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유도재생술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3초

Calcium carbonate 및 자가골 이식술을 동반한 조직유도재생술후 생검을 통한 재생골의 조직학적 관찰 (Histologic observation of regenerated bone in human intraosseous lesion following guided tissue regeneration with calcium carbonate implant and autogenous bone graft)

  • 이용무;한수부;엄흥식;김동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263-273
    • /
    • 1998
  • For histologic observation of the regenerated bone following guided tissue regeneration (GTR) using ePTFE membranes with calcium carbonate implant and autogenous bone graft, biopsies were collected from 2 patients during 5-year-postoperative surgical reentry. In both combined cases with guided tissue regeneration in conjunction with calcium carbonate implant and autogenous bone graft, significant bone fill and gain in probing attachment level was observed. In histologic examination, specimen in GTR case with calcium carbonate grafting was composed of a dense bone containing vascular channel with lamellar structure and viable bone cells in lacunae, however considerable calcium carbonate particles remained unresorbed and isolated from regenerated bone by the dense cellular and fibrous connective tissue. No formative cells could be seen in contact with remained calcium carbonate particles. In GTR case with autogenous bone grafting, specimen show was composed of a dense lamellar bone containing vascular channel, which showed normal alveolar bone architectures. The present observation indicate that guided tissue regeneration in conjunction with grafting, especially autogenous bone graft, has highly osteogenic potential, however resorbable calcium carbonate granules were not completely resorbed at 5 year postimplantation.

  • PDF

혈소판 농축 혈장을 이용한 골 이식술과 Calcium sulfate를 이용한 조직유도 재생술이 골연하낭의 치료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Bone Grafts using Platelet Rich Plasma and Calcium Sulfate Barrier for the Regeneration of Infrabony Defects)

  • 김경수;정진형;임성빈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325-338
    • /
    • 2002
  • Bone graft using growth factors and guided tissue regeneration have been used for the regeneration of infrabony defects which caused by periodontal disease. Calcium sulfate which is one of the resorbable barrier materials used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Platelet rich plasma which is a easy method to obtain the growth factors had many common points but, platelet rich plasma was still studying. This study was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bone graft using platelet rich plasma and guided tissue regeneration using calcium sulfate barrier material in clinical view. For the study, 28 sites(2 or 3 wall infrabony defects) were treated. 14 infrabony defects were received surgical implantation of BBP-calcium sulfate composite with a calcium sulfate barrier and the others received BBP mixed with platelet rich plasma. Clinical outcome was accessed 3 and 6 months of postsurgery. 1.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S group and PRP group in pocket depth, gingival recession, clinical attachment level, and probing bone level at baseline. 2.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probing depth, clinical attachment level, and probing bone level at 3 and 6 months postsurgery(p<0.05). 3. In the probing depth and clincial attachment level PPR group had less improvement than CS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at 3 and 6 months postsurgery. 4. In the recession PPR group had less recession than CS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at 3 and 6 months postsurgery. 5. In the probing bone level PPR group had less improvement than CS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at 6 months postsurgery. In conclusion bone graft using platelet rich plasma and guided tissue regeneration using calcium sulfate barrier showed similar clinical improvement for the treatment of 2 or 3 wall infrabony defects.

비글견에서의 Calcium Polyphosphate의 조직반응에 관한 연구 (Tissue Response of Calcium Polyphosphate in Beagle Dog)

  • 양승민;김우현;이승진;김석영;임윤탁;이주연;이용무;구영;정종평;한수부;최상묵;류인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3호
    • /
    • pp.543-554
    • /
    • 2001
  • 치주조직 재생을 도모하기 위한 전통적인 시술방법으로 여러가지 골이식재를 이용한 골이식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번 실험의 목적은 골형성을 위한 재료로 Calcium Polyphosphate(CPP)를 사용하여 비글견에서의 조직 반응과 골유도성을 보는 것이고 또한 다른 이식재들간에 신생골의 형성에 어느정도 영향을 주는 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번 실험에 사용된 CPP는 무수 $Ca(H_2PO_4)$를 condensation하여 무결정의 $Ca(PO_3)_2$를 얻고 이를 용율하고 냉각시킨 후 분쇄하여 얻은 것으로 3세된 비글견에 이식하여 관찰하였다. 조직학적으로 CPP granule의 경우는 키토산이나 $Na_2O$를 넣은 경우 모두 bone 의 ingrowth가 관찰되었고 다른 섬유조직의 개재를 볼수 없었다 동결탈회건조골을 넣은 경우에는 주위로 골형성 보이지 않았고 단지 섬유성 조직이 관찰 되었다. 아무것도 넣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동결탈회건조골이나 키토산, $Na_2O$를 넣은 CPP granules 경우에 더 많은 비율로 신생 골의 양이 나타나는 것을 볼수 있었다. 아무것도 넣지 않은 대조군과 이식재를 넣은 군간에는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또한 CPP granules with chitosan과 CPP granules with $Na_2O$ 사이에는 신생골의 형성에 유의성이 없었다. 이것으로 보아 CPP granules with chitosan과 CPP granules with $Na_2O$는 모두 골유도성이 있고 신생골의 형성을 촉진하므로 치주질환으로 인한 골결손 부위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 우수한 특성을 지닌다고 사료된다.

  • PDF

완전 탈구된 미성숙 영구치의 치수재생치료 증례 보고 (Outcome of Regenerative Endodontic Treatment for an Avulsed Immature Permanent Tooth: A Case Report)

  • 박나경;송지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50-256
    • /
    • 2018
  • 치아의 완전 탈구는 치조골에서 치아가 완전히 이탈된 것으로 정의되며, 결과적으로 신경혈관 공급의 중단을 야기하는 가장 심각한 치과적 손상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완전 탈구는 조직 허혈(tissue ischemia)을 야기하며, 이는 치수 괴사를 초래할 수 있다. 치근단형성술(apexification)은 치수 괴사로 진단된 미성숙 영구치에서 치근단 장벽을 유도하는 전통적인 치료 방법이다. 하지만 치근단형성술로는 치근 길이 및 두께의 증가를 포함하는 치근 발육을 얻을 수 없다. 본 증례는 완전 탈구되어 재식된 이후 치수 괴사로 진단된 치아를 가진 5세 환자에서 ciprofloxacin, metronidazole, cefaclor 및 CollaTape과 Biodentine을 이용하여 시행된 치수재생치료(regenerative endodontic treatment)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다루고 있다.

조대술을 이용한 함치성 낭종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A DENTIGEROUS CYST TREATED BY MARSUPIALIZATION)

  • 전은민;김태완;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73-480
    • /
    • 2007
  • 함치성 낭종은 치관이 형성된 후 성상세망(stellate reticulum)의 변성으로 인하여 치관과 환원법랑질상피 사이에 유동물질이 축적되어 나타난다. 연령별로는 10대 또는 20대에서 발생율이 높고 거의 미맹출 치관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무증상이지만 낭이 크거나 염증이 동반된 경우 종창과 통증을 유발한다. 함치성 낭종은 방사선 검사 시 미맹출 치아의 치관을 둘러싸는 경계가 명확한 단방성의 방사선 투과성 병소로 나타나며, 인접치의 변위나 치근흡수가 관찰되기도 한다. 함치성 낭종의 치료 목적은 비정상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되 낭종내 전위된 치아를 가급적 보존하여 맹출을 유도하고 악궁 내에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제거술식으로는 적출술과 조대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조대술은 낭벽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구강점막과 연결시켜 주는 술식으로 낭내의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결손부 골 재생이 일어나며 낭벽은 정상적인 점막으로 변하게 된다. 특히 이는 인접 주요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고, 맹출 공간이 충분하다면 낭에 포함된 영구치의 맹출을 유도할 수 있는 가장 보존적인 치료이다. 본 증례들에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소견상 함치성 낭종으로 판단하고 조대술을 이용하여 낭종을 제거하였으며 전이된 치아를 보존하고 자연맹출을 유도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교정적 치아 재배열을 포함한 다학제적 접근(multidisciplinary approach)을 통한 상악 전치부의 나사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 수복 증례 (Cases of screw-retained implant prosthesis in the anterior maxilla through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orthodontic teeth alignment)

  • 김효선;이원섭;이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44-250
    • /
    • 2020
  • 상악 전치부에서 임플란트의 순구개측 식립 위치는 보철물의 심미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상악 전치부의 얇은 순측골은 발치 후에 상당한 양이 흡수되어, 임플란트가 이상적 식립 위치보다 구개측에 식립될 수 있다. 본 상악 중절치 상실 증례들에서 다소 구개측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보철 수복을 위하여 UCLA 지대주를 이용하였다. 또한 타과와 협진으로 발치 후 흡수된 치조골 외형과 치은의 형태 회복을 위하여 골유도재생술을 시행하였고, 인접전치를 재배열 하였다. 충분한 임시 보철물 수복 기간으로 치은 형태의 심미적 회복을 확인한 뒤에 최종 보철 시행하였으며, 임플란트 보철을 통한 치아 상실 부위의 기능, 심미 회복이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 임플란트 수복을 위한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을 이용한 치조제 보존술 (Alveolar ridge preservation using granulation tissue for esthetic implant restoration on maxillary anterior tooth)

  • 이창균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2
    • /
    • 2023
  •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의 성공에 있어서 심미적인 요소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심미적인 결과를 얻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치주염으로 인해 치조골 소실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라면 더욱 그러합니다. 상악 전치부의 경우, 발치 직후부터 시작되는 치주 조직의 위축이 심미적 수복을 방해하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치 즉시 임플란트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치조골 소실이 심한 경우 발치 즉시 식립은 심미적 실패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고, 이런 결과는 돌이킬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그래서 치조제 보존술(Alveolar ridge preservation)을 시행하고 이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으로 접근하기도 합니다. 2019년 JCP에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 시기와 발치와 처치에 대한 유럽치주학회의 consensus가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서도 '심미적으로 중요한 부위에서 순측 치조골의 소실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 치조제 보존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치조제 보존술을 하게 되면 primary closure가 어렵기 때문에 open membrane technique으로 이차치유를 유도하거나 FGG, CT graft를 시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차 치유 과정은 골재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연조직 이식은 환자와 술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치조골 결손이 심한 발치와에 있는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을 이용하게 되면 연조직 이식 없이도 primary closure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육아 조직에 조직 재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줄기세포가 함유되어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치조골 및 연조직 결손이 심한 상악 전치부 치아를 육아 조직을 이용한 치조제 보존술을 통해 임플란트 수복을 시행하였습니다. 결손이 심한 발치와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심미적인 임플란트 수복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골결손부에서 흡수성 차폐막 단독 또는 이종골을 동반하여 시행한 조직유도재생술 (Guided tissue regeneration using resorbable membrane with or without xenograft in osseous defect)

  • 이원진;김원기;안용범;장문택;김형섭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737-744
    • /
    • 2008
  • Purpose: In advanced case of periodontitis, surgical treatment without bone contouring may result in residual pockets inaccessible to proper cleaning during post-treatment maintenance. This problem can be avoided or reduced by applying guided tissue regen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All of 3 patients had deep periodontal pocket depth and bleeding on probing, and radiograph revealed osseous defect, so we planned guided tissue regeneration using resorbable membrane with or without xenograft. Result: 6 months later, periodontal pocket depth and bleeding on probing was improved and gingiva was stable. Conclusion: Guided tissue regeneration using resorbable membrane with or without xenograft in osseous defect is predictable.

두 가지 유형의 비흡수성 차단막을 이용한 골유도재생술의 비교연구 (Guided bone regeneration using two types of non-resorbable barrier membranes)

  • 이지영;김영균;윤필영;오지수;김수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4호
    • /
    • pp.275-279
    • /
    • 2010
  • Introduction: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is a common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bone defects and bone augmentation. The nonresorbable barriers are well-documented barriers for GBR because of their stability and malleability. However, few GB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ifferent types of non-resorbable barrie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results of different non-resorbable barriers for GBR;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e-PTFE) (TR-Gore Tex, Flagstaff, AZ, USA), and high-density polytetrafluoroethylene (d-PTFE) (Cytoplast membrane, Oraltronics, Bremen, Germany). Materials and Methods: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patients treated with GBR and implant placement from January 2007 to October 2007 in the department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type of non-resorbable barrier used, and the amount of bone regeneration, marginal bone resorption after prosthetics, implant survival rate and surgical complication in both groups were evaluated. Results: The implants in both groups showed high survival rates, and the implant-supported prostheses functioned stably during the follow-up period. During the second surgery of the implant, all horizontal defects were filled with new bon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vertical bone defect. Conclusion: In bone defect areas, GBR with non-resorbable barriers can produce favorable results with adequate postoperative manage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e regeneration between e-PTFE and d-PTFE.

PLA/PGA 차폐막과 실크 피브로인 차폐막을 이용한 발치와의 골유도재생술의 비교연구 (Clinical study of guided bone regeneration of extracted socket with PLA/PGA membrane and silk fibroin membrane)

  • 황우진;정성념;김윤상;피성희;유형근;정종평;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2호
    • /
    • pp.129-138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bond regeneratiom effects of treatment using silk fibroin membrane ( Nanogide-S$^{(R)}$ ) resorbable barrier with control group treated by polyactic acid / polylacticglycolic acid membrane(Biomesh$^{(R)}$ ) Methods: 44 severe bone loss on extraction socket from 44 patients were used in this study. In experimental group 22 sites of them were treated by silk fibrin membrane as and the other 22 sites were treated by polyactic acid/ polylacticglycolic acid membrane as a control group. Clinical parameters including recovered bone width, length and radiographic parameter of vertical length were evlauated at base line and 3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1) Severe bone width, length was significantlly decreased in two group. 2) Bone width, length was significantlly decreased in two group. 3) Decreased bone width, length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differences between group.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ilk fibrin resorbable membrane has similar bone regeneration ability to polyactic acid / polylacticglycolic acid membrane in guided bone regeneration for severe bone loss defect on extraction soc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