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차이

Search Result 2,39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Analysis of the Regional Differences of Waste Generation (폐기물 배출량의 지역간 차이에 관한 분석)

  • 이용우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209-224
    • /
    • 1998
  • 이 논문은 공간적 환경연구의 한 시도로서, 폐기물관리의 출발점인 폐기물 배출량의 지역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지역은 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주의 396개 게마인데이며, 연구자료로는 폐기물통계, 인구 및 주택센서스 자료 그리고 폐기물처리에 관한 조례가 이용되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가정폐기물의 1인당 배출량은 지역규모, 인구구조, 가구규모, 가옥유형, 거주공간, 경제구조 등의 지역구조와 가정폐기물의 수거제도 및 처리경로, 분리수거 등의 폐기물 관리대책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한 1인당 가정폐기물 배출량의 지역간 변동을 최대한 설명하기 위해 수행한 다중 직선회귀분석에서 지역구조나 폐기물관리와 관련된 변수들을 포함하는 유의한 회귀모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폐기물은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단기간에 감량이 가능하며, 특히 지역구조에 적합한 수집함체계 및 분리수거제도의 도입 등 효율적인 수거제도를 통해 감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 PDF

The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rning type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사이버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자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탐색)

  • Whang, Sang-Min;Kim, Jee-Yeon;Ko, Beom-Seog;Seo, Jeo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06-212
    • /
    • 2007
  • 웹을 기반으로 하는 e-러닝에 대한 교육적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학습 공간으로서의 사이버 공간의 활용에 대한 고민도 증가하였다. 전통적인 학습활동을 사이버 공간에 복제하려 했던 고전적 방식이 e-러닝 또는 사이버 학습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e-러닝의 가치가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이버 공간에서 일어나는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활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일어나는 지에 대한 탐색은 미흡하다. 산재한 정보를 스스로 가공한 지식, '학습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이라는 개념들이 제시됨에도 불구하고, 사이버 공간에 산재한 정보,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 그리고 사이버 공간의 학습특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이버 학습 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행동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사이버 공간에서 보이는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것이 다양한 학습자 유형으로 구분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사이버 학습 사이트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사이버 가정 학습관이었다. 총 1535명의 사이버 가정 학습관 이용자들의 특성이 분석되었다. 사이버 가정학습관 이용자들의 행동특성은 9개의 요인-놀이 활동, 공동 경험, 현실 정체, 공동 성취, 개인주의, 경쟁 지향, 성취감, 편리성(조작 용이), 생생함-으로 구분되었다. 9개의 활동 요인을 기준으로 하여 확인된 학습자 유형은 4가지로 나타났다. 4가지 학습자 유형은 각각 독야청청형, 동고동락형, 의무방어형, 희희낙낙형으로 명명되었다. 이들 유형은 학습 활동 정도 및 사이트 이용 행동, 학습 스타일(사이버 학습 활동 양식)에서 서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적인 모델에 기초하여 임의적으로 구분된 사이버 학습자 유형 구분이 아닌, 실제 학습 활동을 탐색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기존의 오프라인 학습 이론 및 학습자 특성 연구를 사이버 학습에 그대로 적용할 것이 아니라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실제 학습 활동에서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밝히려고 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사이버 학습자 유형에 따른, 사이버 학습활동의 촉진방안이나 학습 효과의 차이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 모델에 대한 탐색이 필요할 것이다.

  • PDF

Gender Difference in the Seperation of Employment from Home and Commuting: A Case Study of Married Women and Men in Seoul (性에 따른 職住分離와 通勤通行 패턴의 差異 -서울의 旣婚女性과 旣婚男性을 中心으로-)

  • Noh, Shi-Hak;Son, Jong-A;,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28 no.3
    • /
    • pp.227-246
    • /
    • 1993
  • Gender differences in the seperation of emplo-yment from home and commuting patterns of the Seoul Area are examined in this paper. Throughout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re exist a substantial gender variation in comm-uting rates. Even though the regional variation of commuting rates of male workers is very small, the female workers' regional variation of commuting rates is substantial. Especially, the area around the traditional central place of Kangbuk, the area near the Youngdungpo and Kuro where manufacturing and retailing activities are concentrated, and the area where low-income families are concentrated show high rate of female commuting. In contrast, the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especially the high-income area of Kangnam, shows lower rate of female commuting. Generally, female workers tend to work closer to home than male workers. Accordingly, the job search range of female workers is smaller than that of mle workers. But the areal unit of job search range of female workers is wider at least than Dong. The fact that female workers' job search area is smaller than male workers' implies that the job opportunity around the home location could have more impacts on female workers' job search process than male workers' job search process. There is a substantial difference in commuting behavior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In general, male workers commute longer, use more expensive transportation mode, and pay higher transportation cost in comparision with female workers. These gender differences in commuting behavior could be resulted not only form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seperation of employment form work, but also form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social status in both work place and home.

  • PDF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사회인구학적 상관요인에 대한 공간분석

  • Jo, Dong-Gi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3
    • /
    • pp.1-20
    • /
    • 2009
  •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지리적 가중 회귀(GWR)를 이용하여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의 사회인구학적 상관요인에 대한 공간분석을 시도한다. 관찰의 독립성과 오차의 동분산성을 가정하는 전통적 회귀분석과 달리,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은 속성정보뿐만 아니라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공간분석 기법이다. 분석모형은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EQ-5D를 종속변수로 하고 지역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인 노령인구비율, 조이혼율, 병상수, 재정자주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구성하였다. 종속변수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독립변수는 통계청 온라인 DB에 수록된 지역별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형을 추정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사회적 특성보다는 노령인구비율이나 조이혼율과 같은 인구학적 특성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변이를 고려하는 지역모형은 전역모형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중요한 유형을 보여주는데, 노령인구비율 변수와 조이혼율 변수의 지역별 추정치를 지도상으로 살펴본 결과 변수들의 효과가 공간적 위치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는 또한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이 전통적 회귀분석에 비해 공간적 자기상관의 문제를 극복하고 모형의 부합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Development of Human Model for the Egress Simulation (국내 피난시뮬레이션 개발을 위한 Human Model개발)

  • Youn, Ho-Ju;Hwang, Yen-Kyung;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526-529
    • /
    • 2010
  • 국내에서는 철도차량의 화재안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성능평가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철도차량에서의 화재 시 피난은 여러 가지 시나리오들이 존재하며, 이중 하나가 터널내부에서 정전이 되어 무조명상태가 되는 것이다. 철도차량은 물리적 공간적 환경이 건축물과 차이가 있다. 또한 문화적 인종적 차이로 인해 외국의 데이터를 바로 적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일은 아니다. 그러므로 시나리오를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실험을 통해 확보해야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무조명 상태에서의 피난인의 행태와 이동속도의 차이 등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 PDF

Experiments of Horizontal Movement in Train Car on Non-lighting (철도차량에서의 무조명 상태 시 수평이동에 관한 실험)

  • Kim, Jong-Hoon;Kim, Woon-Hyung;Roh, Sam-Kew;Lee, Duck-Hee;Jung, Wo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506-509
    • /
    • 2010
  • 국내에서는 철도차량의 화재안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성능평가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철도차량에서의 화재 시 피난은 여러 가지 시나리오들이 존재하며, 이중 하나가 터널내부에서 정전이 되어 무조명상태가 되는 것이다. 철도차량은 물리적 공간적 환경이 건축물과 차이가 있다. 또한 문화적 인종적 차이로 인해 외국의 데이터를 바로 적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일은 아니다. 그러므로 시나리오를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실험을 통해 확보해야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무조명 상태에서의 피난인의 행태와 이동속도의 차이 등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 PDF

와동 이장재의 임상적 응용

  • Gwon, Hyeok-Chun;Son, Ho-H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0 no.11 s.162
    • /
    • pp.917-919
    • /
    • 1982
  • 치과보존학 영역에서 사용되는 각종 충전재는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충전후 치질과 완전한 접착을 이루지 못하고, 충전물과 와동벽 사이에 미세공간을 형성하여 변연누출을 야기한다. 즉 타액, 세균, 음식물 분해산물등이 자유로이 이 미세공간을 통해 침투하여 치수와 건강 치질에 이차적인 위해작용을 하기 때문에, 충전의 결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이 미세공간을 폐쇄하여 변연노출을 억제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사용되는 재료가 와동이장재이며, 이의 임상적 응용에 대해 기술하고저 한다.

  • PDF

Black in Along with the Gods (<신과 함께>의 검정, (비)물질과 지각의 상호작용)

  • Kim, jo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9-120
    • /
    • 2019
  • 이 글은 물질의 본질로 규정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색채론과 디지털이미지의 비물질적 특성으로서의 검정을 전제로, <신과 함께>의 서사를 주도하는 인물과 이미지를 구성하는 공간에 채워진 검정의 의미를 분석한다. 할리우드영화에서 검정은 악의 근원이며 공포이다. 검정에 관한 예외적이고 특별한 특성을 성찰하는 철학, 회화, 문학에서의 비유와 달리, 대중영화에서 검정은 가장 보편적인 의미를 표현한다. 삶과 죽음의 경계를 오가는 <신과 함께>에서 검정은 저승의 공간과 차사라는 인물을 구성한다. 한국영화에서 검정은 상상의 공간을 상징화하는 유용한 색이다. 이 글은 한국영화 <신과 함께>에 사용된 검정을 통해 동서양 색채문화의 차이를 살펴보고,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의미를 분석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Sense of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실내와 실외의 공간감 비교 연구)

  • Yoo, Mi-Kyoung;Im, Seung-B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5
    • /
    • pp.63-72
    • /
    • 2012
  • In contemporary times, "environmental designers" need to consider both exterior and interior aspects because of the growing trend in dissolution between exterior and interior spaces. To quantify "spatial sense" which serves as the standard for environmental design, this study has asked 63 subjects to evaluate 15 interior and 14 exterior spaces. The "spaciousness (small-large)", "openness(closed-open)", "warmness(warm-cold)", "brightness(bright-dark)", "softness(soft-hard)", "spatial intimacy" and "frequency of visit" were adopted as variables of spatial sense.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variables, this study could gain the difference between spatial sense for exterior and interior environments, quantify the spatial sense that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appropriates to human be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wice the amount of spaciousness was observed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And the standard on intimate space is established with W/H ratio of 5.71 and high Window/Wall Area ratio in the interior and an area of 3,800m2 and a W/H ratio of 5.57 in exteri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atial sense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 is mostly dependent on the psychological sense. The increase of physical size caused by the interior space to be perceived as cold, dark and hard psychologically, but exterior space to be perceived as warm, bright and soft. Psychological senses, especially softness, affect spatial intimacy to the greatest extent among the given variables. As the psychological senses for interior spaces were largely independent from the given space's size and perceptive senses, the size of the interior space, which exhibited spatial intimacy, could not be deduced. In comparison to this, due to the high dependency between the psychological senses for exterior spaces and the given space's size and perceptive senses. The study also showed that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have relatively different spatial sense and physical standards. Such research results are predicted to provide applicable standards for environmental designers for exterior and interior spaces in the future.

The Relationships among Mathematics Achievement, Spatial Ability, and Verbal Achievement for Engineering Freshmen and Gender Differences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 수학 성취도와 언어 성취도 사이의 관계 및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 Kim, Yon M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3
    • /
    • pp.553-571
    • /
    • 2015
  • Mathematical, verbal, and spatial abilities are known as three important indicators for the success in the STEM disciplines. In this study, Purdue Spatial Visualization Test-Rotation, College Entrance Scholastic Aptitude Test- Math and Verbal score of engineering freshmen students have been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areas. In addition, gender differences in spatial visualization, verbal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have been investigated, too. In this research, I found that gender difference was highest in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followed by verbal achievement and smallest in mathematical achievement. Substantial number of male students possess high level of spatial abilities, but only half of female students were at the same level where their male colleagues were.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ability and mathematical ability was negligible, contrary to former researches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But the correlation was stronger for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The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verbal achievement was negative. It reflects the fact that when one section of SAT score is low, score of other sections should be higher to get admitted to college.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s was smallest for high achieving spatial ability group. For low spatial ability group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s achievement has been observed, too. To find the combined contribution of spatial and verbal abilities to mathematics achievement, students were divided into 4 ability groups. Mathematics achievement decreased in the order of (1) high spatial -low verbal group, (2) low spatial - low verbal group, (3) high spatial - high verbal group, (4) low spatial - high verbal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