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사용분석

Search Result 4,55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erformance of conditional merging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 combining AMSR2 soil moisture and In-situ soil moisture data (조건부 합성기법을 이용한 AMSR2 토양수분과 지상관측 토양수분의 공간보간 성능 평가)

  • Lee, Jaehyeon;Choi, Minha;Kim, Do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1-141
    • /
    • 2016
  • 미계측 지역에서의 토양수분을 예측하기 위하여 조건부합성방법을 한반도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토양수분 자료는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는 지상관측 자료와 GCOM-W1 위성의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2 (AMSR2) 센서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위성관측 토양수분자료의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지상관측자료에 정규화 하였고, 정규화된 위성관측 자료와 지상관측자료를 조건부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조건부 합성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leave-one-out 교차검증 방법을 사용하였고, 분석 결과 지상관측자료에 위성자료를 합성한 조건부합성방법이 지상관측자료만을 사용한 크리깅 방법에 비해 우세하게 나타났다. 또한 각 관측지점에서의 조건부합성 방법을 이용한 토양수분 예측 성능을 공간분포 시켜 지역적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 관측소의 밀도와 지형적인 특성이 조건부합성방법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원격탐사기법으로 관측된 토양수분 자료의 공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지상 관측 자료와 합성하는 것이 토양수분 공간보간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WebGIS for Integration of GIS Spatial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GIS 공간분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통합을 위한 WebGIS 구현)

  • Choi, Hyo-Seok;Yom,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2 no.2
    • /
    • pp.95-107
    • /
    • 2014
  • In general, topographical phenomena are represented graphically by data in the spatial domain, while attributes of the non-spatial domain are expressed by alpha-numeric texts. GIS functions for analysis of attributes in the non-spatial domain remain quite simple, such as search methods and simple statistical analysis. Recently, graph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of social phenomena are commonly used for understanding various social events and phenomena.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network analysis functions to the non-spatial domain data of GIS to enhance the overall spatial analysis. For this purpose, a novel design was presented to integrate the spatial database and the graph database, and this design was then implemented into a WebGIS system for better decision makings. The developed WebGIS with underlying synchronized databases, was tested in a simulated application about the selection of water supply households during an epidemic of the foot-and-mouse disease. The results of this test indicate that the developed WebGIS can contribute to improved decisions by taking into account the social proximity factors as well as geospatial factors.

A Study on Spatial Patterns of Traffic Accidents using GIS and Spatial Data Mining Methods: A Case Study of Kangnam-gu, Seoul (GIS와 공간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교통사고의 공간적 패턴 분석 - 서울시 강남구를 사례로 -)

  • 이건학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3
    • /
    • pp.457-47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patterns of traffic accidents and to investigate spatial relations among neighboring spatial objects by applying GIS and spatial data mining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raffic accident data in Kangnam-gu, Seoul, as a case study. As a result, four clusters were emerged based on individual attributes of traffic accidents. Each cluster showed distinctive properties. In spatial associations between individual attributes of traffic accidents and neighboring spatial objects, there were many rules according to concept hierarchy and definition of spatial relations. Although all rules were not be interesting and significant, they could be a clue to investigate more.

Analysis on performance of JCCR according to color format (색차 채널 공간해상도에 따른 JCCR 성능 분석)

  • Lee, Jeehwan;Park, Jeeyoon;Jeon, By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95-196
    • /
    • 2022
  • 최근 미디어 기술 발전에 따라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4:2:0 영상 이외에도 4:2:2, 4:4:4 영상들 또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VVC 압축 표준에서 새롭게 채택된 JCCR(Joint Coding of Chroma Residuals) 기술의 사용 빈도를 3 개의 색차 채널 공간해상도 영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색차 채널 공간해상도에 따라 JCCR 기술의 사용 빈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f rainfall spatial variability effect on peak flow variability using a data generation method (자료생성방법을 사용한 강우의 공간분포가 첨두유량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Kim, Nam Won;Shin, Mun J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6
    • /
    • pp.359-371
    • /
    • 2017
  • This study generated flood time series of ungauged catchments in the Andongdam catchment using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and data generation method, and extracted the peak flows of 50 catch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ainfall spatial variability on peak flow simulation. The model performance statistics for three gauged catchments were reasonable for all events. The flood time series of the 50 catchments were generated using distributed and mean rainfall time series as input. The distribution of the peak flow using the mean rainfall was similar or slightly different to that using the distributed rainfall when the distribution of the distributed rainfall was nearly uniform. However, the distribution of the peak flow using the mean rainfall was reduc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using the distributed rainfall when actual storms moved to the top or bottom of the study catchment, or the rainfall was randomly distributed. These cases were 35% of total number events. Therefore, the spatial variability of rainfall should be considered for flood simulation. In addition, the power law relationship estimated using the peak flow of gauged catchments cannot be used for estimating the peak flow of ungauged independent catchments due to latter's significant variation of the peak flow magnitude.

gCRM and Spatial Data Mining (gCRM과 공간데이타마이닝)

  • Hwang, Jung-Rae;Li, Ki-Joun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38-44
    • /
    • 2002
  • 고객관계관리(CRM)나 마케팅과 같은 경영방식에서도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지리정보시스템(GIS)과 같은 응용분야를 접목하고 있다. gCRM은 지리정보시스템과 고객관계관리를 결합한 것으로, 이러한 실정을 단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경영방식이다. gCRM은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심 있는 분야를 찾아내고 분석하게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데이터마이닝이라는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gCRM은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공간 데이터베이스 역시 많이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공간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심 있는 부분이나 관계 그리고 특성 등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공간데이타마이닝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gCRM 솔루션들의 기능을 중심으로 다양한 공간데이타마이닝 기법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gCRM과 공간데이타마이닝이 접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 PDF

Timing Constrained Spatial Query Processing for Real-time Spatial Database System (실시간 공간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의 시간제약조건을 갖는 공간질의 처리)

  • 임정옥;조숙경;김경배;이순조;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278-280
    • /
    • 1999
  • 실시간 GIS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기존의 GIS 시스템과는 달리 동적인 공간데이터가 신뢰성을 위해 일정한 시간 내에 갱신되어야 유효성을 유지하며, 사용자가 요청하는 질의는 일정 시간 내에 처리되어야 하는 시간제약조건을 갖는다. 이러한 GIS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실시간 공간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고려되지 않은 동적 실시간 공간데이터와 실시간 공간질의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며 질의 처리 시 실시간 데이터와 실시간트랜잭션의 시간제약조건의 만족을 초대화하기 위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공간질의 처리 시 예측성을 최대화 하기 위해 질의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데이터를 주기억상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고, 실시간 공간데이터의 관리를 위하여 공간질의어를 확장하였다. 또한 실시간 공간질의 처리 시에 실시간 데이터와 실시간트랜잭션의 시간제약조건을 최대한 만족시키기 위해 공간질의 분석과 연산 순서의 재배치 기법을 사용하였다.

  • PDF

안전한 승하선을 위한 선착장 승강 환경 연구 - 부산시 유선장을 중심으로-

  • 김경준;안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90-29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승선환경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승선 및 유람선 터미널의 공간 및 시설과 관련된 법적 문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상대중교통의 탑승과 관련된 법령과 규정에 비해 시설별 세부규정이 미흡하고, 유람선터미널 역시 탑승객 수용능력별 시설기준이 요구된다. 2) 터미널의 대기공간과 승강장은 법에 따라 기본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곳으로 탑승능력을 수용할 수 있는 좁은 공간이다. 3) 현측 접안과 선수측 접안을 유람선 선착장의 승강 공간과 사용 시설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사용해야한다.

  • PDF

Study of Aggregate Function for Spatiotemporal (시공간지원 집계 함수 연구)

  • Chung, Ji-Moon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73-280
    • /
    • 2005
  • 시공간 데이터베이스는 실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형의 객체에 대한 공간 관리와 이력정보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공간 데이터에 대한 저장 및 질의 수단을 제공한다. 질의 연산중 집계 연산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계산을 수행한 결과 값을 반환하는 연산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의 분석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집계에 대한 연구는 시간 또는 공간에만 편중되어 시간과 공간 제약을 모두 가진 실세계의 응용에 직접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실세계 응용들의 분석을 위한 시공간 집계함수를 제안하고, 실제 응용에서의 분석을 위한 질의 예를 보인다. 제안된 시공간 집계함수에 의해 사용자는 응용시스템에 따른 시공간 데이터 분석을 위해 간략하고 편리한 질의 할 수 있다.

  • PDF

Efficient Capturing of Spatial Data in Geographic Database System (지리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공간 데이타 수집)

  • Kim, Jong-Hun;Kim, Jae-Hong;Bae, Hae-Yeo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1 no.3
    • /
    • pp.279-289
    • /
    • 1994
  • A Geographic Database System is a database system which supports map-formed output and allows users to store, retrieve, manage and analyze spatial and aspatial data. Because of large data amount, takes too much time to input spatial data into a Geographic Database System and too much storage. Therefore, an efficient spatial data collecting system is highly required for a Geographic Database System to reduce the input processing time and to use the storage efficiently. In this paper, we analyze conventional vectorizing methods and suggest a different approach. Our approach vectorizes specific geographic data when the users input its aspatial data, instead of vectorizing all the map data. And also, we propose optimized vector data format using tag bit to use the storage that collected data efficien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