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동기화

Search Result 24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Motivators and Demotivators of Chat Reference Service (채팅을 통한 정보봉사 서비스의 이용자 동기화 및 비동기화 요인)

  • Lee, Seong-S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5 no.2
    • /
    • pp.115-12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factors which motivate academic library users to use chat reference service and which demotivate academic library users to use chat reference service. To achieve the study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 with the selected participants (Information Studies graduate students at Florida State University(FSU)) through email in April and May 2007. This study found that 1) convenience, 2) anonymity, and 3) inexpensiveness of the service served as incentives(motivators) for chat reference service consumers to use the service. On the other hand, chat reference service consumers mentioned the following factors as obstacles (demotivators) for using the service: 1) waiting time, 2) accessibility, 3) interface design, and 4) difficulties with expressing themselves in a virtual space.

USN Secure Communication Design Using Chaotic System Feedback Synchronization (혼돈계의 피드백 동기화를 이용한 USN 보안통신 설계)

  • Yim, Geo-Su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3 no.5
    • /
    • pp.1011-1016
    • /
    • 2018
  • Ubiquitous services for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human being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are being realized through RFID technology and sensor network, and its application range of fields is also broaden. However, since the USN contains all the information of individuals and things, all of its private spaces can be attacked by external attacks; so, that the problem of security continues to arise. We designed a one-way chaotic feedback synchronization method as a secure communication method to fit the USN composed of one sync node and n number of sensor nodes. We designed the method by which the sensor node is synchronized in one direction of the sync node. This method solves the problem that all sensor nodes need to be resynchronized when the sync node is changed, which is shown in bidirectional synchronization. This is a security method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1:n communication such as USN.

3D Interactive Virtual Space System based on VRML and EAI (VRML과 EAI를 이용한 3D 상호작용 가상공간시스템)

  • 염창근;박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49-15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월드와이드웹상에서 3차원 인터페이스를 기술하는 표준 사양인 VRML과 자바의 EAI(External Authoring Interface)를 통하여 사용자 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들을 동기화 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제시한 방법에서는 별도의 독립적인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동기화를 위하여 확장된 VRML을 사용할 필요없이 웹브라우저와 바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방대한 웹문서와 연계가 쉬우므로 범용적인 자료구축이 가능하다. 하지만, 가장 최근의 VRML97에서조차도 VRML이 제시하는 가상공간 다중 사용자 환경의 지원은 아직 미비하다. 더 이상 단순히 3차원 월드를 탐험하는 시기는 지났으며, 같은 공간상에서 혼자가 아닌 여럿이 함께 하는 다중 사용자 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에 자바의 네트웍 기능과 가상공간의 외부에서 동적으로 월드를 제어할 수 있는 EAI를 이용하여 부족했던 다중 사용자 환경을 지원함으로써 가상 공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가상 공간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는 단지 동일 브라우저에서만 유효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할 때는 이벤트를 원격지의 이벤트와 연동하기 위하여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사용자 상호작용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이벤트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바타의 행동양식(avatar's behavior)이라 할 수 있다. 가상 공간에서 일어나는 이벤트의 대부분이 사용자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들이다. 즉, 아바타의 행위에 따라서 사용자 서로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되며 이들 이벤트를 서로 동기화 함으로써 실시간 3차원 상호작용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렇게 구현된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렇게 구현된 시스템은 전자 상거래, 가상 쇼핑몰, 가상 전시화, 또는 3차원 게임이나 가상교육 시스템과 같은 웹기반 응용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다.물을 보존·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도서관의 기능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학정보화의 센터로서의 도서관과 공공기록물 전문 담당자로서의 대학아카이브즈가 함께 하여 대학의 공식적인 직무 관련 업무를 원활하게 지원하고, 그럼으로써 양 기관의 위상을 높이는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하여는, 인쇄된 일차적 정보자료의 검색방법등을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법령과 판례정보를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요구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잇는 도서관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은 법과대학과 사법연수원에서 법학 연구방법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여 각종 법률정보원의 활용 내지 도서관 이용방법에 관하여 교육하는 것이다.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boxDr$한국어사전$\boxUl$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크기에 의존하며, 또한 이러한 영향은 $(Ti_{1-x}AI_{x})N$ 피막에 존재하는 AI의 함량이 높고, 초기에 증착된 막의 업자 크기가 작을 수록 클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따라 경관의 미학적 평가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최락의 총체적인 외형은 마찬가지로 $\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ulcorner$순응

  • PDF

The Emotional Boundary Decision in a Linear Affect-Expression Space for Effective Robot Behavior Generation (효과적인 로봇 행동 생성을 위한 선형의 정서-표정 공간 내 감정 경계의 결정 -비선형의 제스처 동기화를 위한 정서, 표정 공간의 영역 결정)

  • Jo, Su-Hun;Lee, Hui-Sung;Park, Jeong-Woo;Kim, Min-Gyu;Chung, Myung-Ji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540-546
    • /
    • 2008
  • In the near future, robot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human's emotional states and exhibit appropriate behaviors accordingly. In Human-Human Interaction, the 93% consist of the speaker's nonverbal communicative behavior. Bodily movements provide information of the quantity of emotion. Latest personal robots can interact with human using multi-modality such as facial expression, gesture, LED, sound, sensors and so on. However, a posture needs a position and an orientation only and in facial expression or gesture, movements are involved. Verbal, vocal, musical, color expressions need time information. Because synchronization among multi-modalities is a key problem, emotion expression needs a systematic approach. On the other hand, at low intensity of surprise, the face could be expressed but the gesture could not be expressed because a gesture is not linear. It is need to decide the emotional boundaries for effective robot behavior generation and synchronization with another expressible method. If it is so, how can we define emotional boundaries? And how can multi-modality be synchronized each other?

  • PDF

(디지털 콘텐츠 공유행위의 동기부여요인 연구 )

  • Jung, Jung-H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753-760
    • /
    • 2006
  • 초고속 인터넷망의 보급으로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디지털 콘텐츠 생산 및 유통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뛰어 넘어 다방면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파일전송기술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는 인터넷 공간에서 역학적인 사회적 관계을 맺은 사용자에 의해 공유되고 있으며, 공급과 수요의 증가로 불법 콘텐츠 시장이 육성되어 저작권에 대한 법적인 이슈가 날로 첨예화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회적 연결망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의 콘텐츠 공유 행위에 대한 심리적 요인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간의 관계 조명 및 상호작용과 콘텐츠 공유의 동기부여요인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첫번째로 현재 인터넷 시장의 디지털 콘텐츠 공유현황 분석이 선행되었고, 두번째로 가상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은 사회적 관계형성이란 관점에서 사용자간의 공유 행위를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공유 행위자의 심리적 욕구를 아브라함 매슬로우(Abraham H. Maslow) 욕구단계설을 근간으로 하여 재조명하였다. 이는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콘텐츠 생산에 활성화를 위하여 다각적인 측면으로 접근하였으며, 향후 정법화된 디지털 콘텐츠 시장 조성을 위한 가이드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Efficient Gallery Categorizing Application In Mobile (모바일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갤러리 분류 어플리케이션)

  • Kim, Sung-Ho;Jun, Jae-Hyun;Kim, Seong-Yeop;Kim, Yu-Jin;Noh, Yeo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181-18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현시대의 핵심이슈인 신속성과 유용성에 맞춘 갤러리 카테고라이징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제안한다. 해당 앱은 기존에 모바일 기기에 내재된 갤러리 시스템의 여러 가지 단점들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방대한 양의 사진 파일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의 서버를 개인 메모리 공간처럼 사용하는 일종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사용하여 모바일 사진 파일을 동기화한다. 이를 통해 비디오, 음악 등 모바일에서 다루는 고용량의 파일들과 수많은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요구되는 메모리 공간으로 인한 모바일 기기의 용량 부족 현상을 완화하고, 모바일 기기의 한정적인 메모리 공간을 보완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갤러리 카테고라이징 기법이 기존의 사용하는 갤러리 시스템에 비해 사진 탐색시간의 효율 면에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Middleware for Internat Collaborative Workspaces (인터넷 협동작업 공간을 위한 미들웨어의 구현)

  • 고동일;김종성;오원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295-29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상에서의 협동작업 공간 응용을 위해 고안된 미들웨어인 SHINE(SHared INternet Environment)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SHINE은 인터넷 협동작업을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과 협동작업 공간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실시간 인터넷 서비스 모델을 제공한다. 이 프로토콜들과 실시간 인터넷 서비스 모델을 이용하여 SHINE은 각각의 협동작업 참여자들의 공유상태를 실시간 동기화 시킨다. SHINE을 통해 응용 프로그래머들은 손쉽게 협동작업 응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SHINE을 이용해 구현된 시험 응용들을 통해 SHINE의 유용성을 보인다.

  • PDF

A Virtual Reality Molecular Modeling System for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Remote Collaboration (동기식 및 비동기식 원격 협업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의 분자 모델링 시스템 -가상현실 기반의 분자 도킹 프로세스 및 구조 결정학 시뮬레이션 협업 시스템-)

  • Lee, Jun;Kim, Hyung-Seok;Kang, Lin-Woo;Kim, Jee-In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4 no.1
    • /
    • pp.17-27
    • /
    • 2009
  • A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CSCW) system is a collaboration system, which enables cooperative works among various participants through the Internet. A collaborative virtual reality environment(CRVE) can be used in scientific research and cultural research because it can provide users with virtual experiences of three dimensional molecular models in cyberspace. However, general CVRE systems are only focused on synchronous collaborations. We propose a remote collaboration system, which provides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operation in collaborativ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The proposed system can be applied to bioscience experiments such as molecular docking process, and crystallography simulation. The proposed system is evaluated in performance comparison with previous approaches.

  • PDF

A Study on Time Synchronization Protocol to Cover Efficient Power Management in Ubiquitous Sensor Network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효율적인 시간 동기화 프로토콜 연구)

  • Shin, Moon-Sun;Jeong, Kyeong-Ja;Lee, Myong-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3
    • /
    • pp.896-905
    • /
    • 2010
  • The sensor networks can be used attractively for various application areas. Time synchronization is important for any Ubiquitous Sensor Networks (USN) systems. USN makes extensive use of synchronized time in many contexts for data fusion. However existing time synchronization protocols are available only for homogeneous sensor nodes of USN. It needs to be extended or redesigned in order to apply to the USN with heterogeneous sensor nodes. Because heterogeneous sensor nodes have different clock sources with the SinkNode of USN, it is impossible to be synchronized global time. In addition, energy efficiency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to influence the design of sensor networks, as sensor nodes are limited in power, computational capacity, and memory. In this paper, we propose specific time synchronization based on master-slave topology for the global time synchronization of USN with heterogeneous sensor nodes. The time synchronization master nodes are always able to be synchronized with the SinkNode. Then time synchronization master nodes enable time synchronization slave nodes to be synchronized sleep periods. The proposed master-slave time synchronization for heterogeneous sensor nodes of USN is also helpful for power saving by maintaining maximum sleep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