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단위

Search Result 1,87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Plan Formation of University Dormitory's Living Unit by Modular Unit (모듈러 유닛에 의한 대학 기숙사 단위 생활공간의 평면 구성에 대한 고찰)

  • Kim, Jung-Heon;Kim, Jin-M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16 no.2
    • /
    • pp.37-4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 formation for university dormitory's living unit by the modular unit of the pre-fabricated architecture, Pursuing this, this study conducts the investigation of present domestic situation of prefabricated construction and practices plan formation for living unit concentrating on the dweller's satisfaction by solving the problems which hitherto constructed dormitory had, especially collapse of dweller's territoriality. Con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the feasibility of modular unit of present prefabricated construction as a new method of dormitory's living unit construction, and suggests the pertinent plan 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dweller's territoriality.

The Design of Hybrid Memory Memcached based on SSD (SSD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메모리 멤캐시드 설계)

  • Yoo, Sang-Hyun;Youn, He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333-335
    • /
    • 2014
  •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클라우드 및 웹 서비스 제공회사와 클라우드 및 웹 서비스 제공자는 수많은 사용자들에 의해 발생되는 무수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하드 디스크보다는 램에 저장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좋은 도구로서 분산메모리 객체 캐싱 소프트웨어인 멤캐시드가 있다. 멤캐시드의 성능은 저장공간의 크기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하드웨어의 비용, 전력소비와 온도조절 등 공간의 제약을 감안했을 때, 무작정 개별 서버에 많은 RAM을 장착하거나, 서버 배열을 확장하는 것은 효율적인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많은 양의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이 가능하도록 RAM과 SSD를 같이 확장한 SSD 기반 하이브리드 메모리를 제안한다. 하이브리드 메모리는 객체 캐시로 동작하고 페이지 단위로 할당하는 것보다 객체 단위로 자원할당을 함으로서 SSD에서 빠른 무작위 읽기를 할 수 있게 해 객체의 접근속도를 향상시켰다.

  • PDF

A Study on the Consultation-Rooms Unit Plan of the O. P. D. in the Herb Medicine Hospital (한방병원 외래진료부 진료질의 단위공간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 Yoo, Chang-Seung;Lee, Teuk-K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4 no.6
    • /
    • pp.17-27
    • /
    • 1998
  • After 1980's, more and more people expect to the mysterious treatment of herb medicine about chronic and degenerated disease, according to growth of income level and old population. So the herb medicine hospital is begin to increase rapidly. But, they apply western hospital plan to the herb medicine hospital project which cause a lot of problem. To solve the problem, we suggest the new design standards for the purpose of this thesis which considered treatment method and system of herb medicine hospital.

  • PDF

Two-Way Synchronization For Mobile GIS (모바일 GIS를 위한 양방향 동기화)

  • Chao, Ji-Tae;Ahn, Kyoung-Hwan;Jun, Bong-Gee;Hong, B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85-88
    • /
    • 2001
  • 최근 모바일 환경을 기반으로 서버와 단절 상태에 있는 모바일 장치들과 수시로 변경되는 서버간의 데이타 동기화(Data Synchronization) 문제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기존 객체 단위의 동기화 기법은 모바일 지리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영역 단위 데이타 동기화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무선통신 기반으로 양방향 공간 데이터의 실시간 동기화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또한 무선통신의 좁은 대역폭과 고비용을 고려하여 서버와 모바일 클라이언트간의 효율적인 양방향 동기화를 위한 로깅 기법을 도입하여, 모바일 클라이언트에 분산된 지역 공간 데이타를 실시간으로 서버와 동기화시키는 기법을 제시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dex Manager for SGML Information Retrieval (SGML 정보검색을 위한 인덱스 관리자의 설계 및 구현)

  • Jang, Jae-U;Lee, Hui-Ju;Son, Jeong-Han;Sim, Bu-Seong;Ju, Jong-Cheol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5 no.2
    • /
    • pp.135-146
    • /
    • 1999
  • SGML 정보검색을 위한 인텍스 관리자는 SGML 정보 표현의 기본 단위인 엘리먼트 단위의 검색과 문서의 논리적인 구조에 기반한 검색을 지원해야 하면 아울러, 우수한 검색 시간과 낮은 부가 저장 공간을 보장하여야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SGML 정보검색을 위한 사용자 질의 형태별로 분류하여 이를 토대로 SGML 정보검색 인덱스 관리자를 설계한다. 아울러 인덱스 관리자를 UNIX 운영체제하에서 표준 C 언어를 가지고 02 Store 하부저장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저장 시간, 삭제시간, 검색 시간, 부가 저장 공간 측면에서 구현된 인덱스 관리자의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

A Localization Technique of Mobile Object in Wireless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객체 위치인식 기법)

  • Kim, Taehoon;Tak, S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928-93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최근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위치인식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위치인식 기법들이 정확한 좌표 값을 측정하고자 하는데 반해 제안 기법은 지역 단위의 위치인식을 기반으로 실제 응용 단계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직접적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거리정보에 독립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장비의 필요 없이 기존의 WLAN, WPAN과 같은 저가의 표준 장비만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논문의 기법은 큰 규모로 배포되어 있는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일 수 있으며, 셀이나 공간단위의 위치인식이 필요한 응용 서비스에 적합하다.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using optical sensor-based soil moisture (광학센서 기반의 토양수분을 이용한 농업적 가뭄 감시)

  • Sur, Chan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6-296
    • /
    • 2022
  • 농업적 가뭄은 토양의 수분함량(토양수분)이 마르기 시작하면서 식생 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광범위한 농업적 가뭄을 판별하기 위해 인공위성 자료를 토대로 토양수분을 산정하고 이를 이용해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가뭄 상태를 판별한다. 기존 인공위성 기반의 토양수분의 경우, microwave sensor에서 제공되는 밝기온도(brightness temperature)를 통해 토양수분을 추정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microwave sensor에서 제공되는 자료들의 공간해상도가 10 km 이상이기 때문에, 한반도나 더 작게는 유역 단위, 행정 단위별 가뭄 분석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 해상도 500m의 광학센서(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sensor (VIIRS))에서 제공되는 지표면 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와 지표 반사도(land surface albedo) 자료들을 조합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산출된 토양수분으로 농업적 가뭄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microwave sensor로 산출된 토양수분 결과 값과의 비교 및 검증을 통해 광학센서를 통한 토양수분 산출물의 한반도 내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A Development of Downscaling Model for Sub-daily Rainfall Based on Bayesian Copula model (Bayesian Copula 모형을 활용한 시간단위 강우량 상세화 기법 모형 개발)

  • Kim, Jin-Young;So, Byung-Jin;Kwon, Duk-Soo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29-229
    • /
    • 2016
  • 현재 국내외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경우 일단위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수자원 설계 및 계획 시 중요한 입력자료 중 하나는 시간단위 강우 자료이다. 이러한 시간단위 자료는 강우-유추 분석, 댐 설계 및 위험도 분석에 있어 중요한 입력 변수중 하나이므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선 신뢰성 있는 상세화 기법이 필요하다. 국내외에서는 일단위에서 일단위로 상세화 하는 기법, 또는 공간상세화 기법 연구는 상당히 진행된바 있는 반면, 시간단위 상세화 기법 연구는 일단위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즉 일단위 상세화 기법의 경우 Weather generator, Weather typing 등 다양한 기법이 존재하고 이를 활용한 연구사례가 많지만, 시간단위 상세화 기법의 Poisson 기법을 활용한 사례가 다수 존재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Bayesian 기법을 도입하여 신뢰성 있는 시간단위 강우량을 생성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연대별로 산정된 결과는 빈도해석을 통해 미래 확률강우량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Bayesian Copula 모형은 기존 주변확률분포(marginal distribution) 매개변수와 Copula 매개변수 추정시 각각 다른 기법을 활용하여 추정하며, 각각 모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은 추정하지 못하는 반면, Bayesian Copula 모형의 경우 매개변수의 사후분포를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추정되는 확률강우량 역시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Data Transformation Method for Visualiz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Grid (격자 기반의 통계정보 표현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 Kim, Munsu;Lee, Jiy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5
    • /
    • pp.31-4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data transformation method for visualiz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grid system which has regular shape and size. Grid is better solution than administrator boundary or census block to check the distribution of the statistical information and be able to use as a spatial unit on the map flexibly. On the other hand, we need the additional process to convert the various statistical information to grid if we use the current method which is areal interpolat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3 steps to convert the various statistical information to grid. 1)Geocod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2)Converting the spatial information through the defining the spatial relationship, 3)Attribute transformation considering the data scale measurement. This method applies to the population density of Seoul to convert to the grid. Especially, spatial autocorrelation is performed to check the consistency of grid display if the reference data is different for same statistic information. As a result, both distribution of grid are similar to each other when the population density data which is represented by census block and building is converted to grid. Through the result of implementation, it is demonstrated to be able to perform the consistent data conversion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Distribution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Stand in Korea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GIS (공간통계와 GIS를 이용한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분포패턴)

  • Lee, Chong-Soo;Lee, Woo-Kyun;Yoon, Jeong-Ho;Song, Chul-Ch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5 no.6
    • /
    • pp.663-671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explo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in Korea. Firstly, the spatial distribution map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was prepared in grid of $100m{\times}100m$ at national level, using digital forest type map and actual vegetation map. And thematic maps for topography, climate, and soil were also prepared in the raster form of $100m{\times}100m$. Through GIS based spatial analysis of the digital distribution map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and thematic map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distribution was explored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opography, climate, and soil. And the occurrence frequency model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were derived. Pinus densiflora occurs more often than Quercus spp. at low elevation, low slope gradient, and high temperature areas. In addition, Pinus densiflora is mainly distributed at shallow and well-drained loamy soil from igneous rocks. In contrast, Quercus spp. is more common at shallow and well-drained loamy soil from metamorphic rocks. As a result, the prediction model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by topographical variables has proven successful with hig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rational management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stand in Korea, consider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opography, climate, and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