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구성 유형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43초

공공도서관 공간 특성에 따른 공간 유형 및 그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 of Spatial Types Based on Public Library Spatial Characteristics)

  • 육지혜;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1-137
    • /
    • 2016
  • 오늘날 공공도서관은 정보제공뿐만 아니라 문화생활 기능 제공 등 그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도서관 공간 역시 도서관의 서비스를 반영해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서관 공간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서관 공간과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간 상관관계를 탐색하고, 도서관의 물리적 특성을 기반으로 도서관 공간 유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관찰조사 및 설문조사를 수행했다. 관찰조사 결과, 도서관의 공간 유형은 '분리형', '부분통합형', '완전통합형' 세 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공간 유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통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공간 유형에 따라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과 이용 목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도서관의 공간 구성에 따라 도서관 공간을 유형화할 수 있으며, 공간 유형이 이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고려되지 않았던 도서관 공간과 도서관 인식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공공도서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도서관 공간 구성을 제안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공공도서관 복합문화공간의 프로그램 구성체계 및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ogram Structure and Activation Plan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Public Library)

  • 신영지;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89-114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내 복합문화공간의 현황 및 운영 중인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복합문화공간을 구성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공간유형 및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복합문화공간별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복합문화공간을 도서관 내에 구성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교육공간, 전시공간, 공연공간이 다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맥락을 같이하여 복합문화공간에서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 유형도 교육, 전시, 공연 유형의 프로그램이 다수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 전담인력 부족, 예산 부족, 프로그램 개발 어려움, 프로그램 참여 저조, 문화시설 및 자료 부족 등으로 복합문화공간 운영의 내실화는 아직 부족한 실정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향후 공공도서관 내 복합문화공간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해당 도서관의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목표와 비전을 설정, 공간 확보, 복합문화공간을 위한 인력 및 예산 확보, 홍보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유통체계에의 도입 연구 (Introducing Spatial Data Warehouse into Clearinghouse Systems)

  • 진희채;정승렬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1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 /
    • pp.237-25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Clearinghouse 중심의 공간 유통정보체계에 대하여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를 적용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유통체계에 따라서 설치 가능한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유형 및 특성을 검토하여 3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또한 조직의 특성 등에 따라 수평적 체계 및 수직적 체계에서의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 및 확산전략을 제시하고, 이런 요소들이 전체적인 구성을 이룰 경우 총괄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는 국가 공간데이터 웨어하우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초등학교 학교도서관 기능 공간의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y-out Type of Faculty Space in Library)

  • 신동준;이상호;임채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5-179
    • /
    • 2009
  •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은 기본적으로 교육 및 정보를 전달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교사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간 구성은 세부 공간 간의 기능을 잘 연결할 수 있도록 공간과 가구의 경제적 배치(LAYOUT)가 주된 목적이다. 따라서 공간과 가구를 잘 배치하여 이용자가 편리하고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기능공간의 배치유형을 조사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학교도서관의 전문화, 다원화, 개성화 하여야하는 목적과 교육환경 및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초등학교 도서관의 사용자인 학생 측면에서 현황을 파악하고 공간의 점유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초등학교 도서관 계획시 보다 효율적인 공간계획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형태 유형 분석을 통해 본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독일시대 사무소 건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Mies' office projects in Germany through an analysis of Formal Types)

  • 김철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372-6378
    • /
    • 2014
  • 본 논문은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독일시대 사무소 프로젝트의 형태 유형과 그에 따라 형성되는 공공 공간을 분석하는 것을 주제로 삼는다. 사무소 계획안들의 투시도와 도면을 통해 형태 유형의 발생과 변화, 유형과 공공 공간의 관계, 위계에 따른 형태와 공공 공간 구성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초기에는 ㄷ자, ㅡ자 유형을 사용했고 후에 곡선 유형을 도입하여 ㅡ자 유형과 함께 형태들로 분절했다. 2. 단순한 형태 유형들 전면에는 진입광장을 계획했고 곡선 유형과 함께 다양한 위계의 중정과 후원을 형성했다. 3. 미스가 여러 시도를 통해 형태 유형과 공공 공간에 대한 생각을 구축해 가던 시기였음을 알 수 있다.

서귀포시 특급관광호텔 공용공간에서 나타나는 평면구성의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 Composition shown in the Public Space of the Luxury Tourist Hotels on Seogwipo-si)

  • 강봉유;박철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01-510
    • /
    • 2016
  • 호텔은 단순한 건축물이라는 의미를 벗어나 한 시대의 문화적 예술적 정보를 담은 건축물이며, 또한 호텔이 위치한 지역적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장소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에 따라 그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국제적인 관광도시인 제주는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다기능적이고 체계적인 호텔건축계획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서귀포시의 특급관광호텔의 현황을 파악하고,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공용공간의 구성형식 및 공간구성 유형 등 평면구성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호텔 건축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귀포시에 위치한 특급관광호텔 9개소이며, 이용객이 집중되는 공용공간을 연구범위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참고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호텔건축에 대해 고찰하고 조사대상 호텔에 대한 현장방문을 시행하여 일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건축계획적 요소들과 공간구성 유형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용객이 집중되는 공용공간을 연구범위로 한정하여, 건축계획적인 측면에서 각 공간의 수직적 수평적 결합방식, 각 공간으로 진입하는 동선형태 등과 관련된 공간구성형식과 공간구성유형을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 분야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공간구성 -Walt Disney스튜디오 작업환경과 공간구성 사례를 중심으로 (The Spatial Composition for Animation Competency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Studio Environment and Spatial Composition of Walt Disney)

  • 이현석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6호
    • /
    • pp.1-22
    • /
    • 2017
  • 정보통신기술의 빠른 발전과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확대로 인해 관련 실용학문분야는 교육의 내용과 환경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핵심 분야인 애니메이션 교육은 창의와 융합 그리고 실무교육이 중시되며 교육 내용과 방법에서 많은 개선이 시도되었다. 하지만, 기존 컴퓨터실 형태의 획일적 교육 공간은 애니메이션 교육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분야 직무 역량과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제작의 특성이 반영된 효율적인 실습교육 공간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전개는 첫째, 기존의 애니메이션 교육공간의 한계점에 대해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도출한다. 또한, Pre-production, Main-production, Post-production의 세 단계로 구성된 애니메이션 제작의 작업적 특성과 순차적 업무에 따른 여섯 개 세부 직무의 역량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애니메이션 제작공간의 구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구문론을 차용한 6가지 공간 유형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애니메이션 제작특성, 세부직무역량 요소, 6가지 공간 유형을 분석 툴로 하여,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인 Walt Disney의 작업환경과 공간구성에 대해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다섯째, 문헌연구와 사례연구의 결과를 연계적으로 분석하여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공간 구성의 특성을 도출한다. 본 연구를 통해 프로젝트 실무와 직무역량요소의 특성이 반영된 교육 공간 구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본 사례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 교육공간 구성을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으나, 기존과 차별화된 프로젝트 교육 공간구성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가치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ublic Library Space Guideline of Integrated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 공순구;김형석;이승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66
    • /
    • 2010
  • 현대과학기술의 발전은 한 사회의 문화와 사회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존의 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던 도서관은 현대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역할을 부여받게 되었다. 최근 공공도서관 신축 또는 리모델링 수요의 급증이 예상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도서관의 유형과 서비스 규모를 고려한 도서관 공간운영에 대한 모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 도서관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공간운영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과 사례를 검토하고 공간구성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대안이 될 수 있는 공간요소의 재구성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도서관의 조립과 리모델링 사업계획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도서관의 특성과 서비스 규모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공간운영 표준모델의 개발을 위해,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둘째, 국내 및 해외의 도서관 건축물 공간구성 사례 수집분석하며, 셋째, 향후 신축할 국내 공공도서관 건축물을 유형별로 정의하여 공간구성에 대한 합리적인 권장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원룸 평면 구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사례조사 기반의 10개 평면 유형을 중심으로 (Autonomic Responses Related to the Floor Plan Configurations of One-room Units: Focus on 10 Types of Floor Plan Configurations)

  • 명지연;김규범;전한종
    • 감성과학
    • /
    • 제22권2호
    • /
    • pp.101-10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심전도를 활용하여 원룸형 평면 계획 구성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측정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생리 신호는 대부분 제한된 건축요소에 대해 개별적으로 측정되었고, 이 결과들은 실제의 전체 원룸공간에서 측정된 데이터와는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보다 동적인 환경에서 인간의 감성을 추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했다. 먼저, 무작위로 수집 된 43 개의 원룸은 욕실과 주방의 위치에 따라 10 가지 유형의 평면 구성으로 분류되었다. 그 다음 건강한 10명의 피험자로부터 평면 구성 변화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측정하였고, 쾌적성 및 선호도에 대한 주관 평가가 시행되었다. 결과적으로 평면 구성 따른 유형별 LF/HF의 평균 비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본 연구 결과는 평면의 구성이 원룸의 공간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를 제공하며, 이 접근법이 일인가구의 정신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앞으로 피험자수를 늘려 보다 정확한 통계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