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재수급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7초

골재수급기본계획(2004~2008)

  • 한국레미콘공업협회
    • 레미콘
    • /
    • 통권77호
    • /
    • pp.64-77
    • /
    • 2003
  • 본 자료는 건설교통부에서 2004~2008년도까지의 골재부존조사 및 골재수요산정에 따라 골재수급 기본계획 발표자료로 장기적 수요전망 및 공급계획으로써 레미콘제조업체의 원자재 수급조정에 참고자료로 활용토록 편집게재합니다.

  • PDF

2002년도 골재수급계획

  • 한국레미콘공업협회
    • 레미콘
    • /
    • 1호통권70호
    • /
    • pp.92-112
    • /
    • 2002
  • 본 자료는 건설교통부의 2002년도 골재수급계획 발표에 따른 보도 자료로서 회원사 여러분의 원자재 수급계획에 도움을 주고자 편집 게재합니다.

  • PDF

지역별 골재 수급 실태의 조사 보고

  • 최민수
    • 레미콘
    • /
    • 통권75호
    • /
    • pp.65-77
    • /
    • 2003
  • 본 고는 한국레미콘공업협회에서 협조하여 2002년 12월에 전국 레미콘 공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역별 골재 수급 실태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며, 설문 조사에 적극 협력햐여 주신 한국레미콘공업협회 및 레미콘업계 임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 PDF

동남권 골재수급 및 시장 동향 분석 (Analysis of the Trends of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South Korea)

  • 최세진;김영욱;김도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24-325
    • /
    • 2018
  • Recently, the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the Southeast region has been disrupted because supply of sea sand decreased due to discontinuation of collecting the EEZ aggregate in the southern sea.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South Korea in order to find a solution these social problem.

  • PDF

국내 골재자원의 수급현황(I) (Trends of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Korea (I))

  • 홍세선;김주용;이진영
    • 암석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3-272
    • /
    • 2015
  • 국내에서의 골재자원 필요성은 1990년대 이후 경제성장에 따라 점차 중요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기업도시, 혁신도시, 행정복합도시 등의 기존 도시외의 신도시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국내 골재자원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 신도시 건설에는 시멘트, 모래자갈 등과 같은 건설 부자재들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조건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골재채취법이 제정된 이후 수집된 골재채취통계자료를 기반으로 국내 골재의 수급현황과 향후 전망을 파악하는데 있다. 90년대 초반 총 골재 생산량의 약 25% 내외는 하천골재에서 20~25%는 바다골재에서 약 45% 내외는 산림골재에서 공급되었으며, 육상골재와 비허가 신고골재에서의 공급은 10% 내외의 규모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하천골재의 공급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선별파쇄가 이를 대체하고 있다. 권역별 현황을 보면 수도권 지역이 항상 가장 많은 골재를 채취하고 있으며, 충남, 경남권의 순으로 골재의 생산이 많다. 생산이 적은 지역은 전북, 강원, 제주권이다. 상기 상위 3개 권역에서의 골재 채취비율은 약 50%이며, 하위 3개 권역에서는 10% 내외로, 사회 간접기반시설 확충과 같은 건설경제가 주로 광역시 주변의 인구밀집지역에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