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증대술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임프란트치료와 골유도재생술

  • Kim, Byeong-Ok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9 no.10 s.389
    • /
    • pp.819-824
    • /
    • 2001
  • 충분한 골양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은 임프란트를 식립하는데 있어서 중요힌 선결조건이므로, 임프란트를 식립하기 전이나 식립하는 도중에 치조제의 높이와 고경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조직유도재생술 (Guided Tissue Regeneration, GTR)의 생물학적 원리에 기초를 둔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이 필요하다. 이 장에서는 임프란트치료시 골유도재생술을 이용하여 임프란트 주위의 골결손부에 대한 치료로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이식재의 종류와 그 임상적 응용, 그리고 결손부 주위에서 골 생성을 향상시크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Implant placement in severely atrophic mandible using alveolar ridge splitting procedure and small block bone graft: A case report of 4-year follow-up (심하게 위축된 하악 구치부에 치조제 분할술과 블록형 골이식술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4년 관찰 증례보고)

  • Kim, Na-Hong;Bang, Joo-Hyuk;Lee, Dong-Wo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y
    • /
    • v.28 no.2
    • /
    • pp.64-73
    • /
    • 2019
  •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and the development of piezo electric devices have made it possible to widen the alveolar ridge even if the residual bone is dense or if there is a lack of cancellous bone between the cortical bones. In the operation of the mandibular posterior area, the flap is easily accessible to the ramus bone, from which high quality autogenous bone can be obtained, compared to other parts. A small autologous bone block can be used with particulated bone graft material using one screw for bone regeneration instead of a large autologous bone with two screws. The tapered implant design can minimize buccal bone fracture, even in severely atrophic mandibular areas. We report a case of 4 years following implant placement with ridge splitting and small autogenous bone graft in severly atrophic mandible. This report demonstrates a case of functional and aesthetic restoration in a patient through a collaboration.

Histological Observations on Bone Healing with Bioactive Glass in Horizontal Ridge Augmentation;A Report of Four Cases (수평적 치조제증대술에 사용된 Bioactive glass의 골재생에 관한 조직학적 관찰;증례보고)

  • Park, Jin-Woo;Suh, Jo-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3
    • /
    • pp.601-611
    • /
    • 2006
  • 임프란트 식립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수평적 치조제 결손의 증대를 위해 골유도재생술과 병용한 bioactive glass (BG) $(Biogran^{(R)})$ 이식의 골재생 양상을 각기 다른 치유기간을 부여한 4명의 환자에서 평가하였다. 6, 8, 10, 18개월의 치유기간 후 임프란트 식립부위에서 조직절편을 채득하여 골재생을 조직계측학적으로 평가하였다. 임프란트 식립을 위한 surgical reentry시 모든 이식부위는 임상적으로 명확한 수평적 치조제 폭경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조직학적 분석결과 BG는 불량한 골전도성을 나타내었다. 6, 8개월의 치유기간후, 이식부위에서 신생골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2.5%이하), 이식부와 기존 골의 경계부위에서 BG particle에 대한 신생골 성장과 결합양상 또는 관찰할 수 없었다. 10개월의 치유기간후 기존 골조직으로부터 성장한 신생골의 BG particle과의 직접적인 접촉양상을 일부 관찰할 수 있었다. 이식부는 13.2%의 광물화된 신생골조직을 보였고, 대부분의 BG particle은 결체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18개월의 치유기간이 부여된 환자의 조직절편에서 신생골은 이식부의 10.7%를 차지하여 비교적 낮은 신생골 형성양을 나타내었고, 이식부에 존재하는 잔존BG particle은 대부분은 결체조직으로, 일부분에서 광물화된 골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6, 8, 10, 18개월에서 잔존 BG particle양은 전체 이식부 면적에 대해서 각기 22.3%, 26.5%, 30.7%, 18.7%로 나타났다. 본 증례보고는 비록 한정적인 4명의 환자에서의 조직계측학적 평가결과이지만, 수평적 치조제 결손의 증대를 위해 골유도재생술과 병용한 bioactive glass이식은 불량한 골전도성으로 인해 효과적인 골재생을 위한 이식재로서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Evaluation of the Volume Changes of Grafted Bone Materials in Sinus Augmentation Procedure Using Dental Cone-beam CT (치과용 Cone-beam CT를 이용한 상악동 골 이식 후 나타난 골 이식재의 부피 변화평가)

  • Ohn, Byung-Hun;Seon, Hwa-Kyeong;Chee, Young-Deok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9 no.1
    • /
    • pp.23-36
    • /
    • 2013
  • To evaluate the 3-dimensional features of the grafted bone with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and to assess the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bone resorption and the type of bone grafting source and implant, and the operation metho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patients receiving sinus augmentation procedures for implant positioning was conducted: radiographic analysis of the volume and area of bone grafts was performed. The volumetric remodeling.measured at 6 months after implant positioning as the percentage of residual bone graft.was correlated to type of graft materials and operation methods. 53 dental implants positioned with sinus bone graft in 15 patients at Wonkwang University Sanbon Dental Hospital. Computed tomography scans,taken implant positioning after 6 months, showed greater resorption values for the group of $Puros^{(R)}$ graft alone from the group of mixed with $Puros^{(R)}$ and various bone graft (P<0.05, respectively). And resorption values according to operation method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Volume change ratio of bone graft showed greater values for the group of delayed implant position from the group of simultaneously implant placement with bone graft. Retrospective data analysis shows that the method of graft with $Puros^{(R)}$ alone may occur greater resorption of graft materials than mixed graft material with $Puros^{(R)}$ and other graft materials. The group of simultaneously implant placement with bone graft also display smaller resorption ratio of bone graft than the group of delayed implant placement.

Esthetic implant restoration in the maxillary anterior missing area with palatal defect of the alveolar bone: a case report (구개부 치조골 결손을 보이는 상악 전치 상실부의 임플란트 심미보철수복: 증례보고)

  • Oh, Jae-Ho;Kang, Min-Gu;Lee, Jeong-Jin;Kim, Kyoung-A;Seo, Jae-Min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3 no.4
    • /
    • pp.291-298
    • /
    • 2017
  • It is challenging to produce esthetic implant restoration in the narrow anterior maxilla region where insufficient volume of alveolar bone could limit the angle and position of implant fixture, if preceding bone augmentation is not considered. Ideal angle and position of implant fixture placement should be established to reproduce harmonious emergence profile with marginal gingiva of implant prosthesis, bone augmentation considered to be preceded before implant placement occasionally. In this case, preceding bone augmentation has been operated before esthetic implant prosthesis in narrow anterior maxilla region. Preceded excessive bone augmentation in buccal area allowed proper angulation of implantation, which compensates unfavorable implant position. Provisional restorations were corrected during sufficient period to make harmonious level of marginal gingiva and interdental papilla. The definite restoration was fabricated using zirconia core based glass ceramic.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The Effect of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Block system on Bone Formation in Rat Calvarial Defects (백서 두개골 결손부에서 bone morphogenetic protein-2의 전달체로서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block의 골재생효과)

  • Lee, Young-Jun;Jung, Sung-Won;Chae, Gyung-Joon;Cho, Kyoo-Sung;Kim, Chang-S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7 no.sup2
    • /
    • pp.397-407
    • /
    • 2007
  • 골형성 유도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은 성장이나, 골형성과정에서 중용한 역할을 한다고 입증되었고 그것의 운반체에 대한 연구가 이뤄져 왔다. 하지만 수직압이 존재하는 곳에서 골증대술에 적용할 수 있을 만큼 강한 공간유지능력이 있는 운반체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았다.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block (MBCP block)은 공간유지능력이 뛰어나며 강한 수직압을 견딜수 있는 골대체물질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MBCP block을 골형성유도 단백질(rhBMP-2)의 운반체로 사용하여 백서 두개골 결손부에 적용하였을 때, 골 형성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36마리의 웅성백서에서 8mm 지름을 갖는 임계크기의 두 개부 결손을 형성하였다. 20마리씩 2개의 군으로 나누어 MBCP block만 이식한 군, MBCP block을 운반체로 사용하여 농도 0.025mg/ml rhBMP-2를 이식한 군으로 나누어 술 후 2주와 8주에 치유결과를 조직학적, 조직계측학적으로 비교 관찰 하였다. 조직계측학적 관찰 결과, rhBMP-2/MBCP block 군에서 MBCP block군에서 보다 2, 8주 모두 골밀도(bone density)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P<0.01). 각 군에서도 8주째가 2주째보다 골밀도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P<0.01). 총조직 형성량 (augmented area)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이 연구 결과, 백서 두개골 결손부에서 MBCP block은 rhBMP의 운반체로 사용하였을 때 신생골 형성에 유의한 효과가 있을뿐 아니라 공간유지능력이 우수해서 수직압이 존재하는 골증대술(bone augmentation)시 rhBMP의 운반체로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