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 성숙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3초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초경시기와 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NARCHE AND SKELETAL MATURITY AMONG VARIOUS MALOCCLUSION GROUPS)

  • 김경호;백형선;손은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81-589
    • /
    • 1998
  • 부정교합 환자에서 사춘기 성장 가속화시기의 치료는 악안면 골격 부조화의 교정과 안모의 개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사춘기의 성장을 예측하고 성장 잠재력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정학에 있어서 개개인의 성장 가속화시기와 연관해서 신체의 성장 발육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교정치료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초경시기에 차이가 있는지와 초경시 골성숙도를 조사하기 위해, 1급 부정교합자 64명, II급 부정교합자 51명, III급 부정교합자 38명의 초경 전후 3개월 이내의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성숙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경시 평균 연령은 $12.50{\pm}1.01$세 였다. 2. 각 군별 초경연령은 I급 부정교합군이 $12.36{\pm}1.04$세, II급 부정교합군이 $12.81{\pm}1.03$세, III급 부정교합군이 $12.32{\pm}0.82$세로서, II급 부정교합군이 I급 부정교합군 과 III급 부정교합군에 비해 늦은 초경연령을 보였다. 3. 초경시 수완부 골성숙도는 부정교합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4. 초경시 수완부 골성숙도는 SMI 7이 $45.10\%$, SMI 8이 $27.45\%$, SMI 9가 $10.46\%$, SMI 6이 $7.84\%$, SMI 10이 $7.84\%$, SMI 5가 $1.31\%$ 였다. 5. 초경연령과 수완부 골성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r=0.25430).

  • PDF

하악 제3대구치의 성숙도를 이용한 성장 평가 (Skeletal maturation evaluation using mandibular third molar development in adolescents)

  • 조선미;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0-129
    • /
    • 2009
  • 성장기 환자의 교정 치료에서 바람직한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성장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장 과정은 개인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성장 평가를 위해서는 연대 연령이 아닌 생리적인 연령을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춘기 동안 발육하는 하악 제3대구치에서 치아성숙도를 측정하고 성장 평가 지표로서의 그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성장기 여자 환자 270명을 대상으로 제3대구치의 치아 성숙도(Demirjian index), 경추의 골 성숙도(CVMI), 수완부 골 성숙도(SMI), 초경 연령 등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Demirjian Index와 SMI, CVMI 간의 상관관계에서 SMI와 Demirjian index (r = 0.64), CVMI와 Demirjian index (r = 0.59)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01). 그러나 초경 연령과 Demirjian index간의 상관관계(r = 0.26)는 낮았으며 (p < 0.001), Demirjian index를 통해 평가한 제3대구치의 치아성숙도는 I, II, III급 부정교합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3대구치 치관이 완성되고 치근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Demirjian index I단계 이상이면 SMI 10단계, CVMI 5단계 이상에 속하였다. 하악 제3대구치의 발육단계를 이용한 치아성숙도 평가는 경추 및 수완부 골성숙도와 조합하여 사용한다면 사춘기 성장 평가에 있어 하나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데포비어가 중간엽 줄기세포와 조골세포의 골형성 분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efovir Dipivoxil on the Inhibition of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and Osteoblasts)

  • 박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84-290
    • /
    • 2023
  • Adefovir dipivoxil (ADV)은 간염 바이러스 및 에이즈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장기간 복용 시 부작용으로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다. 골다공증은 골밀도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ADV와 골 분화 억제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연구를 위해, 미분화 세포인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s)와 골아세포(MG63)를 이용하여 ADV가 미분화 세포 수준에서 골세포 성숙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먼저, MSCs와 MG63 세포에 ADV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각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Cell Counting Kit-8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각 세포와 핵의 형태학적 분석을 위해 crystal violet과 Hoechst 염색을 시행하였다. 세포의 비대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TGF-β 발현을 조사하였고, 이에 따른 MSCs와 MG63 세포의 성숙한 골세포로의 분화도를 확인하고자 ALP 염색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ADV는 MSCs와 MG63 세포에서 핵과 세포질의 비대 현상, 세포의 증식능 억제, 성숙 골세포로의 분화 능력의 감소를 유발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ADV가 TGF-β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었고, TGF-β의 증가는 MSCs와 MG63 세포부터 성숙한 골세포로의 분화 억제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ADV 약물은 MSCs와 MG63 세포의 TGF-β 발현을 증가하여 세포 형태와 핵의 비대증을 유발하며, 세포의 증식억제 및 성숙한 골세포 분화능에 영향을 주어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DV 복용에 따른 부작용을 규명하기 위해 세포학적 수준에서 골다공증 유발에 미치는 생물학적 상관성과 원인을 이해하기 위한 근거자료로서 기초의학과 임상연구에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등학생의 골성숙도에 따른 체력 군집화 : 군집분석 중심으로 (A Clustering of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he Skeletal Matur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Cluster Analysis)

  • 김대훈;윤형기;오세이;이영준;조석연;송대식;서동녘;김주원;나규민;김민준;오경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3-73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골연령에 따라 군집화 시켜 각 군집 그룹의 체격, 체력 및 골성숙도를 분석하고 자료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균형적인 발달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8세~13세에 해당하는 22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성숙도 산출을 위해 X-ray필름을 촬영한 후 TW3 방법 점수 환산표에 적용시켜 골성숙도를 산출했다. 신장계(Hanebio, Korea, 2021)와 Inbody 270(Biospace, Korea, 2019)를 사용하여 총 2개의 체격 요소를 측정하였으며, 체력은 근력(악력), 평형성(외발서기), 민첩성(플랫테핑), 순발력(제자리멀리뛰기), 유연성(좌전굴),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 심폐지구력(셔틀런)으로 총 7개 체력 요소의 종목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 PC/Program(Version 26.0)과 Britics Studio Tool을 이용하여 K-Means 클러스터링 기법,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p< .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숙, 보통, 조숙의 3가지 골성숙도를 사용하여 군집화한 결과, 군집 1(미숙)은 근력, 평형성, 민첩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군집 2(보통)는 유연성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군집 3(조숙)은 근력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개인특성별 군집화에 따른 체격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장, 체중, 체지방률 모두 군집 3(조숙)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개인특성별 군집화에 따른 체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악력검사(좌, 우)는 군집 3(조숙)이 높게 나타났고 외발서기의 경우 군집 1(미숙)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자리멀리뛰기의 경우 군집 3(조숙)이 높게 나타났다.

대두 이소플라본과 골조직의 대사(Bone turnover)

  • 김성란
    • 식품기술
    • /
    • 제15권1호
    • /
    • pp.16-26
    • /
    • 2002
  • 이 논문은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가 난소를 절제한 쥐의 골격 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투여량에 따라 조사한 것이다. 실험 초기에 암컷의 Wistar rats(7개월령; n=55)을 절제 후 봉합시킨 군(SH; n=14)과 난소절제군(OVX; n=41)으로 각각 구분하여 사육하고 80일 후에 각 5마리씩을 해부하여 난소절제로 인한 골손실 진행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후 난소절제 쥐(OVX)를 9마리씩 4그룹으로 나누고 대두 이소플라본(IF, 대두단백질이 없는 실험식이에 혼합하여 공급)을 각각 0, 20, 40, 80mg/ (kg body.d)씩 84일간 공급하였다. 동시에 SH rats에게도 이소플라본이 없는 실험식이를 섭취시켰으며 164일 후에 해부하였다. 예상했던 대로 골 무기질 밀도(대퇴골, 골간부위와 골간단부위) 및 골 표면적에 대한 다공성 골 면적의 비(대퇴골 원위부 골간단에서)가 OVX군이 SH군보다 낮았다(P<0.05). OVX군은 SH군보다 혈장 osteocalcine 농도가 높았으며 소변으로의 deoxypyridinoline 배설량이 많았다(P<0.05). 164일째 osteocalcine 과 deoxypyridinoline 농도는 OVX군에서보다 IF40 및 IF80군에서 더 낮았다(P<0.05). 그럼에도 불구하고 골 무기질 밀도와 다공성 골 면적이 OVX군에서보다 IF군들에서 더 낮아지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난소를 절제한 성숙한 쥐에게 대두 이소플라본을 매일 섭취시키는 것은 골격조직의 재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미 진행된 골감소증(osteophenia)을 회복시킬 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성장기 아동의 수직적 안모 형태와 성별에 따른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 성숙도 평가 (Evaluation of Skeletal and Dental Maturity in Relation to Vertical Facial Types and the Sex of Growing Children)

  • 조선경;김병화;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14-424
    • /
    • 2021
  • 이 후향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장기 아동의 수직적인 안모 형태와 성별에 따라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총 184명의 8 - 14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하악평면각을 기준으로 3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성별 간 비교를 위해 3개의 군을 각각 남아와 여아의 하위 군으로 나누었다.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 성숙도는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 수완부 방사선 사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으로 평가하였다. 수직적 성장군은 수평적 성장군보다 경추골 및 수완부 골의 높은 성숙도를 보였다. 치아 성숙도는 수직적 성장군에서 가장 높았다. 남아보다 여아에서 골격적 성숙도가 더 높았으며 치아 성숙도는 성별 간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의 수직적 안모 형태 분석은 교정치료 시작 시기 결정에 도움이 되는 보조지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직적 안모 형태를 보이는 환자의 경우 교정치료를 조기에 시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치료시기에 따른 상악골 전방견인효과 - 사춘기전과 사춘기의 비교 (The effect of treatment timing on maxillary protraction treatment response - A comparison of prepubertal and pubertal patients)

  • 김경호;최광철;백형선;이지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01-312
    • /
    • 2002
  •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악정형적 치료에서 치료시기는 치료효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상적인 치료시기는 연구자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다른 형태의 부정교합보다는 다소 이른 사춘기 이전의 어린 나이라는 것이 선학들의 공통된 의견이었다 하지만 통계적 자료들을 바탕으로 한 최근의 논문들은 과거 선학들의 의견을 뒷받침 해주는 논문과 그렇지 않은 논문들로 나뉘고 있어 이상적 치료시기에 대한 정립된 의견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19명의 환자들의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평가하여 골성숙도에 따라 사춘기전군과 사춘기군으로 분류하고 치료전후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여 상악골 전방견인에 대한 치료효과를 비교하였다. 평균 치료기간은 사춘기전군은 6.5개월, 사춘기군은 6.1개월이었으며 치료전후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의 전방이동양은 사춘기전군과 사춘기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상악골의 하방이동양은 사춘기전군과 사춘기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3. 하악골의 하방이동양과 후하방회전양은 사춘기전군과 사춘기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치성이동양은 사춘기전군과 사춘기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사춘기전 뿐 아니라 사춘기에서도 상악골 전방견인에 의해 상악골 성장촉진과 함께 성공적인 악정형 치료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기에서 수직적, 수평적 골격형태에 따른 경추골 성숙도 차이 (THE DIFFERENCE OF THE SKELETAL MATURATION OF CERVICAL VERTEBRAE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SKELETAL PATTERNS IN THE ADOLESCENTS)

  • 고탁균;강경화;라지영;천상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6-52
    • /
    • 2009
  • 청소년 환자에서 수직적, 수평적 골격형태에 따른 경추골 성숙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10세 환자 198명, 12세 환자 216명, 14세 환자 138명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평가하여, 수직적 골격형태에 따라 분류하였다. 각 연령별로 4개의 표준화된 계측치를 합하여 그 합이 극단적인 수직 성장을 보이는 30명과 극단적인 수평 성장을 보이는 30명을 선택하였고, 이들을 수직적인 군과 수평적인 군으로 각각 나누었다. 골성숙의 평가를 위해, 경추 하연의 만곡도와 경추의 수직-수평 비를 관찰하여 연령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10세, 12세, 14세 모두에서 경추 하연의 만곡도는 골격 형태가 수직적인 군에 비해 수평적인 군이 더 컸으나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2세의 수평적인 군은 수직적인 군보다 제 3경추와 제 4경추의 수직-수평 비가 유의하게 더 컸으나, 10세와 14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2세에서 각 군의 SUM, FMA, 수직-수평비 사이에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경추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THE SKELETAL MATURITY OF CERVICAL VERTEBRAE OF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양규호;최남기;최봉선;이영준;류선열;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8-113
    • /
    • 2004
  •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성장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8-12세 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진단 석고 모형과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기준으로 정상교합자 172명,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191명 총 363명을 분류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수직 수평 길이의 비를 측정해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2{\sim}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는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2.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3{\sim}6$ 경추의 수직 수평 길이의 비도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3. 제$2{\sim}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제$3{\sim}6$경추의 수직 수평 길이의 비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성장에 차이가 없음을 시사하였다.

  • PDF

측두골 골종 1 례 (A Case of Osteoma of the Temporal Bone)

  • 이경신;구승룡;조순흠;정채식;고광련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7.4-17
    • /
    • 1983
  • 골종은 1586년 Veiga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는데 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학설로 남아 있는 상태이다. 진성의 골종은 주로 유양돌기나 측두골에서 나타나지만, 그 예가 비교적 희귀하다고 하겠다. 이 골증은 양성으로서 서서히 커지며 성숙된 골세포에 의하여 구성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치료는 환자에게 증상이 나타날 때 그 적응이 된다. 저자들은 우측 측두골의 골종으로 약 18년간 이후부의 계속적인 종창, 골부 외이도의 폐쇄, 농성이루 및 청력감소를 초래한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