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의사결정

Search Result 710,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ive Spatial Data Warehouse (효율적인 공간 데이타 웨어하우스에 관한 연구)

  • 이기영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3 no.4
    • /
    • pp.126-131
    • /
    • 1998
  • Spatial data warehouse, whose importance is being increased, is composed of huge amounts of historical spatial data for organizational decision making and it also allows users to obtain useful geospatial information through analyzing and summmarizing spatial data. In this paper, we survey effective spatial multidimensional model which is based on virtual scenario for spatial data warehouse modelling. Therefore, we describe spatial multidimensional analytical query which provide multiple analytical functions according tom user's requests.

  • PDF

A Hybrid Index based on Aggregation R-tree for Spatio-Temporal Aggregation (시공간 집계정보를 위한 Aggregation R-tree 기반의 하이브리드 인덱스)

  • You, Byeong-Seob;Bae, Hae-Young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3 no.5
    • /
    • pp.463-475
    • /
    • 2006
  • In applications such as a traffic management system, analysis using a spatial hierarchy of a spatial data warehouse and a simple aggregation is required. Over the past few years, several studies have been made on solution using a spatial index.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using extended R-tree. But, because it just provides either the current aggregation or the total aggregation, decision support of traffic policy required historical analysis can not be provided. This paper proposes hybrid index based on extended aR-tree for the spatio-temporal aggregation. The proposed method supports a spatial hierarchy and the current aggregation by the R-tree. The sorted hash table using the time structure of the extended aR-tree provides a temporal hierarchy and a historical aggregation.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supports an efficient decision support with spatio-temporal analysis and is Possible currently traffic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a traffic policy with historical analysis.

외항 상선 해기사의 이직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Kim, Yong-Du;Ryu, D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97-199
    • /
    • 2015
  • 장기간 선박이라는 공간에서 생활하면서 이가정성과 이사회성 등의 특성을 갖는 외항상선해기사들이 이직을 고려할 때 어떤 요인으로 의사결정하게 되는지에 대하여 AHP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직율을 낮출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였다.

  • PDF

The Decision Making Model for Basin Wide Flood Control Projects (유역단위의 치수사업을 위한 의사결정모형)

  • Yi, Choong-Sung;Choi, Seung-An;Lee, Snag-Cheol;Shim, Myung-Pil;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12-516
    • /
    • 2005
  • 우리나라에서는 이제까지 치수사업의 타당성 분석시 경제성 분석에 너무 치우쳐 사업에 대한 의사결정과정이 단편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본 연구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과 효용함수(utility function)를 이용하여 대안의 수립, 평가, 선정, 우선순위 결정에 이르는 치수사업 의사결정과정을 모형화 하였다. 모형의 적용결과, 최선대안의 선정시 경제성 기준이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단위 사업안의 투자우선순위 결정에는 위험성, 지속가능성 기준의 영향도 상당부분 있었다. 그러나 대안들 간에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성 이외 기준들의 속성에서 공간적 정밀도를 높이는 추가연구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치수사업 계획이 유역 내 단위사업안들로 조합된 대안들의 평가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점차로 유역단위의 치수계획이 정립됨에 따라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수행되리라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applying of GI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을 통한 GIS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Kim, Cha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09-312
    • /
    • 2006
  • In order to highly applying for the GIS. it is necessary to the SDSS that is possible to the systematic spatial analysis with spatial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I studied it for SDSS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and I brought up the phase of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through the case study.

  • PDF

A comparison of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for the drought indices over South Korea (한반도 가뭄 지수에 대한 공간 보간 기법 비교)

  • Kim, Yong-Tak;Do, Ki-Bong;Lee, Jong-Hwa;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52-252
    • /
    • 2016
  • 수자원에 대한 효율적 활용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한반도 수리적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모의하고 이를 활용한 의사결정이 요구되고 있다. 한반도는 지리적 특성상 약 70%가 산학 구조로 되어 있어서 지형적 기상 현상이 복잡하여 가뭄지수의 공간 보간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지형적 특성-거리, 고도, 해양에서의 거리, 지향면 등을 고려할 수 있는 PRISM 기법을 기존의 공간 보간 기법과 비교 분석하여 한반도 전역의 가뭄 특성에 적합한 공간 보간 기법을 검출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강우 관측소중 40년 이상의 연한을 가지고 있는 60개 지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방법 간의 비교는 지점을 선정하여 추정된 오차를 기초로 하여 판단하였다. 분석결과 PRISM 기법이 복잡한 지형적 특성을 가진 지역에서 더 적합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미개측 지역의 가뭄지수 분석을 시행하여 관측소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적합한 가뭄 특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수자원 활용을 위한 적절한 의사결정 지표를 선정하고자한다.

  • PDF

Modeling Urban Growth Based on Allometry and Raster GIS (상대생장과 래스터 GIS를 이용한 도시성장모델)

  • 정재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36-439
    • /
    • 2003
  • Urbanization is worldwide phenomenon and unexceptional in Korea. It is necessary in the spatial decision making steps to predict urban forms for the efficient land u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urban growth model based on allometry which deals with relationships between urban populations and urban area. For the input data and accuracy assessments, various GIS techniques are used. Although this research is an exemplary urban growth model dealing with physical data only, it can be a good start to develop a more practical model having socio-economic sides for planning practices.

  • PDF

Priority Decision of Small Hydropower Development using Spatial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공간 다기준의사결정을 활용한 소수력 개발의 우선순위 결정)

  • Kim, Gil-Ho;Yi, Choong-Sung;Yeo, Gyu-Dong;Shim, Myung-P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12
    • /
    • pp.1029-1038
    • /
    • 2009
  • Recently, it is expected that small hydropower (SHP) could potentially provide sufficient amounts of alternative energy in Korea where there is an abundance of potential sites and where social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the emissions of green house gases. In the past, the resources survey for SHP development has been carried out using onsite surveys and paper maps, which incurred a great deal of time and cost. Furthermore, the tools for decision making such as determining development priorities or evaluating feasibility have been considered only economic aspect and focused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power generation. However, as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being advanced in recent years, especially focused on human-social,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in addition to economical sector; the consideration of these multiple criteria has become essential for sustainable SHP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spatial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 methodology for determining priorities among a number of locations on the planning stage of SHP development using AHP and GIS. The proposed methodology is applied for determining development priorities among the SHP locations in Cho River basin and this study presents the detailed spatial information data and the results of development priorities. As a fundamental work, this study will be beneficial to the future activation of SHP development and will help the decision making in evaluating the feasibility of SHP development.

Materialized View Selection using Decision Tree in Data Warehouse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의사결정 트리를 이용한 실체화 뷰 선택 기법)

  • Jang Youn-Kyung;You Byeong-Seob;Eo Sang-Hun;Kim Gyung-Bae;Bae H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63-66
    • /
    • 2006
  • 실체화 뷰 선택은 질의 수행 시간과 제한된 저장 공간 등의 유지 비용을 고려하여 최적의 실체화 뷰 집합을 선택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의사결정 트리를 이용한 실체화 뷰 선택기법을 제안한다. 제안기법은 의사결정 트리를 이용하여 실체화 뷰로 생성될 질의를 판단하고 실체화 뷰 교체가 필요한 경우 메타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교체 대상을 결정한다. 의사결정 트리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속성으로부터 차례대로 데이터를 분류하기 때문에 이용도가 높은 실체화 뷰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메타데이터 테이블은 실체화 뷰 집합의 빠른 교체 수행과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제공한다.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된 기법은 실체화 뷰 비율에 따른 질의처리 시간이 기존기법보다 약 13%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Decision support system on selection of classification method for remote sensing imagery (위성 영상 분류 기법 선정을 위한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

  • 황보주원;유기윤;김용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41-34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사례기반추론(case-based reasoning)을 기본으로 하여 실무자의 분류 기법 또는 분류 구조 결정을 돕는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한다. 주요한 네 가지 고려 항목은 자료종류(dataset), 위치(location), 기후(climate), 그리고 분류항목(class)이며 사용자는 이들 네 항목에 대해 적합한 값을 선택하게 된다. 본 시스템은 색인화(indexing) 규칙에 따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례들을 추출하여 제시하며 사용자는 그 중 가장 높은 일치도를 보인 사례들을 참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계구조를 통해 다양한 분류 조건을 스크린 상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에 내재된 논리를 분류 구조의 설계에 반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Statistics 기능을 통해 여러 사례의 항목당 분포를 사용자가 검토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장 적합한 사례를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과의 피드백을 통해 찾아낼 수 있게 해준다. 이밖에 분류 조건을 변화 시켜가면서 상황의 변화를 참고할 수 있도록 Navigation 기능을 고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