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비교

검색결과 7,723건 처리시간 0.042초

어린이집 보육공간환경의 가이드라인 비교 분석 연구 - 한국, 미국, 영국의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f Guidelines for Childcare Space Environment at Daycare Centers - Focusing on the Guidelines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 송수빈;임경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09-518
    • /
    • 2022
  • 보육공간환경은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영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한 쾌적한 공간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큰 사회적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외 가이드라인의 보육공간환경을 비교 분석하여, 보육환경의 쾌적함과 지속가능성을 보완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을 비롯하여 영유아의 스케일을 고려한 치수 기준, 온도, 환기, 조명 등의 환경기준, 가구와 마감재의 친환경성 등에 대한 제안이 추가된 통합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도시 열환경개선을 위한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바람길 유동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Wind Flows in Wind Corridor Based on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Improve Urban Thermal Environments)

  • 서보용;정응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5-8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를 사례로 도시내에서의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국지적 바람유동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3단계로 이루어졌는데, 1단계에서는 지역풍향(종관풍)과 국지적 바람유동간의 기상학적 관계를 비교하였다. 2단계에서는 도심지역과 교외지역으로 구분하여 국지적 바람유동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3단계에서는 KLAM_21을 활용하여 국지적 바람유동과 도시공간전체의 바람길 형성 및 유동과의 공간적 관계에 대하여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대표풍향(종관풍)과 국지적 바람유동 사이에는 기상학적으로 상관성이 낮았다. 둘째, 도심지역 5개와 교외지역 2개 측정지점에서의 국지적 바람유동에 대한 관측결과에서는 지점별로 다양한 풍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측정지점 인근에서의 공간지형적 특성이 국지적 바람유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KLAM_21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AWS 측정자료와 비교 검증한 결과 수치모델링분석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한 도시의 국지적 바람유동은 도시열섬현상의 개선을 위한 공간적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가 될것으로 판단된다. 즉, 도시계획 수립시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국지적 바람유동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도시열섬발생지역과 공간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계획적 기법을 적용한다면 도시열섬 현상을 효과적이며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누진렌즈 디자인에 따른 원거리 대비감도 비교분석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Distance Contrast Sensitivities According to Progressive Lens Design)

  • 신동민;김수현;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1-246
    • /
    • 2013
  • 목적: 본 연구에서는 프리폼 누진렌즈와 일반 누진렌즈를 착용 하였을 때 원거리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원거리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5단계의 공간 주파수를 갖는 F.A.C.T.(Stereo Optical, USA)를 이용하였다. 우안, 좌안, 양안 순서로 프리폼 누진렌즈와 일반누진렌즈 대비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우안/좌안/양안 대비감도 검사 값이 A(1.5 cpd) 공간주파수에서는 일반 누진렌즈에 비교하여 프리폼 누진렌즈가 16%/17%/11%, B(3 cpd) 공간주파수에서는 11%/5%/5%, C(6 cpd) 공간주파수에서는 6%/6%/9%, D(12 cpd) 공간주파수에서는 19%/16%/13%, E(18 cpd) 공간주파수에서는 4%/3%/18% 높았다. 결론: 원거리 대비감도의 모든 공간주파수 영역에서 프리폼 누진렌즈가 일반 누진렌즈보다 측정값이 높게 측정되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상 위성영상 기반 기후 자료 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limate Data Management System Based on Satellite Imagery for Asia-Pacific Regions)

  • 박지훈;박경원;정임국;조원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2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대상으로 위성영상 기반 고해상도의 신뢰성이 있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강수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후 관리 시스템은 총 3가지의 위성자료(원시위성자료, 편의보정한 위성자료, 공간상세화한 위성자료)를 제공한다. 위성자료의 공간해상도는 $0.1^{\circ}$, $0.05^{\circ}$이며, 시간해상도는 1 day이다. 비교적 신뢰성이 높은 기후 자료가 구축된 한반도를 대상으로 위성영상 편의보정, 공간상세화 기법을 검증하고, 개발한 기법을 아시아-태평양에 위치한 바누아투에 적용하여 기후 자료를 생산하였다. 원시위성자료는 TRMM (Tropical Rainfall Measurement Mission) 위성과 GPM (Global Precipitation Mission) 위성을 사용하여 구축하였다. 편의보정은 GRA-IDW (Geographical Ratio Analysis-Inverse Distance Weighted), GRA-Kriging, QM (Quantile Mapping) 기법을 검토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 중 최적의 결과를 보여주는 GRA-IDW 기법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공간상세화는 PRISM (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을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원시위성자료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상관계수는 1998년부터 2017년까지 0.775로 비교적 정확도가 높게 나왔다. bias 값은 원시위성자료 값이 지상관측자료보다 과대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인 편의보정 기법으로 GRA-IDW 기법을 선정하여 편의보정한 위성자료를 생산하였다. 공간상세화한 위성자료를 검증한 결과를 앞서 분석한 원시위성자료, 편의보정한 위성자료와 비교하면, 공간상세화를 수행하기 전보다 상관계수는 다소 작아지고, RMSE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나 그 차이가 크지 않아 공간상세화한 위성자료를 응용분야에 직접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법을 활용하면 아시아-태평양에 신뢰성 있는 기후 관측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선정한 대상지역 이외에 기상관측소의 수가 희박하고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본 과업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적용하여 신뢰성 있는 기후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피부-색상 공간 테이블을 이용한 얼굴 검출 (Face Detection using Skin-tone Color Space Table)

  • 고경철;이양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81-38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실험 영상으로부터 학습된 피부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컬러 공간테이블을 생성한 후. 입력된 영상의 컬러와 공간정보를 학습된 피부색상 공간테이블로부터 비교, 분석하여 얼굴후보영역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추출된 후보영역의 레이블된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지역적 특징을 찾아낸 후 얼굴 특징점의 위치에 따른 형태정보를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피부색상(Skin-tone)공간테이블은 변환하기 쉽고 계산이 빠른 RGB컬러 공간에서 실험, 평가되었으며, 실시간으로 입력된 영상의 정규화된 책상 값을 유사성 정도에 따라 레이블링하여 보다 빠른 얼굴 후보 영역의 검출과 검증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공간 연관규칙을 이용한 도시성장 확률모형의 구현

  • 조성휘;박수홍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0-47
    • /
    • 2003
  • GIS는 공간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좋은 도구가 되며 도시성장 예측과 같은 문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내에 위치한 수원지역을 대상으로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도시성장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도시의 물리적인 확산에 초점을 맞추어 모형의 핵심이 되는 공간 연관규칙을 추출하였다. 공간 연관규칙의 추출을 위해 GIS 공간 분석 기능과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규칙을 기반으로 모형을 작성하여 도시성장을 분석 및 예측하고 UGM(Urban Growth Model)과 비교하였다.

  • PDF

질의 결과 크기 추정을 위한 효과적인 공간 분할 기법 (Effective Spatial Partitioning Technique for Query Result Size Estimation)

  • 김현국;김학자;황환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55-57
    • /
    • 2002
  •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규모는 매우 방대하여 질의 처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위해서는 질의 수행 결과의 예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실제 공간 데이터의 특성을 근접하게 나타내는 요약 데이터를 생성하여 그 결과를 통해 질의 결과의 크기를 추정하게 된다. 기존의 공간 데이터 요약 기법으로는 면적 균등 분할 기법, 개수 균등 분할 기법, 인덱스 분활 기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다양한 분말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힐버트 공간 재움 곡선 방법에 개수 균등 분말 기법을 적용시킨 새로운 공간 분할 방법을 제안하여 기존의 방법과 새로운 방법의 성능을 비교한다.

  • PDF

주메모리 공간 저장 시스템 Xmas-SX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 Main-Memory Spatial Storage System Xmas-SX)

  • 박장호;이상호;차상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311-313
    • /
    • 1999
  • Xmas-SX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이동통신과 같은 새로운 공간 응용 분야의 고성능 데이터베이스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주메모리 공간 저장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Xmas-SX의 성능을, 디스크 기반 객체지향 DBMS와의 비교를 통하여 평가한다. 갱신 연산과 공간 영역 질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 Xmas-SX가 갱신 연산의 경우 최고 수십 배 좋은 성능을 보였다. 공간 영역 질의의 경우에는 약간 좋은 성능을 보였다. 이를 통해 Xmas-SX가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갱신 연산이 빈번한 응용분야에 적용가능함을 보였다.

  • PDF

블로그 공간의 내부 구조 분석 (Analyzing the Inner Structure of the Blogosphere)

  • 하지운;배덕호;김상욱;백석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82-883
    • /
    • 2010
  • 최근, 블로그 이용자의 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블로그 공간에 대한 분석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로그 공간의 보우타이 구조 분석을 통해 블로그 공간의 내부 구조의 특성을 파악한다. 더 나아가, 웹 공간과의 비교를 통해 블로그 공간만의 고유의 특성을 도출한다.

한국의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공간 능력의 차이에 관한 연구 (Assessi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Spatial Ability: Comparison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박성선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371-386
    • /
    • 2012
  • 본 연구는 공간능력이 영재학생들을 판별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전제하에 한국의 중학교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의 공간능력을 비교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중학생들에게 '퍼듀 공간 시각화 검사: 회전의 시각화(Revised PSVT:R)'를 실시하였다. Revised PSVT:R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영재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공간 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학생들은 일반학생들보다 공간능력에 있어서 훨씬 우수하였다. 공간 능력에 대한 검사 결과를 확장하여 공간능력과 수학, 과학, 언어 분야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공간능력은 수학, 과학, 언어분야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공간능력이 우수한 학생과 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영재학생은 같은 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간능력은 영재학생을 판별하는 중요한 검사도구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