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피복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논에서 콩 재배시 보릿짚 시용과 경운방법에 따른 토양 물리성과 수량 (Effects of Barley Straw Application and Tillage Method on Soil Physical Property and Soybean Yield in Paddy Field)

  • 이상복;김병수;강종국;김선;김재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593-598
    • /
    • 2006
  • 보리 후작 평야지 논에서 콩 안전 재배기술을 확립코자 보릿짚 시용 후 무경운, 경운로타리 등 경운방법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릿짚 시용으로 경운 유무에 관계없이 토양 중 유기물함량, 총질소, 인산 및 치환성 양이온 등이 증가하였다. 2. 토양물리성 중 공극과 토양수분함량은 경운로타리 > 로타리 > 경운로타리 후 보릿짚피복 >보릿짚소각 후 경운로타리 > 무경운 순으로 높았다. 3. 보릿짚 분해율은 파종후 30일째까지 빨랐고 그 이후는 서서히 분해되었으며, 얕게 매몰된 무경운이 경운로타리보다 빨리 분해되었고, 잡초발생량은 무경운과 보릿짚 피복에서 관행대비 각각 36%, 40% 억제되었다. 4. 콩의 뿌리활력과 근류형성능 및 콩 개화기의 생육은 무경운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보릿짚 시용 후 경운로타리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5. 수량은 볏짚시용 후 무경운 처리에서 3,070 kg/ha으로 보릿짚 소각한 관행에 비하여 19% 증수되었으나 경운로타리는 관행수준이 었다. 따라서 평야지 논에서 콩 재배시 강우가 잦을 경우 보릿짚 시용 후 경운로타리는 토양과습을 더욱 조장하므로 무경운 골 작조 후 재배함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보리를 이용한 벼 건답직파논에서의 잡초억제 효과 (Weed Control by Suppression Ability of Barley as Cover Crop in Dry Direct Seeded Rice Fields)

  • 황재복;박성태;송석보;정기열;이용환;남민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7-182
    • /
    • 2010
  • 벼 건답직파 논에서 보리를 산파한 후 벼를 요철골 건답직파를 하여 파종시기별 피복작물에 따른 잡초발생량 및 벼의 생육 및 수량을 살펴 본 결과, 벼의 입모수는 $m^2$당 104~112개로 건답직파 적정입모수 90~130개 확보에 큰 문제는 없었다. 보리의 입모수는 4월 10일 $m^2$당 634개 이었고, 담수시 건물중이 146g으로 90% 피복되었다. 쌀 수량은 4월 10일 보리를 이용한 파종구에서 401kg $10a^{-1}$, 4월 30일 보리와 제초제 1회 파종구에서는 517kg $10a^{-1}$로 관행대비 77~99%이었으며, 잡초방제가는 77~87%이었다.

초기 골 접촉이 없는 수산화 인회석 피복 임프란트 주위 골의 치유 (Healing of the Bone around Hydroxyapatite-Coated Implants without Primary Bone Contact)

  • 조형수;신광용;김흥중;박주철;한경윤;김병옥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415-433
    • /
    • 1999
  • Implant stability is the key to long-term successful outcome for osseointegrated implants. To evaluate the initial healing response of bone around HA-coated implants without primary bone contact. 21 HA-coated thread type implants(STERI-OSS?) were placed in the femurs of 5 mongrel dogs, about 1-year old. Implants, 8 mm in length and 3.8mm(experimental 1group), 5.0mm(experimental 2group) and 6.0mm(control group) in diameter, were inserted after 3 holes of 6.0mm in diameter and 10mm in depth were prepared in the surgical sites each dog. Implants were supported by only nonresorbable membrane($Teflon^{(R)}$), in order to prevent the ingrowth of upper soft tissue into the gap between bone and implant, and to maintain each implant to be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drilled hole. 9 implants with different diameters were inserted in 3 dogs for histologic observation, and 12 implants were inserted in 2 dogs for mobility test and removal torque test. Fluorescent dyes were injected for the observation of new bone formation in order of $Terramycin^{(R)}$, Arizarin $Red^{(R)}$, and $Calcein^{(R)}$ at an interval of 2 weeks. 3 dogs were sacrificed for histologic observation at 4, 8, and 12-week after placement. Light microscopy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were used to qualitatively characterize the bone around HA-coated implant. 2 dogs were sacrificed for mobility test($Periotest^{(R)}$, Simens AG, Bensheim, Germany) and removal torque test($Autograph^{(R)}$ AGS-1000D series, Japan) at 8 and 12-week after plac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istologic observation showed that osseointegration occurred to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s time lapse, but delayed bone healing was revealed in 3.8mm group (experimental 1group), compared to contrtol group and 5.0mm group (experimental 2group). 2. The mobility 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had no distinguishable movement during experimental periods of 8 and 12-week,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bility depending on the gap between bone and implant, and time lapse. 3. The removal torque forces were increased depended on the gaps decreasing between bone and implant, and time lapse. The results suggest that HA-coated implant without primary bone contact, based on guided bone regeneration could obtain its stability in all experimental groups as time lapse, but bone healing was delayed in experimental group of 3.8mm. And the results suggested that studies on correlationship between mobility test and removal torque test for implant stability would be necessary.

  • PDF

Fibronectin type III 7-10 이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biological effects of fibronectin typeIII 7-10 to MC3T3-E1 osteoblast)

  • 홍정욱;최상묵;한수부;정종평;류인철;이용무;구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143-160
    • /
    • 2002
  • 타이태늄은 뛰어난 생체적합성과 적절한 물리적 성질을 바탕으로 치과 및 정형외과 영역의 매식재로 널리사용되어져 왔으며, 골과 매식재 사이의 골 융합 정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물리,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타이태늄의 표면처리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부착단백질 또는 성장인자를 이용한 생체재료의 표면개질을 통하여 조직적합성 및 치유 능의 개선을 위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Fibronectin(FN)은 주요 세포외기질중의 하나로 생체 내 널리 분포하여 세포의 부착, 이동 및 증식에 관여하는 거대 당단백으로, RGD및 PHSRN 펩타이드 서열이 세포의 인테그린과 결합하여 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FN으로 처리된 타이태늄이 조골세포의 부착,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석회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부착분자를 이용한 타이태늄 표면개질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상업용 순수 타이태늄을 gold thiol법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후, 혈장 FN(plasma FN, pFN)과 유전자재조합법을 이용하여 얻은 FN조각(FN type III 7-10, FNIII 7-10)을 피복한 시편을 실험군으로,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것(smooth surface, SS)과 산 부식(Sandblasted and acid etched, SLA)처리된것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배양된 조골세포주(MC3T3-E1)를 사용하여 타이태늄 표면 처리에 따른 세포의 증식, 형태변화,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Pase) 생산 및 세포면역형광법을 이용한 분화정도를 시간 경과에 따라 관찰하였다. 조골세포증식의 경우 FNIII 7-10 처리군에서 pFN 처리군 및 대조군에 비해 시간경과에 따라 유의성있는 세포수의 증식이 관찰되었으며(p<0.05), ALPase 생성의 경우에도 FNIII 7-10 처리 군에서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효소의 생성이 관찰되었다(p<0.05).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세포의 형태관찰결과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군에서는 마름모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산 부식 처리된 군에서는 세포가 가시모양의 형태를 보인 반면 FN으로 처리된 두 군에서는 세포의 부착 및 펴짐이 매우 발달되어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세포의 분화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국소부착키나제(focal adhesion kinase, FAK), 및 actin stress fiber의 분포양상을 세포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FN으로 표면처리된 두 군에서 아무런 처리도 하지않은 군 및 산 부식처리 한 군에 비해 프라크의 발현이 높게 나타났으며 잘 발달된 actin stress fiber의 소견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의 결과들은 gold thiol 법을 이용한 표면처리 후 FN부착을 통한 타이태늄의 표면개질이 조골세포의 부착, 증식 및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석회화 정도를 촉진시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런 결과들은 더 짧은 FN조각을 이용한 다른 생체재료의 표면개질에 폭 넓게 응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견갑부에 발생한 기관지기원낭종 - 1예 보고 - (Bronchogenic Cyst of the Shoulder - A Case Report -)

  • 이동주;문경호;정재호;오인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1-154
    • /
    • 2009
  • 기관지기원낭종은 primitive foregut의 발생학적 이상에 의해 형성되는 드문 질환이며, 주로 폐실질과 종격동에 발생한다. 피부나 피하조직에서 발생한 기관지기원낭종은 흔하지 않으며, 이 중 견갑부에 발생한 것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20개월 된 남아의 좌측 견갑부에 발생한 기관지지원 낭종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아는 피부과에서 절개 생검 및 소파술을 시행 받았고, 표피 낭종으로 진단되었다. 하지만 상흔 치유 도중 추가적인 낭성 종괴가 촉진되었다. MRI상 피하조직에 경계가 분명한 낭성 종괴가 관찰되었다. 절제된 낭종은 점액세포를 동반하는 pseudostratified ciliated columnar epithelium로 피복되어 있었으며, 기관지기원낭종으로 진단되었다.

  • PDF

비골 원위부 골아세포종 - 증례보고 - (Osteoblastoma of the Distal Fibula - A Case Report -)

  • 박혜림;민수기;조현득;고성혜;권봉철;박용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4-38
    • /
    • 2004
  • 저자들은 32세 남자에서 비교적 드문 부위인 비골 원위부에서 발생한 골아세포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단순 방사선 소견상 내부 육주현상(trabeculation을) 동반한 풍선양 확대 병변으로 관찰되었다. 자기공명영상촬영 검사상 불균질성 저신호 강도의 중심부를 갖는 소엽상 팽창성 병변이 관찰되고 이는 조영 증강이 되었다. 소파술 시행 결과 석회화를 동반하지 않은 풍부한 분홍색의 유골로 구성되었고 유골 봉합선(seam)은 통통한 골아세포 및 소수의 거대 세포로 피복되어 있었다. 국소적으로 레이스 모양의 석회화되지 않은 유골이 관찰되었다.

  • PDF

입천장성형술 시 발생한 골 노출부의 피복을 위한 협지방대 유경피판의 경험 (Clinical Experience of Buccal Fat Pad Pedicled Flap for Denuded Area in Palatoplasty)

  • 김치선;박명철;박동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31-36
    • /
    • 2010
  • Purpose: The primary goal of palatoplasty is to enable normal speech with harmonious growth of face. Some children who had palatoplasty display typical findings of transverse maxillary deficiency requiring orthodontic widening of the maxilla. Levi (2009) described a cleft palate repair coupled with pedicled buccal fat pad flaps to cover bone exposed areas of the hard palate. Hence we report clinical experiences of cleft palate repair using pedicled buccal fat pad flap. Methods: Four Veau class II and a Veau class I cleft palate patients underwent palatoplasty with buccal fat pad flap by single surgeon from April 2009 to August 2009. Two patients received 2-flap palatoplasty and three patients 1-flap palatoplasty, respectively. After the cleft palate repair, sharp mosquito scissors was placed in the superior buccal sulcus just lateral to the maxillary tuberosity and inserted directly through the mucosa resulting in buccal fat pad extrusion. The elevated flap was moved to cover mucoperiosteal defect in hard palatal area. Results: Five patients underwent primary palatoplasty using buccal fat pad flap. Flap harvest and inset took on average 9 minutes per flap. Mucosal epithelization took 18 days on average. No patients had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buccal fat pad flap. Conclusion: Buccal fat pad pedicled flap has significant potential to function as an added vascularized tissue layer in cleft palate repair and we can expect better growth of maxilla with this method although longer duration of follow-up was unavailable.

백서 두개골 결손부에서 Ca-P 피복된 이종골의 골재생 효과 (The effect of the Ca-P coated DBBP on osseous regeneration in the rat calvarial bone defect)

  • 성선주;정현주;박홍주;김옥수;김영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475-487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deproteinated bovine bone powder (DBBP) coated with calcium phosphate (Ca-P) on osseous regeneration in the calvarial bone defect of rat. Materials and Methods : The DBBP (Control group, n=6) and the Ca-P coated DBBP (Experimental group, n=6) were grafted in the critical sized calvarial bone defect (8 mm) of rat weighing 250 g.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1, 4 week. The biopsy specimens were decalcified with 5%formaldehyde and embedded in paraffin. The rats were sacrificed at 8 week received tetracycline (1 week), calcein blue (4 week), and alizarin red (7 week), and the biopsy specimens were taken. The specimens were embedded in methylmethacrylate and ground to 10 ${\mu}m$ thin sections were made. All of the specimens were stained with H & E and Masson's trichrome and examined under light microscope. The specimens at 8 week were examined under fluorescent microscope. Results : In the Control group, the grafted DBBP was surrounded with connective tissue, and osteoblasts were observed partially around the grafted particles at 1 week. At 4 week, some osteoid was observed and, new bone formation was observed at the periphery of grafted materials at 8 week, In the Experimental group, some osteoid was seen at the periphery of the grafted Ca-P coated DBBP at 1 week, and osteoblast and newly formed bone were observed around the grafted materials. At 8 week, newly formed bone was observed at the periphery of the grafted material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P coated DBBP group was more and faster than DBBP group in new bone formation and Ca-P could contribute to enhance bone formation in the critical sized calvarial bone defect of rat.

근위 경골 골육종의 종양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후의 기능 평가 (Functional Result of Limb Salvage Surgery with Tumor Prosthesis for Osteosarcoma of Proximal Tibia)

  • 박원종;손종민;정양국;강용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39-143
    • /
    • 2001
  • 목적 : 근위 경골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에 따른 재건술은 적절한 연부 조직의 피복(cover age), 슬관절 신전 장치(knee extensor apparatus), 특히 슬개건의 견고한 재부착이 어려워 슬관절의 기능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근위 경골의 골육종으로 광범위 절제 후 종양 대치물 삽입으로 사지 구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기능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4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경골 근위부의 골육종으로 확진된 후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술 받은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명, 여자가 5명이었으며, 환자의 나이는 15세에서 65세로 평균 23.7세였다. 추시 기간은 최단 1년에서 최장 4년 6개월로, 평균 2년 5개월이었다. 최종 기능평가는 1993년 국제 사지 보존 회의(International Symposium On Limb Salvage; ISOLS)에서 수정 보완한 방법을 이용하여 동통, 기능(functional activity), 환자의 정서적 만족도(emotional acceptance), 보조기 사용여부(use of external support), 보행 능력(walking ability), 그리고 보행 상태(gait)등 여섯 가지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각각의 요소를 최하 0점에서 최고 5점으로 하고 그 중간을 정도에 따라 1, 2, 3, 4점으로 점수화하여 정상 기능에 대한 백분율(% )로 표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기능 평가 성적은 정상 기능에 대해 최고 86.7%에서 최저 53.3%로 평균 68.3%를 나타냈으며, 세부적으로 보면 동통이 82.5%, 기능이 62.5%, 정서적 만족도가 67.5%, 보조기 사용여부는 77.5%, 보행능력은 62.5%, 보행상태는 57.5%였다. 슬관절의 평균 운동범위는 신전 5도, 굴곡 85도였으며, 5례에서 최소 5도, 최고 15도, 평균 10도의 신전 제한(extension lag)을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2명에서 수술 후 감염 소견을 보였으며 1명은 항생제 치료로 호전되었으나 다른 1명은 종양 구조물 제거 후 관절고정술로 전환이 필요하였다. 결론 : 경골 근위부의 골육종 환자에서 광범위 절제 후 종양 대치물 삽입에 의한 사지구제술의 기능 평가 성적은 감염이 합병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나, 동통 소실, 보조기 사용여부에 비해 슬관절의 부분 강직 및 extension lag로 인해 기능, 정서적 만족도, 보행등에서 덜 만족스러웠다. 임상적으로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해 수술 후 대퇴사두근 강화 운동 및 굴곡 운동 등의 적극적인 재활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