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질

Search Result 13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생체아파타이트(Biological Apatite: BAp)의 결정학적 배향성을 지표로 한 골질(bone quality) 해석과 응용

  • Lee, Ji-Uk;Park, Heon-Guk;Nakano, Takayoshi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13.2-13.2
    • /
    • 2011
  • 뼈의 역학기능을 예측하는 인자(predictive factor) 로서 골밀도(BMD)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최근의 임상결과는, 골밀도 이외의 새로운 뼈의 강도 및 골절리스크를 지배하는 인자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골역학기능에 대한 골밀도 이외의 부가적인 지배인자를 골질(bone quality)이라고 하는데, 다양한 골질관련인자(bone quality-related factor) 중 하나의 지표로서 뼈의 주성분인 생체아파타이트(BAp)의 결정학적 방향성에 주목, 대표적인 경조직 질환을 해석하였다. 파골세포결손에 의해 대리석증을 유발하는 op/op마우스는 골밀도의 변화뿐만 아니라, 골질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즉, 이와 같은 결과는 파골세포결손에 의한 조골세포의 활성저하의 의해 골질이 저하됨을 시사하는 결과이며, 파골세포 과잉의 의해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OPG-KO마우스는 골밀도가 급격히 저하됨과 동시에, BAp배향성도 급격히 낮아졌다. 즉, 골대사회전의 상승에 따른 섬유성골(woven bone)의 형성에 의해 BAp의 결정성장이 억제되며, 그 결과 BAp배향성이 저하된다고 사료된다. 이상,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골 질환조직을 각각의 정상골과 비교함으로써, 골양(BMD)의 변화뿐만 아니라 골질(BAp배향성)의 변화를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골질지표로서 BAp배향성이 유효하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 의해 얻어진 견해는 경조직 질환의 병리해명에 적용 가능함과 동시에, 경조직 질환의 진단 응용이나 치료약 개발, 임플란트 개발 등 폭넓은 분야에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Content Among Adolescents in Seoul (서울시 일부 청소년의 골질량 관련요인)

  • Shin, Sang-Ah;Hong, Kyung-Eui;Choi, Hyun-Jeong;Roh, Ji-Hyun;Joung, Hyo-Je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1 no.2
    • /
    • pp.156-16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contents (BMC) at os calcis of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604 students (327 boys and 277 girls) between 7th and 9th grade in Seoul, Korea. The mean age was 14.2 ${\pm}$ 0.9 year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bone mineral contents (BMC) were measured in os calcis by Duel Energy X-ray Absorptiometry (PIXI, General Electronics, USA) and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method (Inbody 4.0, Biospace Co. Ltd, Seoul, Korea). Mean BMC of os calsis were 2.241 g. Height (p <.0001), weight (p <.0001I), BMC (p <.0001I) ofboys were higher than those of girls. Percent body fat of girls, however, was higher than that of boys (p <.0001). Anthropometric measurement, pocket money, sibling, experience of fracture, pubertal stage, intake of supplements, physical or outdoors activity, and eating habi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BMC of boys. Anthropometric measurement, physical or outdoors activity, and eating habi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BMC of girls. Multivariate regression with adjustment for sex and age showed that BMC was associated positively with height, BMI, frequency of regular activity, and intake of spinach or radish leaves (all p <0.05), and negatively with percent body fat (p <.0000 and Korean traditional diet pattern (p = 0.01).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adolescents to improve BMC and prevent osteoporosis.

Geographic Variation of Lamina Circularis in Cobitis longicorpus (Pisces: Cobitidae) (왕종개 Colitis longicowus (Pisces: Cobitida티 골질반의 지리적 변이에 관하여)

  • 김종범;김재야양서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4 no.1
    • /
    • pp.103-109
    • /
    • 1991
  • 한국 특산종 Cobitis longicorpus (왕종개)의 주요 분류형질인 골절반의 지리적 변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남한의 12개집단 205개체를 이용, 골질반의 type분석과 계수학분석을 실시하였다. Type분석 결과, 동해유입하천집단(영덕의 송천, 축산천, 경주 형산강, 울주 회야강)의 골질반은 등근 삼각형, 삼각형, 인각형으로 남해 유입하천 및 도서집단의 타원형, 반타원형, 부채꼴과 구별되었다. 골질반의 계수화분석 결과에서도 동해유입하천의 골질반 폭은 비교적 좁아 남해유입하천 및 도서지방과의 평균 CD값이 1.64로 새종 수준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아울러 조사, 비교된 제 1 체측반문도 동해유입하천에서는 C. longicorpus의 특징이 전혀 나타나지 않아, 원기재질단인 섬진강집단을 포함한 남해유입하천 및 도서집단과 구별된 새종수준의 종분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Bone Health Awareness, Knowledge and Bone Mass Improve Behaviors among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간호대학 여학생의 골 건강 인지, 골 건강 지식 및 골질량 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 Shin, Kyoung-Sook;Kim,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8
    • /
    • pp.277-286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bone health awareness and knowledge and the bone mass-improving behaviors of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172 nursing students attending nursing colleg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6 to April 4, 2020, by using bone health awareness, bone health knowledge, and bone mass-promoting behavior assessment tools. Descriptive statistics are presented, and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tudents' bone health awareness was 1.79, bone health knowledge was 8.86, and bone mass-promoting behavior level was 2.78.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bone mass-promoting behavior level and age of menarche (r = 0.21, p = .004) and sun exposure (r = 0.44, p < .000). Also, bone mass-promoting behavior level and knowledge of bone health were negatively correlated (r = 0.21, p = .005).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knowledge of bone health (β = 0.21, p = .005), age of menarche (β = 0.20, p = .005), and sun exposure (β = 0.38, p < .000)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bone mass-promoting behaviors and their variance explanation power was 20.6%.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 to improve knowledge of bone health will help to improve bone health and increase bone mass-promoting behaviors among young women.

Occurrence in a Female of the Endemic Korean Spined Loach Iksookimia longicorpa (Pisces; Cobitidae) of a Laminar Circularis at the Base of Its Pectoral Fin (골질반을 가지고 있는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 (Pisces; Cobitidae) 암컷의 출현)

  • Ko, Myeong-Hun;Park, Jong-Young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0 no.3
    • /
    • pp.233-235
    • /
    • 2008
  • A 123.2 mm TL female of Iksookimia longicorpa with a laminar circularis at the base of its pectoral fin was collected in the Hoeya River, Korea, on May 5, 2008. The specimen had full-grown ovaries like those of normal females. Its pectoral fins were larger than those of normal females, but was smaller than those of males. The laminar circularis of the pectoral fin base was more similar to normal males in its shape but was less developed. The ovaries in the individual had about 3,148 mature eggs, with egg sizes approximately $1.26{\pm}0.11mm$.

Jahage, Hominis Placenta(HP), suppress bone resorption by inhibition of tyrosine kinase Src, cycloozygenase expression and PGE2 synthesis (자하거의 tyrosine kinase Src, cyclooxygenase 발현, PGE2 합성 등의 저해를 통한 골질재흡수 억제효과)

  • Yang, Jeong-Min;Lee, Tae-Kyun;Kim, Dong-Il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20 no.4
    • /
    • pp.56-73
    • /
    • 2007
  • Purpose: 이 실험은 골다공증의 치료약물로 자하거의 골질재흡수 억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Methods: 자하거의 골질재흡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쥐의 두개골 골모세포를 이용하여 Cyclooxygenase-1(COX-1), COX-2, $TGF-{\beta}$, $L-1{\beta}$, $TNF-{\alpha}$, IL-6, prostaglandin E2등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골조직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Results: 자하거는 $IL-1{\beta}$, $TNF-{\alpha}$, IL-6 또는 그 세가지의 조합에 의하여 유발된 PGE2의 생성 뿐만 아니라 COX-2 mRNA 수치도 감소시켰으나 COX-1 mRNA 수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로써 자하거는 시험관내에서 그리고 생체내에서 펩티드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골의 재흡수를 저해하였다. 그리고 자하거는 생쥐에서 $IL-1{\beta}$에 의해 유발된 고칼슘혈증을 감소시켰고, 골의 재흡수를 저해하는 경로를 통하여 골에 대한 보호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조기에 난소 절제한 쥐에서 골질감소와 미세구조적 변화를 부분적으로 방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GE2 생성에 대한 $IL-1{\beta}$, $TNF-{\alpha}$, IL-6사이의 상승효과는 COX-2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한 결과이며 이러한 tyrosine kinase가 생쥐의 두개골 골모세포에서 COX-2의 신호전달에 관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Conclusion: 자하거가 생쥐의 두개골 골모세포에서 여러 신호전달물질의 활성화를 통하여 골질재흡수를 저해하는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앞으로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추가적인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inhole Bone Scintigraphic Appearances of Osteoid Osteoma (유골골종의 바늘구멍 조준기 골스캔)

  • Kim, Jee-Young;Chung, Soo-Kyo;Park, Young-Ha;Kim, Sung-Hun;Shinn, Kyung-Sub;Bahk, Yong-Whee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26 no.1
    • /
    • pp.160-163
    • /
    • 1992
  • 유골골종(osteoid osteoma)은 특징적으로 직경 약 1cm미만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유골질제부(nidus)가 병소의 중심부에 있고, 그 주위는 반응성골질로 둘러싸여 있다. 그러므로 반응성골질 병소에서 제부의 확인은 유골골종의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 더우기 유골골종의 치료는 반드시 제부를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부의 위치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유골골종의 제부는 단순 X-선 촬영상에서 잘 안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골스캔도 유골골종의 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단순 신티그램에서 제부의 정확한 위치 파악은 어렵다. 이에 저자들은 바늘구멍조준기 골스캔을 시행하여 유골골종 제부에는 아주 진한 동위원소 집적이 보였고 주위의 반응성 골질 부위에는 제부보다 약한 동위원소 집적이 보여 특징적인 '이중 농도 집적' 소견을 얻었기에 바늘구멍조준기 골스캔이 유골골종의 진단에 매우 유용한 검사로 사료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Short Dental Implants : A Literature Review and Rationale for Use (Short Implant에 대한 문헌 고찰과 임상 적용)

  • Kim, Yu-Lee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5 no.3
    • /
    • pp.287-292
    • /
    • 2009
  • The clinical use of several endosseous oral implants designs has become highly predictable in recent decades. Implant success critically depends both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mensions of the prospective host site and on the quality of the local bone. Implants shorter than 10 mm can be a long-term solution for sites with limited bone height. This article describes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outcome of short implants through a medline search. When surgical preparation is related to bone density, textured-surfaced implants are employed, operators' surgical skills are developed, and indications for implant treatment duly considered, the survival rates for short implants has been found to be comparable with those obtained with longer implants.

마우스 골재생모델의 제작방법 검토와 골질(bone quality) 및 골양(bone quantity) 파라미터의 해석

  • Lee, Ji-Uk;Kawahara, Keita;Nakano, Takayoshi;Kim, Seung-Eon;Yun, Hui-Suk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44.1-44.1
    • /
    • 2009
  • 최근 경조직 재생 (hard tissue regeneration) 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연구는 결손도입의 어려움 및 이차적인 골절의 위험성 때문에 대형동물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동물실험에 있어서 시간적 경제적으로 큰 리스크를 수반한다. 그러나 유전자 변형동물의 대부분은 마우스이며, 분자생물학적 관점에서 골재생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우스를 이용한 골재생 모델의 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를 통해 경조직 재생모델의 제작방법을 검토함과 동시에, 골재생부위에 대한 골질 (bone quality) 및 골양 (bone quantity) 평가의 방법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골결손은 생후 8주의 마우스에 시술하였다. 치과용 드릴을 이용하여 경골 (tibia) 길이의 30 % 부근의 내측(medial) 면에서 골수강 (marrow cavity) 방향으로 $500\;{\mu}m\varphi$의 원주형 결손을 도입하였다. 시술 후의 골재생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mu}CT$ (SMX-100CT: Simazu) 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촬영하였으며, 골양 (BV/TV) 의 회복과정은3D-bon (RATOC) 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재생부의 골질 (아파타이트 배행성; BAp orientation) 평가는 투과형micro-beam XRD (R-AXIS BQ: Rigaku)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