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접근

Search Result 2,277,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A Tile-based Access Control Method for the Security of Spatial Database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을 위한 타일 단위의 접근 제어 기법)

  • 강동재;오영환;김재홍;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18-20
    • /
    • 2000
  •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접근, 고의적인 파괴 혹은 우발적인 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보안정책의 수용이 필요하다. 보안등급의 적용 단위는 필드, 객체, 레이어 단위의 방법이 있으며, 객체 단위의 보안등급 적용은 인접한 객체의 위상관계에 의한 정보 유출의 문제점이 있고, 레이어 단위 보안등급의 적용은 공간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타일 단위의 접근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타일 단위 접근제어 기법은 보안등급 적용 단위를 타일(Tile)로 하며 레이어, 지도의 보안등급은 하위 수준인 타일과 레이어에 부여된 보안등급의 최하위 등급으로 각각 설정한다. 제안한 기법의 구현을 위해 타일의 구조와 스키마를 정의하고, 보안 유지를 위한 연산 제약사항을 기술한다. 연산 제약 사항은 기본적으로 BLP의 속성을 따르고, 상위 등급 객체에 대한 수정 방지와 하위 등급 객체에 대한 수정 허용을 위해서 BLP 속성을 확정한다. 제안된 기법은 레이어 단위의 접근제어 기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며 인접한 객체 사이의 위상관계에 의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한다.

  • PDF

Specification / Attribute based access control based on Index for XML Document (XML 문서를 위한 인덱스 기반의 명세/속성 기반 접근 제어)

  • ;Van-Trang-Nguye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220-222
    • /
    • 2003
  • 최근 연구되고 있는 XML 문서를 위한 접근 제어에 관한 연구는 간접적으로 접근 권한을 표현하는 명세 기반 접근 제어 방법과 각 객체에 직접적인 접근 권한을 표현하는 속성 기반 접근 제어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명세 기반 접근 제어 방법은 공간 효율적이며, 속도 비효율적인 특성을 갖으며, 속성 기반 접근 제어 방법은 속도 효율적이며, 공간 비효율적인 특성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연구의 초점은 안전한 접근 제어를 보장하면서, 부가적인 비용 증가를 줄이고자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인덱스 기법에 기반 하지 않고 문서 전체 또는 일부를 액세스 하므로 탐색 비용 또는 데이터 처리 비용이 증가하고, 특정 기법에 국한 하여 적용하기 때문에 각 기법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점온 해결 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덱스 기반의 전역 접근 제어와 지역 접근 제어 메커니즘 제안하고. 이률 기반으로 명세/속성 기반 접근 제어를 연계하여 강제 접근 제어(MAC)의 최소 접근 권한 정책을 지원하는 역할 기반 다중 레벨 접근 제어 모델에 적용하였다.

  • PDF

RAH-tree : A Efficient Index Scheme for Spatial Data with Skewed Access Patterns (RAH-tree : 편향 접근 패턴을 갖는 공간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색인 기법)

  • Choi Keun-Ha;Lee Seung-Joong;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31-33
    • /
    • 2005
  • GPS및 PDA의 발달로 인해서 위치 기반 서비스(LBS), 차량항법장치(CNS), 지리정보시스템(GIS)등 공간 데이터를 다루는 응용프로그램들이 급속하게 보급되었다.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은 높이 균등 색인 기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데이터에 대한 색인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모든 공간 객체는 서로 상이한 접근 빈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공간색인 기법은 접근 빈도를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빈도수만을 고려한 공간 객체의 색인 방법은 접근 빈도에 따른 편향성(skewed)은 제공하지만 공간 객체에 대한 지역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밀집되어 있는 공간 객체의 접근 빈도를 반영해서 편향된 색인 트리를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형 클러스터링으로 분포되어 있는 전체 영역에 대해서 Zahn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변형시켜서 다단계 세부영역을 구분한다. 이렇게 구간된 세부영역에 대해서 거리적 인접성과 접근 빈도수의 합을 이용해서 색인 트리를 생성한다. 다단계로 구성된 전체영역에 대해서 하향식 방식으로 편향된 색인 트리를 생성함으로써, 접근 빈도가 높은 공간 객체에 대해서 빠른 탐색이 가능하게 한다.

  • PDF

Critical Reviews on Concept of Spatial Planning - From the Perspective of ESDP and PCPA in 2004 in the UK - (공간계획의 개념에 관한 검토 - 유럽의 ESDP와 영국의 PCPA 2004를 중심으로 -)

  • Kim, Tae-Hoon;Kwon, Hyuk-Jin;Lee, Cheon-Jae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5 no.1
    • /
    • pp.99-122
    • /
    • 2015
  • Spatial planning, is required to be conceptualized corresponding to the shifts in planning paradigm through logical and systematic approaches. The concept of planning, thu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not only the planning discipline but also the planning activities or practices. This study aims to review and examine the concept of spatial planning based on the different approaches of planning and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land use planning, then review a meaning of spatial planning in terms of its dimensions. The research range will be limited to only the concept of spatial planning and survey was carried on through collecting the secondary research data by literature reviews and both descriptive and comparative approaches will be applied concurrently.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found as follows: Firstly, spatial planning has been reviewed with regard to theoretical, practical and integrated approaches. Secondly, the concept of spatial planning has been examined in terms of definitions, dimensions and analysis criteria and then analyzed conceptual differences compared with traditional land use planning. Finally, a meaning of spatial planning has been highlighted based on the dimensions of spatial planning, such as future visions, policy toolbox,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clusivity.

Gender Roles, Accessibility, and Gendered Spatiality (성역할, 접근성, 그리고 젠더화된 공간성)

  • Kim, Hyun-Mi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5
    • /
    • pp.808-834
    • /
    • 2007
  • This study attempts to elucidate manifold dimensions of gendered accessibility experiences. How gender roles(household responsibilities) differentiate accessibility experiences between women and men is explored through the comparison of married dual-earner couples' parental status, using the US Portland activity-travel diary dataset with GIS-based geocomputation results of(time-geography based) space-time accessibility. First, this study shows how gender division of labor within the household still permeates current society, despite the widespread belief of the social change toward a gender-egalitarian society. Then, the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way gender roles structure individual accessibility experiences of women and men differently, and, in turn, the way such accessibility experiences take a form of gendered spatiality. Gendered spatiality i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accessibility space as well as activity space in order to ascertain women's home-attached and spatially entrapped characteristics. More household responsibilities throughout a day and, even more, the time constraint of picking up children at the daycare centers after work lead women's possible activity space to be more home-centered. The analysis of the spatio-temporal context of accessibility space makes gendered spatiality visible. However, the findings suggest that behavioral outcomes should be understood with an explicit awareness of constraints individuals face. It is because the revealed activity spaces can be not only an outcome of constraint but also an outcome of choice. Behavioral outcomes should not be treated as a straightforward expression of the level of constraints. It is problematic to expect that behavioral outcomes directly mirror the level of constraints. It is also problematic to suppose that the level of constraints can be straightforwardly elicited from revealed behavioral outcomes.

Location of Large Scale Discount Store and Differences of Accessibility to Daily Shopping Places (대형할인점의 입지와 일상적 쇼핑장소로의 접근성 차이)

  • 정은혜;노시학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4
    • /
    • pp.585-598
    • /
    • 2000
  • 본 연구를 통하여 대형할인점 이용자, 재래시장 이용자, 그리고 수퍼마켓 이용자들의 각 쇼핑장소를 중심으로 한 거주지역 공간적 분포 및 쇼핑패턴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이 세종류의 쇼핑장소 이용자들간의 각 쇼핑장소들 중심으로 한 거주지역 분포의 공간적 패턴 및 쇼핑통행 패턴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대형할인점을 이용자를 제외한 재래시장 이용자와 슈퍼마켓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이용하기를 원하는 대형할인점의 이용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통행거리, 운전면허 미소지, 자가용 승용차 미보유 등 대형할인점으로의 접근을 위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약 요인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들을 볼 때, 재래시장 및 수퍼마켓이 주민들의 일상적인 쇼핑장소의 역할을 할 때와는 달리 대형할인점의 등장은 이곳으로의 주민들의 접근능력의 차이에 따라 주민들간 일상적 소비장소의 차별화가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최근 대형할인점의 입지가 가속화되고 이에 따라 재래시장 및 수퍼마켓의 기능이 쇠퇴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신체적 그리고 사회경제적 특성의 차이에 따라 대형할인점으로의 접근에 제한을 받는 주민들의 일상적 소비공간은 더욱 위축되고 고립될 가능성이 있다.

  • PDF

Institutional approaches in geography -Institutional changes in the Korean financial system- (지리학에서 제도적 접근법에 관한 연구 -한국금융부문의 제도적 변 화를 사례로-)

  • Choi, Jae H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0 no.4
    • /
    • pp.364-388
    • /
    • 1995
  • Even though rarely recognized as a separate approach, the institutional approach in geography is defined as an attempt to seek an explanation of the phenomena of geographical interest through focusing on the effects of institutional structure and actions. It can provide interdisciplinary links with other works and can offer complementary explanations for geographical interests. The concerns for institutions in geography can be found in early studies, the study of the state, the managerial approach, and the regulation approach. The Korean financial systems can provide good examples to apply institutional concepts into creating spatial outcomes, as it has been regarded as a useful tool to promote Korean economic development. Behind the current spatial pattern of financial systems, four different stages of institutional changes are identified in Korea. Each stage has different institutional features reflecting unique spatial implication.

  • PDF

Actinometry에 의한 CF4플라즈마에서의 F라디칼의 공간분포

  • Lee, U-Hyeon;Jeong, Jae-Cheol;Kim, Dong-Hyeon;Kim, Hyeok;Hwang, Gi-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17-217
    • /
    • 2011
  •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식각 및 증착등의 반도체공정에 있어서 최근에는 기판의 크기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대면적 플라즈마 발생장치 내에서 플라즈마 밀도와 라디칼 농도의 공간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이를 위해 Langmuir probe와 같은 전기적 접근법에 의한 진단방법이나 광학적 접근법에 의한 진단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졌다. 전기적 접근법에 의한 플라즈마의 진단방법은 원리가 간단하고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진단 장치에 의한 플라즈마의 간섭이 크고 식각가스의 경우 진단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에 비해 광학적 진단방법은 플라즈마에 간섭이 많지 않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고 레이저 형광법(LIF), 원적외선 레이저 흡수 분광법(IR laser Absorption Spectroscopy), 광량측정법(Actinometry)등이 있다. 이 중 레이저 형광법, 원적외선 레이저 흡수 분광법의 경우, 진단장치가 매우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광량측정법의 경우 다른 광학적 접근법에 의한 진단방법에 비해 원리와 실험장치가 간단하고 공간적인 라디칼 분포의 진단이 쉽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Actinometry는 Ar과 같은 불활성 기체를 작은 비율을 넣어서 여기 된 불활성 기체의 파장세기와 여기 된 측정 라디칼의 파장세기의 비교를 통해 상대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측정 방법에 Abel's inversion equation을 적용함으로 해서 대면적 M-ICP(Magnetized - Induced Coupled Plasma)에서 식각가스인 $CF_4$플라즈마에서 F 라디칼 농도의 공간적인 분포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플라즈마의 압력, 소스 전력 값과 기판 전력 값등의 조건의 변화에 따라 F 라디칼 농도의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측정 분석하여 다루었다.

  • PDF

An Analysis of Broadband Accessibility at the County Level in the United Slates: a Spatial Analytical Approach Using GIS (미국 카운티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분석: GIS를 이용한 공간 분석적 접근)

  • Lee, Gun-Ha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2
    • /
    • pp.202-219
    • /
    • 2008
  • As demand for high speed Internet service has explosively increased in the United States for the past decade, the construction or upgrades of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has also been rapidly followed. Though currently many people in urbanized areas can be provided advanced broadband services, there are still challengeable areas to be served, such as remote or low populated areas because those areas are potentially non-profitable to commercial broadband service providers. This paper addresses the spatial disparity or in a broader term, the 'digital divide' of the broadband access by the county level in the United States. We propose the quantified measure of the county level broadband accessibility for identifying such digital divide. The developed measure is a hybrid form of the classical gravity based potential model and network topological accessibility, encouraged from the lack of prior efforts eying to explicitly incorporate the understanding of the whole process of the Internet access. The computational tasks are performed in a GIS platform, which includes several programmed functions.

Declustering Spatial Objects by Clustering for Parallel Disks (클러스터를 이용한 공간데이타 디클러스터링)

  • 곽지숙;김학철;이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68-170
    • /
    • 1999
  • 지리정보시스템과 같은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다루는 데이터는 대용량이며, 사용자의 다양한 질의에 따라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때 성능의 대부분이 디스크 접근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접근시간을 줄이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는 다수의 디스크 공간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디클러스터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효과적인 디클러스터링 방법은 주어진 질의에 대하여 동시에 접근될 가능성이 있는 공간 객체를 다른 디스크에 각각 저장함으로써 한번에 접근하는 병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디스크에게 할당 가능한 공간 객체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에 할당하는 것은 오히려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기 위해서는 공간 객체들을 클러스터링 한 후, 크러러스터 단위로 디스크로 할당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전에 제시된 디클러스터링 방법들은 이러한 요소를 고려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공간 객체들에 대해서 일정한 크기의 클러스터를 만들고 클러스터 단위로 디클러스터링 하여 효율적인 성능 향상을 보이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전에 제시되어졌던 여러 가지 디클러스터링 방법들과의 비교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밝히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