 관련 전문가 수요조사 및 분석을 통해 모바일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지오 비디오 : 비디오 지리정보시스템 (GeoVideo : Vide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김경호;김성수;이성호;이종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A)
    • /
    • pp.623-625
    • /
    • 2003
  • 공간정보와 멀티미디어가 긴밀히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지리정보 환경이 미디어 지리정보시스템(MediaGIS)이다. 비디오 지리정보시스템(VideoGIS)은 미디어 지리정보시스템의 한 예로서 공간정보와 비디오와의 결합과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지오 비디오(GeoVideo)는 비디오를 기반으로 공간정보의 조회, 검색, 분석 등이 가능한 최초의 비디오 지리정보시스템이다. 지오 비디오는 기존의 인위적이고 함축적이고 그래픽적인 패러다임에서 자연적이고 사실적이고 이미지적인 패러다임으로의 변화의 의미를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와 공간정보의 결합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고 시스템 구성 방법에 있어서의 고려사항 등에 관해서 논의하기로 한다.

  • PDF

GML 기반 지리공간 정보 엔코딩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eographic Information Encoding Service System based on GML)

  • 손훈수;김동오;이용수;한기준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1-97
    • /
    • 2003
  • 지리공간 정보가 사용되는 분야나 환경에 따라 사용되는 표준 데이타 포맷이 다르므로 다른 환경의 지리공간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환경에 맞는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지리공간 정보를 상호 운용이 가능하도록 지리공간 정보를 엔코딩해 주는 지리공간 정보 엔코딩 서비스 시스템이 요구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리공간 정보를 OGC의 GML 3.0으로 엔코딩해 주는 GML 기반 지리공간 정보 엔코딩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특히, 지리공간 정보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엔코딩하기 위해 엔코딩 방법을 정의하는 매핑 규칙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GML 기반 지리공간 정보 엔코딩 서비스 시스템을 활용해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인 ZEUS에 구축된 지리공간 정보를 GML 3.0으로 엔코딩 하거나, 역으로 GML 3.0을 ZEUS의 지리공간 정보로 엔코딩하여 상호 운용할 수 있다.

  • PDF

서비스 중심의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ervice-oriented Connection Model among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Platforms)

  • 김병선;안종욱;신동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1-18
    • /
    • 2014
  • 본 연구는 공간정보 서비스 중심의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의 필요성에 대해 분석하고, 산 학 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공간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Single Point Access 플랫폼 연계 모델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과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간정보 중심의 플랫폼 정부 구현,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개발에 대한 정책 방향 수립 및 국가 정보화 계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와 공간이 만나는 새로운 세계

  • 허준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4-184
    • /
    • 2010
  • 공간정보는 이제 주요산업의 다양한 분야뿐 아니라 우리의 생활 속에 밀접하게 녹아들어 있는 생활재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현재의 모습을 통해 미래 공간정보의 역할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첫째, 현재의 모습을 바라보기 위해 과거 IT 분야 및 메이저 산업 분야에서 지도정보산업과 관련된 M/A 및 주요 비즈니스 활동을 살펴봤다. 둘째, 2000년 IT 버블의 붕괴이후 주요업체의 주가추이와 IT 산업 분야에서 벌어지고 있는 재편 현상의 특정을 정리해 보았다. 셋째 이와 같은 트랜드 속에서 공간정보의 미래가치를 네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그 선두주자들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공간정보의 미래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한 필자의 의견을 개진하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