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보간법

Search Result 16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for Estimating Missing Precipitation Data in Not Covered Area by Climate Change Scenario (기후변화시나리오 데이터 누락지역의 강수자료 보완을 위한 최적 공간보간기법 선정)

  • Jang, Dong Woo;Park, Hyo Seon;Choi, Jin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4-14
    • /
    • 2015
  • 공간보간기법은 미계측지역의 강수예측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RCP 8.5 시나리오에 의한 남한상세 강수자료 중 지형이 복잡한 도서지역에서 제공되지 않는 데이터 누락격자에 대하여 최적의 공간보간기법을 선정하여 강수자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적합한 보간기법을 선정하기 위해 데이터 누락지역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고, 최신 행정구역도에 맞추어 $1km{\times}1km$ 격자를 한반도 전체지역에 맞추어 생성된 격자를 사용하였다. ESRI사의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간보간기법을 적용하였다. 사용된 보간법은 역거리가중치법(IDW), 정규크리깅(Ordinary Kriging), 보편크리깅(Universal Kriging), 스플라인(Spline)이며 가장 적합한 공간보간기법을 선정하기 위해 기후변화시나리오에 의한 데이터 중 해안선 주변 특정격자에서의 값을 누락시켜 공간보간기법을 통해 생성된 값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값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공간보간기법의 적합도 평가를 위해 MAE(Mean Absolute Error), MSE(Mean Squared Error), PBIAS(Percent of BIAS), G(goodness of prediction) 분석을 수행하였고, 산점도 분석을 통해 실제값과 보간값의 오차율 평가를 병행하여 최적 공간보간기법을 결정하였다. 사용된 강수데이터는 RCP 8.5 시나리오에서 2015~2019년 중 강수가 높게 나타난 8월 자료를 이용하였다. 해안선 지역의 강수량 추정시 역거리 가중치법과 크리깅방법은 일부 지점에서 과다 추정되는 경향이 있고, 스플라인 방법이 전체적인 총 강수량이 기후변화시나리오에 의한 실제값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값과 보간값의 교차검증을 수행한 결과 정규크리깅 기법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실제값과 유사한 범위내의 강수량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f Spatial Interpolation Impact on Watershed Rainfall Considering Elevation Study of Spatial Interpolation Impact on Watershed Rainfall (고도를 고려한 공간보간기법이 유역강우량 산정시 미치는 영향 연구)

  • Cheong, Hyuk;Jung, In-Kyun;Park, Jong-Yoon;Shin, Hyung-Jin;Lee, Ji-Wa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70-270
    • /
    • 2011
  • 본 연구는 유역강우량을 산출을 위한 공간보간기법이 격자형 강우자료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가장 큰 유역인 한강유역(26,018km2)을 선정하였다. 유역강우량 산출에 이용한 강우자료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2000~2010 년까지 11년간 AWS(Automatic Weather Station) 108개소의 관측자료를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강우이벤트로 2004년~2009년까지 재산피해를 입힌 총 11개의 호우, 태풍 사상을 선정하였다. 공간 보간기법으로는 Thiessen법과 IDW(Inverse Distance Weight)법의 2가지 기법을 선정하였다. 대상 지역에 대하여 AWS의 자료를 기반으로 보간을 실시하여 미관측지역에 대한 격자분포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때, 격자분포자료는 국토해양부에서 분류한 19개 중권역을 기준으로 각 권역별 평균 강우량을 산출하였다. 2가지 공간보간기법을 이용한 한강유역전체 강우량 산출 결과 고도를 고려한 공간보간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한강유역의 유역평균강우량은 IDW법은 -1.81~8.1%, Thiessen법은 6.6~9.6%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연도별 편차가 증가하고 있었다.

  • PDF

A Study of Interpolation Methods for the Water Hammer Analysis using the Method of Characteristics (특성선 방법을 이용한 관망 수격현상 해석의 보간방법연구)

  • Jung, Bong Seog;Kim, Chu In;Kim, Sang Hyun;Park, Nam 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2 no.2
    • /
    • pp.363-373
    • /
    • 2000
  • It is necessary to employ the interpolation technique to resolve problems,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 locus in time-distance space, in the unsteady analysis of pipe flow. Various interpolation methods such as linear timeline interpolation, linear spaceline interpolation, wave speed adjustment, cubic spaceline interpolation and cubic timeline interpolation have been suggested and tested to investigate the interpolation error. Performance of various interpolation techniques was evaluated both a single pipeline and a complex one. The range of error was calculated as the courant number varied between 0 and 1 in a single pipeline. Reorganization of computational element and proper selection of interpolation method are found to be prerequisites for the effective computation of unsteady analysis.

  • PDF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Root Mean Square for Parameter Settings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공간보간법의 매개변수 설정에 따른 평균제곱근 비교 및 평가)

  • Lee, Hyu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3
    • /
    • pp.29-41
    • /
    • 2010
  • In this study, the prediction errors of various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used to model values at unmeasured locations was compared and the accuracy of these predictions was evaluated. The root mean square (RMS) was calculated by processing different parameters associated with spatial interpolation by using techniques such as inverse distance weighting, kriging, local polynomial interpolation and radial basis function to known elevation data of the east coastal area under the same condition. As a result, a circular model of simple kriging reached the smallest RMS value. Prediction map using the multiquadric method of a radial basis function was coincident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obtained by constructing a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of the study area through the raster mathematics. In addition, better interpolation results can be obtained by setting the optimal power value provided under the selected condition.

The Analysis of Soil Salinity in Saemangeum Agricultural Land using Spatial Analysis Method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한 새만금 농업용지 토양 염도 분석)

  • KIM, Young-Joo;LEE, Geun-Sa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3
    • /
    • pp.37-50
    • /
    • 2019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oil salinity of Saemangeum agricultural land using GIS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Dominant soils series of experimental sites were Munpo (coarseloamy, mixed, non-acid, mesic, typically fluvaquents), which was based on the fluvio-marine deposit. Soil samples were periodically collected at 0~20cm and 20~40cm layer from each site. First,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C, ESP, and SAR according to spatial interpolation were analyzed using 142 sample points. Through the error analysis of 143 validation points, the IDW method for EC and SAR, and the Kriging interpolation method for ESP were selected as the optimal interpolation method. Using the optimal interpolation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EC, ESP, and SAR were analyzed for the change of soil salinity from 2014 to 2016. As a result, EC, ESP and SAR were decreased by 0.26mg/L, 5.97mg/L and 0.73mg/L respectively due to the dilution effect caused by rainfall.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Various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다양한 공간 보간법의 비교와 평가)

  • Kim, Tae Beom;Kim, Il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7-247
    • /
    • 2018
  • 공학이나 과학에서 다루는 거의 모든 현상이나 물체는 시공간적으로 연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지형이나 지하수위분포가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강수량 분포 또한 지역적인 스케일을 고려할 때 연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성을 지닌 현상이나 물체를 연구 대상으로 취할 경우, 모든 위치에서의 관찰 값이나 계산 값을 얻기란 불가능하므로, 불연속적이거나 이산적인 위치에서 불연속적인 값을 얻게 된다. 이러한 시공간적으로 이산적이고 불연속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자료의 연속성을 가정하게 되며, 따라서 연속성을 가정하고 내삽 처리된 근사값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불연속적인 자료의 내삽 처리 과정이 연구 결과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매우 중요할 수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연구자나 실무자들은 내삽 처리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으며, 자료처리나 준비 과정에서 거쳐야하는 하나의 단순한 단계로만 여길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거리 가중치법(Reciplocal Inverse Distance method), 역거리 제곱 가중치법(Inverse Square Distance method), Dual Kriging법, Hardy의 Multiquadric법, Completely Regularized spline법, 삼각망법(TIN) 등 기존에 알려진 공간자료 보간법에 대해서 소개하며, 알려져 있는 공간함수를 이용하여 다양한 경우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보간법의 종류에 따라 내삽 결과는 매개변수 값에 지대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매개변수에 따른 내삽 결과를 분석하고, 정확성과 적용성 등 다양한 내삽기법들에 대해서 평가한다.

  • PDF

An Efficient Anisotropic Volume Rendering using an Intensity Interpolation and Adaptive Intermediate Voxel Insertion Method (광도 보간과 적응형 중간복셀 삽입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비균등 볼륨 렌더링)

  • 김태영;신병석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0 no.11
    • /
    • pp.655-662
    • /
    • 2003
  • In some volume visualization fields such as medical imaging, anisotropic volume data are more common than isotropic on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rendering method for anisotropic volume data, which directly computes the intensity of intermediate samples by interpolating the intensity of two corresponding voxels on consecutive slices. Unlike density interpolation method, it does not require a preprocessing step for generating intermediate slices or additional memory for storing them. Additionally, we propose an adaptive intermediate voxel insertion method that avoids overblurring on object surfaces. This may occur when we render high frequency areas using the intensity interpolation method. Using these methods, we can improve the rendering speed without sacrificing image quality.

Assessment of merging weather radar precipitation data and ground precipitation data according to various interpolation method (보간법에 따른 기상레이더 강수자료와 지상 강수자료의 합성기법 평가)

  • Kim, Tae-Jeong;Lee, Dong-Ryul;Kwon, Hyun-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12
    • /
    • pp.849-862
    • /
    • 2017
  • The increased frequency of meteorological disasters has been observed due to increased extreme events such as heavy rainfalls and flash floods. Numerous studies using high-resolution weather radar rainfall data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hydrological effects. In this study, a conditional merging technique is employed, which makes use of geostatistical methods to extract the optimal information from the observed data. In this context, three different techniques such as kriging, inverse distance weighting and spline interpolation methods are applied to conditionally merge radar and ground rainfall data. The results show that the estimated rainfall not only reproduce the spatial pattern of sub-hourly rainfall with a relatively small error, but also provide reliable temporal estimates of radar rainfall. The proposed modeling framework provides feasibility of using conditionally merged rainfall estimation at high spatio-temporal resolution in ungauged areas.

Mixing distance through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in river (하천에서의 공간분포 분석을 통한 혼합거리 연구)

  • Chang Hyun Lee;Kyung Dong Kim;Si Wan Ryu;Dong Su Kim;Young 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4-144
    • /
    • 2023
  • 하천 합류부에 있어 수체의 혼합양상 분석은 고해상도의 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공간적 분포를 해석함에 있어 3D 기법들을 많이 활용되고 있다. IDW, Natural Neighbor, Kriging기법등 다양한 기법들이 많이 적용되고 있고 그에 따라 각 보간법을 비교 분석하여 공간해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관련 논문을 검토한 결과, 측정 결과에 따른 2차원 횡단면 분포의 내용이 지배적이었고, 3차원 매핑 및 3차원 분석을 통한 수리학적 정보 획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였다. 특히 3차원 하천 수질 농도의 연구가 불충분했다. 그에 따라 저해상도 측정결과에서의 예측과 보간법에 대한 시각화를 통해 하천의 전체적인 수리·수질정보를 표기하였다. 각각의 보간법을 비교함으로써 하천매핑에 있어 Kriging 기법을 적용하여 시각화된 자료와 정량적 평가를 통해 하천매핑의 정밀성을 향상시켰다. 하천합류부를 공간 분석할 시에 하천의 측정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바탕으로 계측경로에 따라 보간한 결과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3차원자료를 이용하여 하천의 혼합거리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수표면과 연직방향까지 고려된 혼합거리분석을 비교하였다.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 기술의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되며, 이러한 데이터는 유해물질 저감 기술 및 평가 예측 기술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 추정, 호수의 고위험 조류군 계층분석 등 다양한 수생건강 진단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 PDF

Image Magnification Using Median Filter and Spatial Variation (메디안 필터와 공간 변화량을 이용한 영상 확대)

  • Kwak, Nae-J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9
    • /
    • pp.72-80
    • /
    • 2007
  • Image magnification is the estimation of a few pixel in images with high quality from a pixel of an image with low resolution and there have been studied many techniques to make images with high qua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age interpolation method using median filter and spatial information. The proposed method makes an interpolating pixel using an average value of a median filtered value and an average value of two pixels correlated with an interpolating pixel tightly. Also we make the magnified image with improved quality to add the directional information of surrounding pixels and the characteristic of ones using average value and max value of spatial variation. We evaluate the performance using PSNR in the quality of enlarged image comparing the proposed method with existing methods. The results show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PSNR than the existing methods and make images preserving the characteristic of original im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