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기능

Search Result 3,00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Dispersed Concentration pattern of Biotechnology Companies Location: Case of Pharmaceutical enterprises (바이오기업의 분산적 집중형 입지패턴에 관한 연구: 제약기업을 사례로)

  • Choi, Yu-Mi;Kang, Myoung-Gu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4
    • /
    • pp.671-683
    • /
    • 2011
  •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increases freedom of location choice. This higher freedom allows to company can pursues bigger profit than before. Company's separated spatial configurations tend to go to most optimal location, so some places showed unexpected agglomeration. This study conducted to prove "dispersed concentration" for specific example, pharmaceutical enterprises, in real business world. As a result, separ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 clearly observed as product output goes bigger and R&D's depth goes deeper. And spatial concentration of each function was found. Most headquarters are located in Seoul, R&D centers make agglomeration at some spaces. Plants' location concentrated until 1990s, but, in 2000s, plants expand out of metropolitan area.

  • PDF

제주도 어촌의 관광지화에 따른 공간이용 변화

  • 송경언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11a
    • /
    • pp.61-64
    • /
    • 2002
  • 관광지 발달과정에 대한 논의에 있어 발달단계의 구분 지표로 삼고 있는 것은 대체로 관광객 수와 관광 기능이다. 관광객 수를 지표로 하는 것은 관광지와 관광객의 차이에 대한 고려가 소흘하고, 관광기능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관광지와 관광객의 차이를 반영하지만 관광기능과 불가분의 관계인 주민의 공간적 대응과정에 대한 논의는 소극적인 편이다. 그러나, 어촌의 관광기능을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관광지화에 따른 주민의 공간적 대응양상을 살피는 것은 관광지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역문제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중략)

  • PDF

The Comparative Study on Contemporary Cultural Facilities in the City Environment (도시 환경과 디자인 계획으로 본 현대 문화시설 비교 연구)

  • 김선영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4
    • /
    • pp.323-334
    • /
    • 2003
  • This study examines the multi-functionality of the cultural facilities and explore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facilities in city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1 examine the major cultural facilities in USA and Singapore. Recently,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methods have been diversified and the cultural facilities need to be designed to effectively accommodate the public's interests in these activ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reexamine cultural facilities' functions in terms of how the multi-functionality facilities reflec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also sheds a new light on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activity, and the cultural facility design. For this, I primarily look at the various design categories of cultural buildings and their main functions. Finally, I demonstrate how both cultural activity and cultural facility design elements are embodied in the city environment.

  • PDF

Analysis on Space and Architecture Examples of Toyo Ito from the Viewpoint of Functionalism - Focusing on Small-Sized Residental Spaces - (기능주의 관점에서의 이토 토요의 공간 및 건축 사례 분석 - 소규모 주거 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

  • Han, Hyun Suk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6 no.6
    • /
    • pp.59-74
    • /
    • 2017
  • Louis Sullivan insisted, "Form follows function." Functionality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elements for users to use product or space, and "function" in space and architecture has the meaning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its form. In this way, from the viewpoint of "Functionalism," the research selected Toyo Ito to see how important elements pursued by Functionalism are related to his forms of creation. Small residential space projects of Toyo Ito from the early 1970s to the present are selected, so that the structure, material and space type of space and architecture can easily grasped and analyzed. Space and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surfaces were classifi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openness of space. As a result, the space and architecture that pursue the function use a method that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function while excluding the whole decoration in order to highlight the function.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oyo Ito's small-scale residential space can be defined as the formalization and simplification of the form, the openness of space, and the versatility of each element.

Development of a Spatial Query Process System based on the Mobile DBMS (모바일 DBMS 기반 공간 질의 처리 시스템의 개발)

  • Kim, Bum-Jin;Shin, In-Su;Kim, Joung-Joon;Han, Ki-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50-58
    • /
    • 2010
  •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과 모바일 단말기 사용의 보편화됨에 따라 GIS 서비스가 점차 모바일 환경으로 이동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모바일 GIS 응용 시스템들은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공간 데이타 처리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모바일 DBMS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GIS 응용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OGC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공간 데이타 타입 및 공간 연산자를 지원하는 공간 질의 처리 시스템이 필요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공간 데이타 처리를 위해 기존 모바일 DBMS에 기반하여 공간 질의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모바일 DBMS 기반의 공간 질의 처리 시스템은 효율적인 공간 질의 처리를 위해 공간 데이타 타입 및 공간 연산자를 제공하고, 공간 데이타 캐싱 기능, 인덱스 압축 기법을 지원하고, 그리고 공간 데이타 타입을 변환하여 모바일 DBMS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DBMS 기반 공간 질의 처리 시스템을 부동산 정보 서비스에 적용해 봄으로써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 PDF

A study on Cancel key function and spatialization metaphor in mobile (모바일 폰에서 [이전]기능과 사용자 공간 은유에 관한 연구)

  • Seo, Kyung-Ja;Song, Hyun-Chu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059-1063
    • /
    • 2009
  • 모바일 폰의 메뉴 구조는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며 링크의 연결로 페이지 정보를 전달하거나 하부 카테고리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모바일 폰 사용자는 메뉴 조작을 통해 기능을 실행하며, 이 과정에서 선형구조, 계층형 구조, 대화형 구조, 데이터베이스 구조, 혼합구조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경험하게 된다. 사용자는 모바일 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면서 추상적 개념의 공간 인지를 구체적인 공간으로 이해하려 한다. 즉 UI, GUI에서 제시하고 있는 Label이나 방향표시를 따라 상하좌우라는 공간적 개념으로 은유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하드키 단말의 경우는 상하좌우키를 이용하여 공간을 이해했다면 최근에는 터치 및 제스처 동작 인식이 가능한 폰이 등장하면서 좌우 flick, 상하 flick 등과 같은 구체적인 행동으로 디바이스 화면에서 공간이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자의 공간 은유를 이해하기 위해 상위 depth로 이동하는 [이전] 키의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방법보다는 [취소]를 이용하여 depth를 이동하는 것이 사용자의 모바일 폰의 공간 은유 파악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기 때문이다. 둘째, [이전], [취소]라는 Label이 가지고 있는 모호성 때문이다. 모바일 폰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이전]는 전체 사용에 있어 아주 작은 요소에 불과하지만 사용자는 정해진 순서의 process에 따라 기능을 수행할 때와는 다르게 역 방향 Process를 사용하면서 모바일 폰의 구조를 이해하고 모바일 공간을 인지하는 중요한 요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으로 돌아가는 [이전]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메뉴의 층위 구조 및 공간 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자 한다. 실험을 위해 모바일 폰을 자주 사용하고 있는 20~30대 남녀 10명의 피험자에게 전화번호부, 앨범, 문자메시지의 목록화면과 상세보기 화면을 제시한 후 마지막 상세보기 화면에서 실험에서 제시하는 제시어를 보고 어느 화면으로 이동하게 될 것인지를 예상하는 질문을 하였으며, 그러한 이유에 대해서는 인터뷰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폰 공간인지는 동일한 레벨의 단계 즉 상세보기의 경우는 수평의 관계라고 보고 있으며, 목록화면과 상세화면의 관계는 상하의 관계라고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를 인터뷰를 통해 질문하였을 때, 상세화면에서 좌우 방향표시가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높았으며, 상세보기 화면이 좌우라고 인식하면 목록화면은 상하의 관계로 이해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즉 하나의 정해진 공간인지를 통해 다른 공간을 유추하여 생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결과적으로 실제 단말에서 [이전] 기능을 상위 depth로 이동하도록 설계하였다면 [한단계위]라는 Label 또는 e번과 같은 상위의 개념을 포함한 아이콘을 사용한다면 혼란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논문에서는 [이전]라는 기능으로만 사용자의 공간 개념을 예측할 수 있었지만, 터치스크린의 등장과 함께 플릭과 같은 다양한 제스처에 의한 인터렉션이 가능한 현 시점에서 추상적인 공간은 방향성을 가진 제스처에 의해 구체적인 물리적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더욱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용자의 공간인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Label과 방향성 표시는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며, 이후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의 공간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예상된다.

  • PDF

주방기기

  • Korea Boiler Engineering Association
    • 보일러설비
    • /
    • no.11 s.142
    • /
    • pp.137-144
    • /
    • 2005
  • 과거 우리나라의 부엌은 주부의 노동공간으로 여겨져 왔지만 현대에 와서는 주방의 기능적 측면이 충분히 반영되어 적극적인 서비스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 핵가족 시대의 가족유대를 도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 가족이라 하더라도 각자 다른 생활패턴을 가지고 있어 가족구성원이 서로 얼굴을 대할 수 있는 시간은 식사시간 정도가 전부일 것이다. 따라서 주방은 조리 휴식 대화의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편의성 안락함을 지닌 공간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주방이 식사와 더불어 가족들간의 자연스런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생활중심공간이라고 여겨지고 있으며, 아울러 주방을 하나의 '문화공간'으로 간주하기도 하여 주택의 내부와 조화를 이루는 주방인테리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 PDF

A Study on Utilization for the Worship Space as a Multifunctional Space (다목적 공간으로서의 예배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 이진영;한영호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19
    • /
    • pp.151-159
    • /
    • 1999
  • 종교 공간으로서의 교회 건축물은 각 지역 단체생활의 정신적, 물질적으로 다양한 활동을 공급하고 있는 장소이다. 그러나 오늘날 변화무쌍한 현대 사회의 도심 교회들은 그 참여수가 점차 줄고 있는 젊은 세대들에게 충분한 만족을 주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영국 도심 교회가 변화가 어려운 예배당 공간 하나로, 각기 다른 기능을 요구하는 이용자들에게 다기능 공간을 공급하고 있으며, 과거에 잠재적 기능을 고려하지 않고 디자인된 대부분의 한국 도심교회들도 비슷한 조건의 문제 발생으로, 현 이용자들에게 또 다른 요구사항들과 불편함을 주고 있다. 이것은 이용자가 공간을 사용함으로 즐거움과 감흥을 얻기가 어렵게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날, 젊은이들의 생활 패턴이 바뀌어 가고 있음으로 그 실태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도심교회 공간의 전형적인 문제점과, 연령별 이용자 그룹의 우선권을 조사하고, 각기 다른 조건의 종교적 공간 사례 조사를 통해 이용자들 및 공간 디자인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있다. 이어서, 각 공간에 따른 문제 해결 방법을 성공적 공간디자인 사례자료를 토대로 정리한 후, 어떠한 종교적 공간에서도 적용 가능하도록 통합적으로 설정된 디자인목표를 바탕으로, 세가지 다른 방법의 계획서들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용자들의 응답을 통해 계획서를 평가하여, 그것에 근거한 결론적인 종합적 디자인 계획서를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회가 필요로 하는 기능에 따라 변화가 가능한 예배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기존의 교회건물이 더욱 더 많이 사용자의 요구에 만족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 PDF

SYSTEM DEVELOPMENT FOR THE CALS-GIS OPERATION (CALS-GIS의 운용을 위한 요소기술의 개발)

  • Jongwoo Oh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07b
    • /
    • pp.555-562
    • /
    • 1999
  • 연구목적은 CALS와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를 융합한 효과적인 전자상거래 운용 및 관리시스템의 개발에 두고 있으며, 이는 CALS와 EC로만 국한된 전자상거래 환경에 융통성 있는 지리정보기술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ies)과의 상호운용에 의한 기법으로 전자상거래를 보완하여 생산과 판매 그리고 판매와 수요간의 비용절감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함 에 있다. 전자상거래 분야의 문제점으로서 지역과 지역간에 형성되는 상거래의 공간적인 분포관계나 경제적인 연계관계 등에 대한 구체적인 요인분석이나 대처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생산지와 분배처 그리고 수요자간의 공간적인 제반문제들에 의한 과도한 물류비용의 부담, 불확실한 수요공급의 추이, 급변하는 경제동향의 이해, 비정형적인 공간거래에 따른 비용의 발생 등이 대상이 되고 있다. 이들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은 공간간의 상거래 상관관계를 제시해주는 분석기능의 제공, 지역간에 상거래 자료를 기록 관리하게 할 수 있는 공간DB의 도화 편집기능의 제공, 과거에서 현실까지의 자료에 의한 향후의 지리공간에 대한 상거래 추이를 위한 시공간 기능의 제공 등을 들 수 있다. CALS-GIS의 운용에 따른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GIS의 공간분석기능을 활용하여 상거래 공간간의 지역성이나 경제성에 의한 상호간의 비용발생을 절감한다. GIS의 공간DB의 도화기능을 활용하여 지역사회간의 특성에 대한 자료를 도면에 의한 기록관리로 원활한 운영환경을 만든다. 시공간 모델링 기법 (Spatio-temporal Modeling)으로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자료에 의한 향후의 지리공간에 대한 추이를 파악하여 상거래의 전략을 체계적으로 구축한다. 생활지리정보의 제공에 의한 다양한 정보의 접근에 의한 부수적인 관리의 도구로 전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System 개발을 개방형 환경으로 구축하여 CALS-GIS의 운영 이외의 차세대 신기술까지도 접목할 수 있는 시스템 환경으로 구현되어 제공된다.

  • PDF

Implementing a Smart Space Service Testbed based on the Concept of Reconfigurable Spatial Functions (Reconfigurable Space 개념에 의한 스마트공간서비스 시나리오의 테스트베드 구현)

  • Cho, Yun-Jung;Kim, Sung-A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855-861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concept of dynamically reconfigurable space by introducing smart building components. Thanks to the advances in ubiquitous computing and ITC technology, we are able to expect, in the near future, the aspects of future buildings which may transform their appearance and states to perform specific functions. In other words, it is certain that the building space will actively reconfigure itself to accommodate user's needs once we acquire proper technologi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uilding components may not be transformed through the magical process, but change its physical states (e.g. transparency, illumination, display contents, etc.) and functions of embedded devices (e.g. audio, actuators, sensors, etc.), we can envision a dynamically reconfigurable smart space. In order to conceptualize such spaces, critical surveys have been conducted on current works of leading architects. When the room needs to be used as a specific function room, the components need to change theirs states or to behave in a certain manner to create an optimum environment. Our model defines the relationships and elements to describe the mechanism of reconfigurable space. We expect this model provides a conceptual guideline for developing a smart building components based on spatial service scenarios. Therefore, a future smart spaces implemented by integrating various technologies are not designed in deterministic manner, so that spatial functions are expanded without constrained by physical exist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