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풀과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creening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various weeds (다양한 잡초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 Kang, Byeong-Hoa;Ryoo, In-Ja;Park, Dong-Jin;Lee, Hyun-Sun;Kim, Young-Ho;Yoo, Ick-Dong;Kim, Chang-Ji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9 no.5
    • /
    • pp.409-413
    • /
    • 1996
  • To search for bioactive compounds from plant resources, 80% methanol extracts of 46 species of weeds were screened for their activities of antimicrobial, antioxidative, antiblebing, antitumor and herbicidal. Among extracts tested, some showed activities at the concentration of $50\;to\;100\;{\mu}g/ml$.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Aster ageratoides, Centipeda minima, Cirsium pendulum, Lythrum ancep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Penthorum chinense, Lindernia procumbens, Aster ageratoides,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showed antiblebing activity. Ph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Lindernia procumbens, Aster ageratoides,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Viscum album var. coloratum showed antitumor activity.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Hypericum ascyron, Juncus papillosus, Inula britannicar var. chinensis, Scirpus wichurae, Hypericum laxum showed antioxidant activity.

  • PDF

Hydrophytes Flora of Seven Swamp Inland in Korea (우리나라 7개 내륙습지의 수생식물 분포상)

  • Kim, Yoo Sun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7 no.1
    • /
    • pp.52-61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floras and circumstances of Korean swamp inland. The floras of 7 swamp inland were 32 families, 49 genus and 69 species. They are accounted for 23% with 16 species of Cyteraceae, one group of annual herbaceous plants, and 6 groups of perennial herbaceous plants (Scirpus tabernaemontani, Phramites communis, Zizania latifolia, Persicaria thunvergiicsiebold, Typha latifolia, Juncus krameri, and Juncus effusus). The plants of Scirpus tabernaemontani, Phramites communis, Zizania latifolia, Persicaria thunvergiicsiebold, Typha latifolia, Juncus krameri, and Potagometon distinctus turnes out a dominant species.

Investigation on the Content and the Existential Form of Heavy Metals in Plants and Soils surrounding Ruined Mine (폐광산(廢鑛山) 주변(周邊) 토양(土壤) 및 식물체(植物體)의 중금속(重金屬) 존재형태(存在形態)와 함량조사(含量調査))

  • Jung, Sang Sub;Park, Chang Dong;Kang, Sang Jai;Park, Woo Churl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11
    • /
    • pp.111-120
    • /
    • 1993
  • We investigated in the existential forms of heavy metals and their distribution in plant and soil surrounding ruined mine in Daduk area. The content of heavy metals in soils was more plentiful in A soil than that in another soil, excepting only Mn. The content of Mn in soils was greater in B soil than those in another soils. The content of each heavy metals, according to existential form, had different patterns on the comparision of each elements ; organic-form on Cd and As, Carbonate-form Cu, Pb and Mn and Residual-form on Fe and Zn. The popularity ration of M. senensis and J. decipiens were about 65% and 72%, respectively, and which means that these plants had resistances to heavy metals.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absorbed in root was higher than those of stem except Mn, In M. sinensis, the contents of Zn in root was similar to that of stem. To study the heavy metal contents in water, the highest content of heavy metal, mainly Fe, Mn and Zn, were calculated in extracting water.

  • PDF

Competition - Ec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Prominent Paddy Weed Species around Bulrush(Scirpus juncoides) (올챙고랭이(Scirpus juncoides)를 중심으로 한 주요(主要) 논 잡초종(雜草種)의 벼 경합생태적(競合生態的) 분류(分類))

  • Guh, J.O.;Heo, S.M.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5 no.2
    • /
    • pp.96-102
    • /
    • 1985
  • A study on the competition-ec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10 prominent paddy weed species around bulrush (Scirpus juneoides) to simplify the weed problem concept for the rice production. A serial assessments on the competition ability in space and dry matter production(nutrient depletion) of respective weed species and paddy rice, and the data were used to compute the phenotypic similarity by Single Link Clustering method. Both growth response of weed species in mono- and under the paddy rice standing was very similar (r = 0.969), but the reduction rate as affected by paddy rice stand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bility in space-competition(r=-0.513). Dendrogram of 10 weed species based on the phenotypic similarity computed in 4 characters in mono- and under the paddy rice standing was also similar, as Echinochloa c., Ludwigia p., Cyperus s., and Scirpus m. in I-group, Eleocharis k., Scirpus j, in II-group, and Juncus e., Potamogeton d. in III-group, respectively. Also, that of paddy rice to 10 weed species showed Fimbristylis m., Scirpus j., Eleocharis k., Scirpus m., Juncus e. in I-group, and Ludwigia p., Potamogeton d., Monochoria v. in II-group, respectively. The integrated dendrogram by the above two data indicate the I-group with Fimbristylis m., Scirpus j., Eleocharis k. and Juncus e., as higher growth response with relatively lower competition ability to paddy rice, II-group with Cyperus s., Echinochloa c., Potamogeton d., and Ludwigia p., as higher both in growth and competition, and the last, III-group with Monochoria v., and Scirpus m., as lower growth but higher competition, respectively.

  • PDF

Effects of Transplanting Dates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Stem Yield in Mat Rush(Juncus effusus L. var. decipiens, Bush) (골풀 정식시기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변이)

  • Kwon, Byung-Sun;Lee, Jung-Il;Son, Eung-Ryong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2 no.3
    • /
    • pp.317-322
    • /
    • 1987
  • In order to find out the optimum transplanting date of mat rush, this study was investigated ecological characters, yield components and yield of three varieties (Okayama#2, Sajanami and Sedo #4) at 5 transplanting dates(October 25, November 5, November 15, November 25 and March 5). As transplanting date was delayed, the flowering date and maturing date was delayed also and stem length was longest in October 25 transplanting but it grew short in the late transplanting. Number of stems per plant was increased most in October 25 transplanting, that is, increased to 143 in okayama#2, 138 in Sedo#4 and 135 in Sajanami, and it was decreased in the late transplanting. Fresh stem yield and dry stem yield were heaviest in October 25 transplanting, and it was light in the late transplanting. Judging from the results reported above, in optimum transplanting date of mat rush seemed to be before the October 25.

  • PDF

용담댐 건설로 인한 금강 상류의 하천환경변화 분석 III - 생태변화분석 -

  • 이승현;정동양;정승권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77-981
    • /
    • 2004
  • 댐 건설로 인한 인위적인 당류량 조절은 댐 하류지역에서 홍수 피해저감에 기여하고 있지만, 자연적인 유출 리듬이 파괴되며 유속, 수심, 건조지 확대와 같은 수량의 변동과 용존산소량, 영양염류, pH 같은 수질 변화, 그리고 하천 형태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하천에서의 생물 서식공간은 산림 등 육지 지역과는 단리 무엇보다 하천의 유체역학적인 영향을 받아 형성되고 발달한다. 인위적인 댐 방류량은 하류지역의 건조 면적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하천 형태가 변화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댐 건설로 인하여 자연적인 홍수 유출이 급감하게 되면 건조면적이 확산되어 수변식물과 어류의 서식처 환경 변화를 유발하여 기존의 생태 균형이 파괴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댐 건설로 발생되는 피해를 분석한 연구들을 분석해 보면, 수량 및 수질 변화에 대하여는 많이 제시하고 있지만 생태변화에서는 정량적인 피해를 제시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용담댐 건설로 인한 하류구간의 수변식물과 어류를 대상으로 정량적인 피해를 분석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한 인위적인 유출량 감소가 댐 하류 8km 구간에서 수변식물과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용담댐 기점 약 5km지점(조사지점 I)인 전북 진안군용담댐 감동리 주변지역에서 수변식물과 어류 군집에 내하여 2003년 5월부터 7월까지 3회 조사하였고, 추가로 약 1km지점(조사지점II)인 전북 진안군 용담면 월계리 주변지역에서 수변식물을 중심으로 2003년 9월에서 10월까지 2회 조사하였다. 수변식물은 조사지점(I)인 5km지점에서는 전체적으로 13과 21종으로, 벼과가 4종, 국화과가, 3종, 버드나무과, 콩과, 마디풀과가 2종씩, 바늘꽃과, 속새과, 십자화과, 장미과, 사초과, 삼과, 현삼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 조사되었으며, 조사지점(II)인 1km지점에서는 15과 26종으로, 벼과가 4종, 마디풀과, 국화과가 3종, 버드나무과, 십자화과, 콩과가 2종씩, 바늘꽃과, 속새과, 자라풀과, 장미과, 사초과, 백합과, 현삼과, 골풀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으로, 조사지점( I )보다 좀 더 많은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어류는 조사지점( I )에서 3회에 걸쳐 총 396개체가 채집되어 3목 8과 21종이었다. 이 중 한국 고유종은 11종이었고, 외래 어종은 검정우럭과 2종이 조사되었으며, Zacco platypus(피라미), Zacco temmincki(갈겨니), Acheilongnathus koreanus(칼납자루), Odontobutis platycephala(동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쉬리)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Acheilognathus signifer(묵납자루)는 댐 건설 전에는 많이 분포하였으나 현장조사에서 서식을 확인 할 수 언어 개체수의 큰 감소내지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the rainfall harvesting system by using infiltration-storage in the catchment area (유역 침투-저류방식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의 효과 분석)

  • 최계운;정기일;윤용진;현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213-1218
    • /
    • 2004
  • 인류의 발전을 주도하였던 수자원은 현대에 이르러 음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등의 사용목적을 가지고 활용되는 한편 하천, 호수 등 자연환경과 어우러져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해주는 기능을 동반하여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수요 증가에 따른 개발증가로 수자원 부존량을 점차적으로 저하시키고 있고, 산업의 발전에 부가되는 환경 오염 등의 영향으로 현재 활용이 가능한 수자원의 양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직접유출량이 발생하는 포장 면적이 증가할수록 침투가 가능한 면적이 줄어들어, 강우시 발생하는 다량의 수자원을 활용하지 못하고 하천으로 방류하게 되므로 점차 수자원 부족 현상이 가시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적극적인 활용 대책의 마련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빗물을 받아 활용할 수 있는 빗물이용시설에 대한 연구와 실제 적용을 통해 수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유도하고 있으면, 국내의 경우 1990년대 중반부터 유출저감시설 연구 및 시범지역 적용을 시작으로 현재 빗물이용시설을 포함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빗물이용시설은 활용 면적에 따라서 건물의 옥상면을 통하여 유출되는 빗물을 저류하여 활용하는 방식과, 일정 면적에 내리는 빗물을 침투-저류하여 활용하는 두 가지의 방식으로 크게 구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법 중, 유역 침투-저류 방식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에서의 강우강도에 따른 유출량 및 저류량 변화를 분석하고 아울러 침투-저류 방식을 활용하는 경우, 수질 변화를 검토하는 실험을 통하여 유역 저류-침투방식을 활용한 빗물이용시설의 적용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적법의 불확실도 $5\%\~10\%$에 비교하여 $5\%$ 내외의 정확도 수준을 지니고 있어 정확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매년 측정사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비교하였을 때 장기적으로는 경제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천수 등의 상호 관계 분석을 통해 장기간의 유역 물순환체계 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다.골풀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으로, 조사지점( I )보다 좀 더 많은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어류는 조사지점( I )에서 3회에 걸쳐 총 396개체가 채집되어 3목 8과 21종이었다. 이 중 한국 고유종은 11종이었고, 외래 어종은 검정우럭과 2종이 조사되었으며, Zacco platypus(피라미), Zacco temmincki(갈겨니), Acheilongnathus koreanus(칼납자루), Odontobutis platycephala(동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쉬리)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Acheilognathus signifer(묵납자루)는 댐 건설 전에는 많이 분포하였으나 현장조사에서 서식을 확인 할 수 언어 개체수의 큰 감소내지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 PDF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ow Flow in the Cheonggecheon Watershed (청계천 유역 갈수량 측정 및 분석)

  • Noh, Seong Jin;Kim, Hyeon Jun;Jang, Cheol Hee;Kim, Dong Pil;Hong, Il 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67-1071
    • /
    • 2004
  • 도시 유역의 물순환 특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갈수량 자료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인구는 주로 치수분야에 한정되어 대부분의 자료 또한 홍수기에 대해서만 자료가 구축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갈수기에 내한 자료와 관련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계천 유역의 기존 수문자료를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 특성을 분석하고 갈수량을 측정하여 청계천 유역의 물순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청계천은 서울의 서북쪽에 위치한 인왕산과 북한산의 남쪽 기슭, 남산의 북쪽 기슭에서 시작하여 서에서 동으로 종로, 세운상가, 동대문 등 서울의 도심부를 흐르는 유로연장 13.75 km, 유역 면적 $50.96 km^2$의 도시하천으로 중량천의 제1지류인 지방2급 하천이며, 정릉친, 성북천을 제1지류, 월곡천을 제2지류로 포함한다. 청계천은 도시화로 인해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점차 복개되었다가 2003년 7월부터 5.9 km의 본류구간에 대한 복원공사가 진행 중이다. 청계천은 홍수기 이후 유량이 급격히 줄어 11월 이후에는 다음 홍수기까지 강바닥이 완전히 들어나는 일종의 간헐천으로 홍수기를 제외한 시기의 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 8개의 모니터링 지점을 선정하여 2003년 9월 이후, 월 2회 이상 갈수량 자료를 현장 측정${\cdot}$분석하였다. 청계천 유역은 복원공사 완공 후에는 유역의 물순환 특성이 대폭 바뀔 것이 예상되는 지역으로 본 연구에서 구축된 갈수량 자료는 청계천 유역의 물순환계 변화를 분석하고 건전한 물순환 체계의 유지${\cdot}$관리를 위한 기본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바늘꽃과, 속새과, 십자화과, 장미과, 사초과, 삼과, 현삼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 조사되었으며, 조사지점(II)인 1km지점에서는 15과 26종으로, 벼과가 4종, 마디풀과, 국화과가 3종, 버드나무과, 십자화과, 콩과가 2종씩, 바늘꽃과, 속새과, 자라풀과, 장미과, 사초과, 백합과, 현삼과, 골풀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으로, 조사지점( I )보다 좀 더 많은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어류는 조사지점( I )에서 3회에 걸쳐 총 396개체가 채집되어 3목 8과 21종이었다. 이 중 한국 고유종은 11종이었고, 외래 어종은 검정우럭과 2종이 조사되었으며, Zacco platypus(피라미), Zacco temmincki(갈겨니), Acheilongnathus koreanus(칼납자루), Odontobutis platycephala(동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쉬리)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Acheilognathus signifer(묵납자루)는 댐 건설 전에는 많이 분포하였으나 현장조사에서 서식을 확인 할 수 언어 개체수의 큰 감소내지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 PDF

A Preliminary Study on a Restoration of Habitats for Nannophya pygmaea Rambur (Odonata: Libellulidae) (꼬마잠자리(Nannophya pygmaea Rambur: Libellulidae, Odonata) 서식처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

  • Lee, Eun-Heui;Jang, Ha-Kyung;Park, Min-Young;Yoon, Ji-Hyun;Kim, Jae-Geun;Bae, Yeon-Ja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1
    • /
    • pp.35-42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restore habitats of Nannophya pygmaea. Nannophya pygmaea is an endangered species of wildlife fauna in Korea and its habitats are distributed very scarcely in Korea. Ten wetland sites throughout Korea, where N. pygmaea inhabited (2 sites in Incheon Muui-do, 1 site in Gokseong Singi-ri, 4 sites in Gokseong Wolbong-ri, and 3 sites in Mungyeong Yulsu-ri) were investigated from June 2006 to August 2007. Investigation was made on landscape properties, habitat sizes, vegetation types, water environments, and water sources. N. pygmaea was generally found in the abandoned paddy fields surrounded by mountains. The habitats ranged from $113.4m^2$ to $1,153.1m^2$ in area, and were mostly dominated by Juncus effusus and Persicaria thunbergii. The water level was $2.6\sim7.3cm$, and the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16^{\circ}C$ to $27.8^{\circ}C$. The elevation of the habitats ranged from 139 to 243 m above sea level, which was mostly lower than that of other high mountain wetland habitats. In conclusion, the habitats of N. pygmaea can be restored at wetlands, which have similar condition with field habitat such as abandoned paddy fields in the beginning stage of oligotrophy. Because N. pygmaea is sensitive to microtopography and other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approach to restore the habitats for N. pygmaea should consider those microhabitat conditions shown in this study.

Flora of Natural Mashes in Wondae-ri (Inje-gun, Kangwon-do)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 자연습지의 식물상)

  • Park, Wan-Geun;Yoo, Seok-In;Park, Kwang-Se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16 no.1
    • /
    • pp.50-68
    • /
    • 2000
  • This study was to estabilish the composition and vegetation of vascular plants on natural mashes in Wondae-ri(710m: $37^{\circ}$ 58' 30" N, $128^{\circ}$ 12' 15" E), This work was conducted from April to October, 1999.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71 families, 175 genera, 228 species, 1 subspecies, 33 varieties and 3 formae, totaling 265 taxa. Among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19 families, 24 genera, 31 species, 5 varieties, 1 formae, totaling 37 taxa (13.9%) were hydrophytes and hygrophyte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community and 2 subcommunities ; A.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A-1. Salix gracilistyla-Impatiens noli-tangere subcommunity A-2.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Artemisia capillaris subcommun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