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의사결정

Search Result 71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ontext Aware based Ontology inference system using mu1ti-criteria decision (다 기준 의사결정을 이용한 상황인지 기반 Ontology추론시스템)

  • Lee, J.G.;Joo, Y.J.;Park, S.H.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65-67
    • /
    • 2010
  • 위치기반서비스(LBS)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다양한 정보제공 서비스를 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단순한 정보제공이 아닌 사용자의 상황인식(Context-Aware)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연구들은 사용자의 기본정보와 선호도정보를 이용한 단일기준 추론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의 다양한 기준의 의사결정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정보, 선호도, 공간지리선호도 정보 Ontology를 구축하고, 의사 결정 기준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Cost Value Ontology를 구축하여, 다 기준 의사추론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절한 추천 결과가 도출되는 Ontology 추론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들의 개인적인 특성 지식과 공간지리 선호도 지식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구축된 지식 기반 하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추론을 통하여 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 Ontology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추론을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상황에 적합한 결과를 도출함을 보였다.

  • PDF

Knowledge Based New POI Recommendation Method in LBS Using Geo-Ontology and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 Joo, Yong-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1
    • /
    • pp.13-20
    • /
    • 2011
  • LBS services is a user-centric loca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where its importance has been discussed as an essential engine in an Ubiquitous Age. We aimed to develop an ontology reasoning system that enables users to derive recommended results suitable through selection standard reasoning according to various users' preferenc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designed the Geo-ontology system which enabled the construction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users, knowledge on personal preference and knowledge on spatial and geographical preference. We also integrated a function of reasoning relevant informati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Cost Value ontology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by giving weight according to users' preference.

Comparisons Between Computer-mediated and Face-to-face Communications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Judgment (가상공간과 면대면 조건간 의사결정과 성격평가의 비교)

  • 조운정;정태연;한승숙;조민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99-104
    • /
    • 2002
  • 본 연구는 의사결정과 성격평가에 있어서 컴퓨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CMC) 조건과 면대면 조건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4∼5명으로 구성된 17개 집단 각각은 CMC 조건에서 기여입학제, 면대면 조건에서 학부제에 대해 30분씩 찬반토론을 하였다. 참가자들은 토론 전 및 진행동안 매 8분씩 총4회에 걸쳐 개인 의사결정을 평가하였고, 토론 마지막 부분에서 집단의사결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두 조건 모두에서 집단의사결정의 극단화 현상이 나타났다. 면대면 조건에서는 집단토론이 이미 초기단계에서 개인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쳐 더 극단적으로 변화시켰지만, CMC 조건에서는 집단토론이 개인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각 조건에서 토론 후 자신과 타인에 대한 성격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두 조건 모두에서 자신에 대한 평가는 유사했으나, 다른 사람에 대한 평가는 면대면 조건보다 CMC 조건에서 더 부정적이었다. 또한, CMC 조건보다는 면대면 조건에서 나에 대한 자기평가와 타인에 의한 평가간의 일치도가 외향성과 지적인 측면의 교양 차원에서 더 컸다.

  • PDF

A Study of the Decision Making in Store Location for Chain Operation System - Focused on Discount Store - (체인오퍼레이션을 위한 점포입지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Kim, Yoo Oh
    •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
    • v.2 no.2
    • /
    • pp.33-6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소매업 변동에 관한 제 이론 검토와 입지 이론에서는 수요이론과 공급 이론에 대하여 두 이론이 부분적 적정성을 갖는 한편 양 이론이 동시적 고찰하지 못함에 따라 소매업태 입지 관련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체인오퍼레이션의 의사결정 프로세스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체인 입지와 관련 문제점으로 공간 경쟁 효과와 시스템에 대한 매력효과를 검토하여 장단점을 복합적으로 반영하여 신규 출점 입지 의사결정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기존 선진 소매기업의 의사결정 기법을 통하여 국내 기업의 입지 의사결정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 실증 연구로서는 포화기 단계에 들어선 한국 할인점 시장(인천지역 T사의 기 출점)을 대상으로 의사결정단계의 일반 기준과 세부 기준을 제시를 통하여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 분석 방법으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 PDF

A Design and Practical Use of Spatial Data Warehouse for Spatiall Decision Making (공간적 의사결정을 위한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설계 및 활용)

  • Park Ji-Man;Hwang Chul-su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3 no.3 s.34
    • /
    • pp.239-252
    • /
    • 2005
  • The major reason that spatial data warehousing has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business GIS in recent years is due to the wide availability of huge amount of spatial data and the imminent need for fuming such data into useful geographic inform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pilot tested system for spatial decision making. The purpose of the system is to predict targeted marketing area by discriminating the customers by using both transaction quantity and the number of customer using credit card in department store. Moreover, the pilot tested system of this research provides OLAP tools for interactive analysis of multidimensional data of geographically various granularities, which facilitate effective spatial data mining. focused on the analysis methodology, the case study is aiming to use GIS and clustering for knowledge discovery.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in the use of snowflake schema model capabilities for GIS framework.

  • PDF

Generating Alternative Sewers Based on GIS and Simulation Technique (GIS 및 Simulation 기법에 의한 하수도관거 대안 생성)

  • 김형복;김경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5 no.2
    • /
    • pp.185-194
    • /
    • 1997
  •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SDffi), a new class of decision support system(DSS), result from the melding together of GIS and DSS, Planning support systems(PS5) add more advanced spatial analysis functions than GIS and intertemporal functions to the functions of SDSS. This paper reports the development of a planning support system providing a framework that facilitates urban planners and civil engineers in conducting coherent deliberations about the generation of satisficing sewers. 1he planning support system for the generation of satisficing sewers(PS5/GSS) was designed from the understanding that land use and development drive the demand for storm and sanitary sewers. Through four stages of supply, demand, alternative generation, and evaluation, PSS/GSS integrates basic planning, preliminary design, and engineering design of sewer. GIS and graphic user interface are excellent toolboxes for designing sewer networks, estimating the quantity of wastewater, and showing generated alternative sewers. A sewer model using simulation tedmique can generate an initial sewer. Users can define alternative sewers by the direct manipulation of sewer networks or by the manipulation of parameters in the sewer model. The sewer model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user defined alternatives.

  • PDF

Spatial Aggregations for Spatial Analysis in a Spatial Data Warehouse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공간 분석을 위한 공간 집계연산)

  • You, Byeong-Seob;Kim, Gyoung-Bae;Lee, Soon-Jo;Bae, Hae-You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9 no.3
    • /
    • pp.1-16
    • /
    • 2007
  • A spatial data warehouse is a system to support decision making using a spatial data cube. A spatial data cube is composed of a dimension table and a fact table. For decision support using this spatial data cube, the concept hierarchy of spatial dimension and the summarized information of spatial fact should be provid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however, spatial summarized information is deficient. In this paper, the spatial aggregation for spatial summarized information in a spatial data warehouse is proposed. The proposed spatial aggregation is separated of both the numerical aggregation and the object aggregation. The numerical aggregation is the operation to return a numerical data as a result of spatial analysis and the object aggregation returns the result represented to object. We provide the extended struct of spatial data for spatial aggregation and so our proposed method is efficient.

  • PDF

To collect the data of deduction of distance Estimating Position of Mobiles b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System (거리추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간적 의사결정을 이용한 이동물체 위치 인식 시스템)

  • Jang, Hae-Suk;Jung, Kyu-Cheol;Lee, Jin-Kwan;Park, Ki-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215-1218
    • /
    • 2005
  • 이동물체의 인식기능은 인간을 대신하여 수행하기위한 컴퓨터비젼 시스템이다.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SDSS: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을 이용한 이동물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시스템은 실세계의 복잡하고 다양한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대안들을 도출시키고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평가받는 연구가 될것이다.본 연구에서는 거리 추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간적 의사결정을 이용하여 이동 물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Rule-based Fire Response Decision Support Method using Spatial Information and Fire Safety Information (공간정보 및 화재안전정보를 이용한 규칙 기반 화재 대응 의사결정 지원 방법)

  • Lee, Hyesun;Hong, Sang Gi;Lee, Kang B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634-636
    • /
    • 2020
  • 대형 및 복합 화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화재 현장에 대한 다양한 컨텍스트를 고려하여 표준작전절차 및 매뉴얼을 기반으로 최적의 대응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 이러한 의사결정을 긴급한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화재 상황 및 관련 대응규칙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대응절차를 선제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공간정보 및 화재안전정보를 이용하여 규칙 기반으로 화재 대응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소방대상물의 실내외 공간정보 및 다양한 화재안전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상황의 가변성을 모델링하고 이를 참조하여 화재 대응규칙 명세를 개발한다. 그리고 의사결정 시 주어진 상황에 맞게 가변성을 선택하고 룰 엔진을 통해 대응규칙을 실행하여 대응절차를 도출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의 대상물별 표준작전절차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The Extended Cube Tree for Distribution Area Query Processing in Spatial Data Warehouses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분포 지역 질의 처리를 위한 확장된 큐브 트리 기법)

  • 최준호;유병섭;박순영;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76-78
    • /
    • 2004
  • 최근 원격 탐사 시스템 등이 발전함에 따라 축적된 공간 데이터의 양이 증가했고 이를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분야에서 의사 결정에 활용하는 방안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기존의 활용 방법은 주어진 영역을 기준으로 공간 범위-집계를 검색하는 형태였지만, 최근 특정 성향 분석을 위해 분포 질의를 요청하고 그 결과 지역에 대한 공간 분석을 통한 의사결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처리 방법으로 비공간 질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모든 데이터를 검색해야 하므로 분포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분포 지역 질의 처리를 위한 확장된 큐브 트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분석하고자 하는 사실 테이블의 비공간 속성을 큐브 트리의 키로 사용하고, 이 속성과 관련된 공간 데이터의 포인터 집합을 관리한다. 본 논문의 제안 기법을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적용함으로써 비공간 속성 질의를 통해 공간 객체를 결과로 요청하는 형태의 질의를 지원할 수 있게 되며 사실 컬럼을 계층화시킴으로서 사용자에게 좀 더 다각적인 분석을 지원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