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동화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동화와 놀이를 결합한 스토리텔링의 하천개발 적용방안

  • Park, Ki-Bum;Park, So-Yoon;Lee, Hy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61-764
    • /
    • 2012
  • 하천공간을 개발하는 것에 있어 공간계획의 구분은 자연보전 공간, 학습공간, 운동공간, 친수공간, 위락공간 등 다양한 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개발하는 것에 있어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누구인가가 중요하다. 또한 하천과 같이 공공의 서비스 공간에서 투자한 사업비에 비교하여 보다 많은 사용자의 이용과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진다면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사업이라 할 수 있다. 도심지 하천 혹은 관광지 주변의 하천의 경우 최근의 여가의 트랜드를 비추어 볼 때 가족중심의 여가문화와 유 아동을 동반한 부모, 성인의 문화가 발달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가족중심의 하천변 개발에 있어 유 아동들이 즐길만한 공간의 제공이 필요하다. 현재의 하천공간은 체육시설 그리고 잔디광장 중심의 공간개발이었다. 그러나 최근 스토리텔링의 하천개발에 접목에 따라서 다양한 하천공간이 개발되고 있다. 역사, 문화, 전통, 동화 등 다양한 소재의 개발과 하천의 접목으로 다양한 연령층과 즐길 거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하천공간을 동화와 놀이를 접목시켜 유 아동들의 놀이와 나아가 교육을 체험할 수 있는 하천공간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유 아동들이라면 누구나 아는 동화를 스토리텔링화 하여 하천공간을 뛰어다니면서 동화의 체험과 놀이 그리고 교육을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하천개발에 적용되는 스토리텔링 자원에 관한 연구

  • Park, Ki-Bum;Lee, Hyo-Jin;Kwon, Oh-Jong;Kim,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55-758
    • /
    • 2012
  • 최근 들어 하천개발에 있어 치수적인 개발중심에서 친수적, 환경적인 중심으로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친수적이고 환경적인 하천의 개발에 있어 도입되는 하천개발은 하천의 치수, 이수, 생태기능과 지역의 문화, 역사를 연계한 다기능 하천개발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개발이 주로 이루어지는 공간은 둔치공간으로 다양한 스토리텔링의 개발을 통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유도되고 있다. 최근의 스토리텔링의 주요 소재는 지역의 문화, 역사, 전통, 설화 등으로 시간적으로 과거의 시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좀 더 다양한 스토리텔링의 개발 방향으로 동화, 에듀테인먼트, 테마파크, 놀이터 등의 개념을 접목시켜 놀이공간으로서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소재와 시간이 현대적으로 또는 미래지향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하천구간을 동화의 주요장면을 체험하는 공간으로 구성하여 스토리를 따라서 산책하며 체험을 통해 한 권의 동화의 주인공이 된 듯한 체험을 가지게 하는 방법, 다양한 하천에 설치 가능한 놀이시설을 배치하여 교육과 접목시켜 어린아이들에게 놀이를 통해 지식을 얻게 하는 방법, 캐릭터를 중심으로 전개하는 방법 등 다양한 시공간을 초월하는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하천개발의 스토리텔링의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놀이터개념, 에듀테인먼트 개념, 테마파크 개념, 동화개념 등을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Ensemble data assimilation using WRF-Hydro and DART (WRF-Hydro와 DART를 이용한 분포형 수문모형의 자료동화)

  • Noh, Seong Jin;Choi, Hyeonjin;Kim, Bomi;Lee, Garim;Lee, S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92-392
    • /
    • 2021
  • 자료동화(data assimilation) 기법은 관측 자료와 예측 모형의 정보를 동시에 활용, 모형의 상태량(state variables)이나 매개변수(model parameters)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Bayesian 필터링 이론에 근거한 방법으로, 최근 이를 활용한 수문 모의 정확도 향상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앙상블 자료동화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부 방법인 along-the-stream localization과 inflation 기법의 분포형 수문 모형에 대한 적용성을 대규모 지역 단위(regional-scale) 모의를 통해 검토한다. 분포형 수문모형과 자료동화 framework로는 WRF-Hydro(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Hydrological Modeling System)와 DART(Data Assimilation Research Testbed)를 각각 적용한다. WRF-Hydro는 미국의 전 대륙지역(CONUS; continental United States)에 대한 수문 모델링 framework인 National Water Model의 핵심엔진이고, DART는 미국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NCAR) 연구소에서 개발한 범용 자료동화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 수문모형의 자료동화를 위해 개발된 기법인 along-the-stream localization과 inflation 기법이 하도 추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along-the stream localization 기법은 공간적 근접도 외에 하도의 수문학적 연관관계를 고려하는 localization 기법으로, 상대적으로 수문학적 상관도가 떨어지는 하도에 대한 과도한 자료동화를 줄여줄 수 있다. inflation 기법은 앙상블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기법으로, 칼만 필터(Kalman filter)에 의한 업데이트의 이전이나 이후 적용하여 앙상블 예측의 정확도를 추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앙상블 자료동화 기법을 지표수 수문 모의에 적용할 경우 남아 있는 난제와 적용 가능한 방법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 PDF

Ethnicity and Urban Ethnic Places in American Cities: Fading Away or Resilient\ulcorner (북미도시의 민족성과 민족집단장소 이론의 지리학적 함의: 동화론 비판을 중심으로)

  • Youngmin Le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5
    • /
    • pp.527-538
    • /
    • 2001
  • Viewed from the framework of world system, international migration is connected sometimes to unequal power relations by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destination areas, or to equal power relations by intentional effort for harmonious multiculturalism. According to the existing ethnic relation theory, assimiationism, it is natural that ethnicity is fading away as the foreign immigrants of different ethnic background have long limed in a destination area, and thus the relative urban ethnic places are weakened and finally dissapeared. Through the various examples particularly on the United States, however, ethnicity would not be easily fading-away but be sustained for long time. Also, the characteristics of ethnicity or ethnic place are sometimes reivented or reconstructed as the various situation of multiculturalism is affected by postmodernism. Whether it is the thing made by ethnic segregation or by ethnic congregation, ethnicity and ethnic place are evidently a kind of affluent resources of culture and economy in the destination areas.

  • PDF

A Study of Global Ocean Data Assimilation using VAF (VAF 변분법을 이용한 전구 해양자료 동화 연구)

  • Ahn, Joong-Bae;Yoon, Yong-Hoon;Cho, Eek-Hyun;Oh, He-Ram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0 no.1
    • /
    • pp.69-78
    • /
    • 2005
  • ARCO and TAO data which supply three dimensional global ocean information are assimilated to the background field from a general circulation model, MOM3. Using a variational Analysis using Filter (VAF), which is a spatial variational filter designed to reduce computational time and space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observed ARGO and TAO data are assimilated to the OGCM-generated background sea temperature for the generation of initial condition of the model. For the assessment of the assimilation impact, a comparative experiment has been done by integrating the model from different intial conditions: one from ARGO-, TAO-data assimilated initial condition and the other from background state without assimilation. The assimilated analysis field not only depicts major oceanic features more realistically but also reduces several systematic model bias that appear in every current OGCMs experiments. From the 10-month of model integrations with and without assimilated initial conditions, it is found that the major assimilated characteristics in sea temperature appeared in the initial field remain persistently throughout the integration. Such implies that the assimilated characteristics of the reduced sea temperature bias is to last in the integration without rapid restoration to the non-assimilated OGCM integration state by dispersing mass field in the form of internal gravity waves. From our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data assimilation method adapted in this study to MOM3 is reasonable and applicable with dynamical consistency. The success in generating initial condition with ARGO and TAO data assimilation has significant implication upon the prediction of the long-term climate and weather using ocean-atmosphere coupled model.

Development of Drought Assessment Scheme using Root Zone Soil Moisture (토양수분을 이용한 가뭄평가기법 개발)

  • Shin, Yongchul;Park, KyungWon;Yoon, Sunkwon;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4-24
    • /
    • 2015
  • 최근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많은 가뭄평가기법들이 개발되었으나 산림과 함께 산악지형이 우세한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특성으로 인하여 가뭄평가시 불확실성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농업가뭄은 기후와 지표특성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후특성만을 고려한 가뭄지수는 실제 필요한 농업가뭄의 특성을 반영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와 지표특성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토양수분을 이용한 가뭄평가기법(Drought Assessment Scheme)을 개발하였다. 가뭄평가기법을 위하여 역추적기법(Inverse Modeling-IM) 기반의 자료동화기법(Data Assimilation, DA)을 이용하였다. 자료동화기법은 1-Dimensional (1-D) 기반의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는 SWMI_ST 모형과 최적화 알고리즘(유전자 알고리즘, Genetic Algorithm-GA)을 연계하여 실측 및 위성기반의 토양수분자료로부터 토양의 수리학적 매개변수(${\alpha}$, n, ${\Theta}_{res}$, ${\Theta}_{sat}$, $K_{sat}$)를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30 m X 30 m) 및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500 m X 500 m) 이미지자료를 이용하여 시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토양수분을 산정하였으며, 이후 자료동화기법을 이용하여 LANDSAT/MODIS 토양수분자료로 부터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토양의 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매개변수, GIS 기반의 지표피복 및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장기간의 토양수분을 산정 및 예측 할 수 있다. 고해상도의 이미지 자료를 사용하는 가뭄평가기법은 필지~시 군 단위까지 실제 우리나라 지형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가뭄을 모니터링 및 예측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Bibliotherapeutic Values of Korean Folk-tales: Focused on Establishing and Analyzing their Situ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한국전래동화의 독서치료적 가치 연구 - 다문화가정을 위한 상황설정 및 상황분석을 중심으로 -)

  • Kim, Soo-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6 no.3
    • /
    • pp.271-295
    • /
    • 2012
  • This study aims to extract and analyze the bibliotherapeutic values/situations of Korean folk-tal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By analyzing 27 stories in the Korean folk-tale picture book written in two languages(Korean & English), we can find out 5 kinds of situational analysis as follows: (1) There are more men than women by the biological sex factor, whereas there are more adults than younger persons by the biological age discrimination. (2) For the space concept, there are a lot of socially related stories in their surroundings. (3) In the vertical relationship, there are more conflict elements than in the horizontal one. (4) There are more helpers from the outside than in the inside circle for the solution of their problems. (5) As a story theme, greed, wisdom, belief and family component elements are greatly involved in the stories. Among their beliefs, there are a lot of wisdom and greed themes, while piety and royalty to parents and conflict against stepmothers are among the family components. All of these would be an archetype of Korean culture,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to understand Korean lifestyle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but also to learn and practice bibliotherapeutic values.

Development of Automatic Sensor Detecting-based Home Automation Control Board for Modular Housing (모듈러 주택을 위한 자동 센서 감지기반 홈자동화 제어보드 개발)

  • Mah, Sung-Hoon;Kim, Byung-Se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7 no.6
    • /
    • pp.33-39
    • /
    • 2017
  • Today, residential facilities is planned and built based on modular architecture. In the modular housing, sizes and locations of spaces like rooms, kinchin, and bathrooms can be changed from-time-to-time. Therefore, current home automation systems based on predesigned and fixed system with wired sensors can not be suitable for the modular housing. As a result, a new concept-based homw automation system is required which is able to adopt varying home environment. Since the change of spaces will change the number of and types of necessary sensors, the home automation system enables to detect automatically and naturally the added or removed different types of wireless sensors and provides home automation services. In this paper, a home automation system is studied and implemented which can adopt varying space environment by detecting automatically added or removed sensors and provide new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sensing information.

Estimation of River Environment Flow of Donghwa Dam (동화댐의 하천유지용수 산정)

  • Kang, Seung-Mook;Kim, Sun-Joo;Kim, Phil-Sik;Shim, J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11-315
    • /
    • 2012
  • 최근 환경친화적인 도시 공간 마련 또는 생태공원 및 친수환경 조성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높아지는 등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용수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있어 기존 수리시설물에 저장된 용수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부족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는 하천유지용수의 개념을 정립하고 비교적 수량이 풍부한 대상지구의 여유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계획공급량 이외의 추가공급 가능량을 하천유지용수로 판단하여 대상지구에 활용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등 용수이용률 제고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동화지구는 수변공원조성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수변 공원조성사업의 각 시설물에 공급할 동화댐의 추가공급 가능량은 모두 하천유지용수라 할 수 있으며, 댐에서 하천유지용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더 커질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하천유지용수 개념의 정립과 소규모 댐에서 하천유지용수를 산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의 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A Study on the Local Identity and life Change of Female Marriage Migrants by Transnational Migration (초국가적 이주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 Jeong, Yu-R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1
    • /
    • pp.180-194
    • /
    • 2016
  • The local identity of a female marriage migrant is not fixed to certain boundary or location, but rather comprised flexibly according to geographical movement or new settlement to different plac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local identity and life change of female marriage migrants that are constituted/reconstituted according to spatial transition, or migra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raits of changes in the period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based on the following categorization: multiculturalism and bicultural identity, assimilation and host country identity, exclusion and origin country identity, marginalization and marginal ident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ile having identical experience in terms of a migration, the local identities of marriage migrant women differed according to individual/reg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ir respective roles within those traits. In addition, most of females showed passivity in maintaining and exposing their cultural identities of original states. Moreover the life satisfaction change of female marriage migrant that is type of assililation and host country identity is appeared more than others. through this assimilation and accommodation mean adaptation to female marriage migrant lived in Korea. However the intercultural competences of both marriage migrant woman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acilitate the connection among different cultures. Based on these outcomes, with the transi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space, this research proposes the necessity of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for mutual recognition of each culture, thus enabling coexist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