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조의 해석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36초

용접 철골모멘트골조의 비선형 동적 연쇄붕괴해석을 위한 병렬 소성힌지 모델의 개발 (A Parallel Axial-Flexural Hinge Model for Nonlinear Dynamic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of Welded Steel Moment Frames)

  • 이철호;김선웅;이경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55-16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용접철골모멘트골조의 비선형 동적 연쇄붕괴 해석을 위해 인장-휨 거동을 반영한 효율적인 병렬 소성힌지를 제안하였다. 본 목적을 위해 재료적/기하학적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변수연구를 통해 기둥이 손실된 2경간 보의 항복후 휨거동과 모멘트-축인장력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유한요소해석결과를 토대로 보의 모멘트-축인장력 상호작용 관계를 일련의 선형으로 근사화한 소성힌지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OpenSees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용접철골모멘트골조의 비선형 동적 연쇄붕괴해석을 수행하였다. 비선형 동적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힌지모델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연쇄붕괴 해석 및 설계에 적절한 현수작용효과의 포함여부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하부철근 유무에 따른 PT 플랫 플레이트 골조의 내진성능 (Seismic Performance of Post Tensioned Flat Plate Frames according to Slab Bottom Reinforcement)

  • 박영미;황보진;유종혁;한상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233-236
    • /
    • 2008
  • 본 연구는 슬래브의 하부철근이 포스트 텐션(PT) 플랫 플레이트 골조의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슬래브-기둥 접합부에 슬래브 하부철근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층, 9층 골조를 중력하중만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건물을 비선형 정적 푸쉬 오버 해석하여 기둥을 관통하는 슬래브 하부철근 유무에 따른 전체 구조시스템 거동을 평가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접합부 모델은 뚫림 전단과 파괴메커니즘을 예측할 수 있도록 본 연구자들에 의하여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둥을 관통하는 슬래브 하부철근은 PT 플랫 플레이트 골조의 내진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슬래브 하부 철근이 있는 PT 플랫 플레이트 골조는 슬래브 하부철근이 없는 골조에 비하여 최대 강도와 변형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 PDF

지진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골조 구조물의 모드 해석 (Model Analysis of R/C Framed Structures to Earthquake Excitations)

  • 장극관;이리형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0-189
    • /
    • 1994
  • 모드좌표를 이용한 R/C 골조구조물의 근사적인 비선형 동적해석법을 제안하였다. 과거에도 비선형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모드좌표에서의 해석이 부분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각 하중증분에 따른 구조물의 강성변화로 인하여 고유치를 재계산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리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다. 여기서 제안된 방법은 동적해석 수행중에 산정된 제한된 수만의 고유치를 산정하였다. 그리하여 일정한 수의 고유치만으로 동적해석에서 반복하여 사용하였다. 부재의 소성힌지영역에서의 강성변화 및 핀치효과등을 부재의 이력모델에 의해서 표현되었으며 이러한 알고리즘은 휨변형이 지배하는 R/C 골조구조물의 예비해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선형 구조모델의 구성방법 및 그 특성 그리고 모드해석법의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그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플로팅 함체와 상호 거동에 따른 상부 골조의 모멘트 증대효과

  • 이영욱;박정아;최지훈;채지용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8-199
    • /
    • 2011
  • 플로팅 함체는 육상과 달리 지진하중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파랑하중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파랑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상부구조물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함체의 밀도를 변화시켜 상부하중에 대한 함체의 변위 응답을 확인을 한 결과, 밀도에 따른 함체 거동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해석을 통해 얻은 각 주기별 변위를 하중에 적용한 상부구조물의 모멘트 증가비는 파랑하중의 주기가 단주기에서 장주기로 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축력은 파랑주기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전단변형형 강가새 구조물의 탄소성 거동에 관한 연구 (Elasto-Plastic Behavior of Shear-Deformed Steel Braced Frame Using Finite Difference Method)

  • 박일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45-454
    • /
    • 2001
  • 본 연구는 전단변형형 강가새 골조의 탄소성 거동에 관한 연구로서 강가새 골조의 종류로는 X형 및 K형이며, 각 종류별 주 변수는 세장비로 되어있다. 재료의 응력도-변형도 관계는 변형경화현상을 고려한 Tri-linear형 모델을 사용하였다. 또한, 하중-변위 관계는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하중-변위관계에 관하여 탄성구배 및 최대하중에 관하여 해석결과치와 실험결과치를 비교하였고, 그 비는 약 10%내외의 오차를 보임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해석법은 합리적임을 나타내었다.

  • PDF

등가 1자유도계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골조건물의 층간변위 응답 산정 (Estimation of Interstory Drift for Moment Resisting Reinforced Concrete Frames Using Equivalent SDOF System)

  • 강호근;전대한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8권5호통권39호
    • /
    • pp.25-33
    • /
    • 2004
  • 성능설계법에서 다층 건축물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자유도계를 등가 1자유도계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다자유도계를 등가 1자유도계로 변환하여 다층 골조구조물의 층간변위 응답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층 골조구조물과 등가 1자유도계의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여 등가 1자유도계 변환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다층 골조구조물의 시간이력해석에 의한 층간변위 응답과 등가 1자유도계에 의해 추정된 층간변위 응답을 비교하여, 등가 1자유도계에 의한 층간변위 응답에 대한 추정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한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간이력해석을 통하여 다자유도계를 등가 1자유도계로 변환하는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층 골조구조물의 층간변위 응답은 비탄성 1차 모드를 이용한 등가 1자유도계의 변위응답으로부터 보다 정확히 추정할 수 있었다.

점성감쇠기가 설치된 모멘트골조의 연쇄붕괴 저항성능 (Progressive Collapse Resisting Capacity of Moment Frames with Viscous Dampers)

  • 김진구;이승준;최현훈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517-52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동적해석방법을 이용하여 점성감쇠기가 설치된 철골조 건물의 연쇄붕괴 저항성능을 평가하였다. 감쇠기가 설치된 2경간 보-기둥 부분골조를 이용하여 주기 및 항복강도의 변화에 따른 감쇠력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해석 결과에 따르면 감쇠비가 증가할수록 기둥이 제거된 지점의 수직변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탄성시스템 뿐만 아니라 비탄성시스템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쇠기가 설치된 15층 3경간 철골 모멘트골조의 비탄성해석을 통하여 감쇠기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기둥이 제거될 경우 처짐이 작게 발생하는 6m 경간 모델보다 처짐이 크게 발생하는 9m경간 모델의 경우에 감쇠기의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철골 연성 모멘트 골조의 연성계수 및 강도계수 평가 (Evaluation of Ductility and Strength Factors for Special Steel Moment Resisting Frames)

  • 강철규;최병정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6호통권73호
    • /
    • pp.793-80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철골 연성 모멘트 골조에 대하여 반응수정계수(R)의 핵심 구성요소인 연성계수 및 강도계수를 평가하였다. 철골 연성 모멘트 골조에 대한 연성계수($R_{{\mu},MDOF}$) 는 단자유도 구조물에 대한 연성계수($R_{{\mu},SDOF}$)에 다자유도 보정계수($R_M$)를 곱하여 산정하였다. 단자유도 구조물에 대한 연성계수($R_{{\mu},SDOF}$)는 지진하중을 받는 탄소성 단자유도(SDOF) 구조물의 목표 변위 연성비와 주기에 따른 비선형 동적해석으로부터 산정하였다. 통계적 연구와 회귀분석으로부터 연성계수를 산정하기 위한 평가식이 제시되었다. 다자유도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보정계수($R_M$)는 기존의 연구결과로보터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철골 연성 모멘트 골조에 대한 강도계수는 비선형 정적해석으로부터 산정하였다. 철골 연성 모멘트 골조의 연성 계수 및 강도계수를 평가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층수(4, 8 및 16층), 지진구역계수(Z=0.075, 0.2 및 0.4), 골조 시스템(외곽골조 및 분배골조) 및 붕괴 메카니즘(강기둥-약보 및 약기둥-강보)을 설계 매개변수로 하여 총 36개의 예제구조물을 설계하였다. 철골 연성 모멘트 골조의 연성계수 및 강도계수에 이러한 설계 매개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간이력감쇠기를 가진 강골조의 지진저항성능 (Earthquake resistant performance of steel frame with hysteretic damper)

  • 장준호;권민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193-203
    • /
    • 2003
  • 이 논문은 이력감쇠기, 즉 unbonded brace를 이용한 폐브레이싱된 골조의 거동을 지배하는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골조의 설계지침 개선을 제시코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이력댐퍼를 이용한 6층 폐브레이싱된 골조의 지진거동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또한 좌굴방지 브레이싱의 기계적 특징과 장점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였다. 골조의 형상과 특성의 중요 파라메타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비선형동적해석을 수행, 비교 분석하였다.

가새좌굴을 고려한 X형 내진 가새골조의 기둥축력 산정법 (Prediction of Column Axial Force in X-braced Seismic Steel Frames Considering Brace Buckling)

  • 윤원순;이철호;김정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523-535
    • /
    • 2014
  • 현 내진기준의 근간인 역량설계법(capacity design)에 의할 때, 중심가새골조의 내진설계는 기둥 및 보부재는 탄성부재로, 가새부재는 반복적인 인장과 압축을 통해 지진에너지를 소산하는 비탄성 부재로 설계되어야 한다. 가새부재는 에너지를 소산하는 과정에서 기둥부재에 추가적인 축력을 유입시키므로, 이 추가 축력을 고려하여 기둥부재를 탄성설계해야 한다. 현행 기준은 중심가새골조의 기둥부재 설계시 전층의 가새가 동시에 인장항복 및 좌굴하는 가장 보수적인 상황을 가정하여 기둥의 축력을 산정하거나 특별지진하중에 대해 기둥을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전층의 가새가 동시에 좌굴할 가능성은 희박하며, 특별지진하중에는 시스템 초과강도라는 경험적이고 우회적인 요소가 도입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몇몇 선행 관련 연구들 역시 가새의 좌굴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지 못하였을 뿐더러 역학적 근거도 희박하다. 최근에 행해진 연구 중에서 역 V형 중심 가새골조를 대상으로, 기존의 기둥축력 산정법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둥축력 산정법이 제안된 바가 있다. 하지만 역 V형 중심 가새골조와 X형 중심 가새골조의 하중전달 메커니즘은 상이하기 때문에 이 축력산정법을 X형 가새골조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X형 중심가새골조만의 역학적 특성을 고려한 네 가지의 기둥축력 산정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모달질량을 가중치로 고려하여 고차모드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방대한 지진데이터를 입력으로 한 비선형 동적해석을 수행하여 제시된 방안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