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스타일

Search Result 182,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Lifestyels, community experiences, and immersion in online game world (온라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공동체 활동과 게임 몰입에 대한 탐색)

  • Whang, Leo Sang-Min;Kim, Jee-Y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770-779
    • /
    • 2006
  • 한국 사회에서 사이버 공간, 특히 온라인 게임 세계가 사용자들에게 단순한 게임이나 가상 공간이 아닌 다양한 활동을 통해 현실과는 다른 방식의 또 다른 인생을 살아가는 새로운 생활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게임 공간에서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확인하고, 리니지 2 와 메이플스 토리라는 두 가지 MMORPG 게임에서 이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온라인 게임 '리니지'에서 구분된 온라인 라이프스타일은 '싱글 플레이어', '공동체지향 게이머', '탈사회적 게이머'였다.'리니지 2'를 대상으로 연구 결과, 온라인 게임 공간에서의 공동체 활동은 크게 공동목표, 집단유대감, 집단존중감, 집단영향력의 요인들로 구성되어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온라인게임 사용자들은 온라인 게임에서 현실감, 조작용이성, 성취감, 친밀감, 소속감, 일탈적 행위를 통한 카타르시스를 통해 재미를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런 성향은 메이플스토리라는 저 연령층의 게임에서는 비교적 다르게 나타났다. 혈맹 또는 길드의 가입 비율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활동방식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게임세계에서의 라이프스타일은 연령이나 게임 사용기간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동체 활동과 온라인 게임에서 얻는 재미의 하위 요인들에서는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동체 활동과 재미를 느끼는 측면에서의 차이로 인해 결국 온라인 게임에 몰입하는 정도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사람들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 특히 온라인 게임에서의 사람들의 공동체 활동과 재미의 요소들을 탐색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사람들이 온라인 게임 세계에 몰입하도록 만드는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는 측면에서 향후 사이버 공간을 기획하는 사람들에게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Brand Experience of Complex Cultural Space by Life Style -Focusing on Sounds Hannam-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경험 연구 -사운즈 한남을 중심으로-)

  • Jung, Da-in;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3
    • /
    • pp.333-339
    • /
    • 2020
  • The lifestyle of the new consumer class of people with diversified social structures and tastes is affecting society as a whole. As of now, emerging lots of complex cultural space with unique sensibility and individuality, this paper is about proposing the branding of a complex cultural space. I selected Sounds Hannam as a cultural complex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bout brand experience and Ethnography. The study found that Sounds Hannam needs sense of hearing and smell because the sensory factors of the Sounds Hannam are concentrated in the visual field, and also, there is a need to create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channel through SNS. The Sounds Hannam had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sensibility, relaxation and content based on a diversit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Throughout research, it was derived that planning space as a place to inspire people through spatial composition that triggers behavior and creative thinking is the goal of a complex cultural space and at the same time, an effective way to reflect the lifestyle of those in 20s.

Motion Style Transfer using Variational Autoencoder (변형 자동 인코더를 활용한 모션 스타일 이전)

  • Ahn, Jewon;Kwon, Taesoo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7 no.5
    • /
    • pp.33-43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amework that transfers the information of style motions to content motions based on a variational autoencoder network combined with a style encoding in the latent space. Because we transfer a style to a content motion that is sampled from a variational autoencoder, we can increase the diversity of existing motion data. In addition, we can improve the unnatural motions caused by decoding a new latent variable from style transfer. That improvement was achieved by additionally using the velocity information of motions when generating next frames.

Hairstyle Recognition Method for Realistic Video Conference System (실감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헤어스타일 탐색 방법)

  • Hur, Jai-Young;Zhang, Xingjie;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5-238
    • /
    • 2021
  •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활동이 늘어나고 있다. 비대면 회의, 비대면 강의, 비대면 과제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에 따라 가상공간을 활용한 활동 또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가상공간에서 인물들 사이 원활한 소통 및 현실감을 위해서는 실사적인 인물묘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실제 인물의 헤어스타일과 유사한 헤어스타일을 자연스럽게 증강시켜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사적인 아바타 생성을 위한 헤어스타일의 분류 및 탐색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와 K-means clustering 을 통해 헤어스타일에 대한 군집화를 진행한다. 그리고 Shape Indexed features를 이용하여 군집화 된 결과로부터 제일 유사한 헤어스타일 탐색방법을 제안하고 그 효용을 입증하였다.

  • PDF

Interactive Hair Styling Interface (인터랙티브 헤어 스타일링 인터페이스)

  • Cho, Jung-Hyun;Ko, Hyeong-Seo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455-458
    • /
    • 2009
  • The statistical wisp model for hairstyle generation was introduced in [1]. It provided a program to load human models, set parameters, generate wisps and strands, and make constraints. However, the program used hard-coded human models and prescribed constraints so that it was hard to change different models and manipulate constraints. Hence we provide a simple interface by drawing maps and constraints. Also, we can increase the speed of computation by using GPU acceleration.

  • PDF

A Study on the smart home space design based on lifestyle of one person household (1인 가구 라이프스타일 기반 스마트홈 공간디자인 연구)

  • Jeon, jin-bae;An, se-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61-262
    • /
    • 2018
  • 현대사회의 1인 가구는 전 연령대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홈서비스를 1인 가구가 효과적으로 제공받기 적합한 공간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현황 조사와 1인 가구 라이프스타일 분석과 원룸형 주택의 구조 및 유형 분석, 국내 스마트홈서비스 선호도 조사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여 스마트홈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는 공간디자인 방향을 계획하였다.

  • PDF

인테리어 스타일리스트 박래경 씨의 감각적인 집

  • Gwon, Hui-Ran
    • 주택과사람들
    • /
    • s.201
    • /
    • pp.88-91
    • /
    • 2007
  • 집을 꾸미는 데 둘째가라면 스타일리스트 박래경 씨의 분당 전원 주택은, 소탈하면서도 내추럴한 느낌이 강한 곳이다. 화려하게 꾸미지 않아도 멋스러움이 묻어나는 그녀의 집은 화이트와 브라운의 두 가지 컬러를 적절하게 배합해 꾸며진 심플하면서도 세련된 공간이다.

  • PDF

Smart Portable Styler with Provides Environmental Information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포터블 스타일러)

  • Choi, Duck-Kyu;Moon, Hong-Bae;Kim, Do-Hyeong;Jeon, Sang-Hwaw;Kim, Tae-Hoon;Lee, Su-Min;Yang, Yeon-Ji;Kim, Hyeon-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443-44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스타일러는 옷을 빨거나 다리지 않고도 마치 새옷처럼 다시 입을 수 있도록 관리해준다는 콘셉트로 등장한 의류기기이다. 출시 당시에는 생소하고 크기가 커서 큰 호응을 얻지 못했지만, 최근에는 작고 편리한 신제품을 내놓으면서 대중화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양복을 주로 입는 회사원에서 싱글족까지 스타일러를 사용하고 있지만 대중적인 스타일러는 정해진 위치에서만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출장이 잦은 직업이나 먼지가 많은 공간에서 일하는 직업의 경우 옷에 주름이나 먼지를 제거하지 못해 구겨진 옷을 입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우리는 가정용 스타일러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스마트 스타일러를 제작하기로 하였다.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의 중요한 자리가 있을 때 휴대용 스타일러가 있다면 준비해둔 의류를 상황에 맞춰 관리하여 다닐 수 있을 것이며, 스타일러에 온도와 습도를 보여주는 기능이 있다면 스타일러를 사용하기 전에 스타일러의 상태가 양호한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Intuitive Change of Virtual Wand Style in Spatial Sketch System (가상 완드 스타일의 직관적인 변형을 지원하는 공간 스케치 시스템)

  • Nam, Sang-Hun;Chai, Young-H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56-61
    • /
    • 2009
  • According to the target object for designer to sketch, an effective style or shape of input device can be defined differently. The general spatial sketching system that support various types of wand assist sketching effectively as changing suitable wand shape to the part of a target object. We suggest the idea of changing wand style by altering the posture of a 3D wand. This allows a designer to work in an intuitive way without being interrupted by complicated menus. We implement the various wand styles to the spatial sketching system with cubic-based drawing techniqu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