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반골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8초

생체합금 Titanium의 표면처리에 따른 골반응의 변화에 대한 조직학적 관찰 (Histological Observation of Bone Reaction with Relation to Surface Treatment of Titanium)

  • 안면환;최용석;안종철;서재성;이동철;장재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116-133
    • /
    • 1996
  • 생체합금의 생체적합성을 검증하기위해, 표면처리가 되지 않은 타이타늄 봉과 표면처리를 시행한 타이타늄 봉을 실험용토끼의 대퇴골 근위부에 삽입하여 6주, 12주 및 26주후 방사선 관찰 후 광학현미경적 검사를 통한 골 반응을 비교 관찰하였다. 전 례에서 부식에 의한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신생골의 증식은 타이타늄의 삽입 후 26주까지 경도의 골증식이 관찰되었으나, 표면처리여부에는 관계가 없었다. 표면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타이타늄의 삽입한 11례 중 1례의 경우 삽입 후 12주에 경도의 골괴사반응이 관찰되었으며 표면처리를 시행한 타이타늄을 삽입한 후 전 례에서 골괴사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수술적 조작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섬유원세포의 증식은 시기에 관계없이 전 례에서 관찰되었으며, 표면처리 여부 혹은 시간의 경과 정도와 관계가 없었다. 표면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타이타늄의 삽입 후 6주에는 침윤정도 및 조직반응정도는 표면처리한 타이타늄의 삽입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12주 및 26주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중회귀분석법의 단계별 투입방식을 이용하여 세포의 침윤율을 시간의 경과와 표면 처리여부에 따라 상관관계를 분석한결과, 세포 침윤율은 시간의 경과 및 표면처리를 하게 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조직 반응율의 정도도 침윤율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생체합금의 표면처리에 따라 골반응의 정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내고정 기구의 제작을 위해서는 보다 생체 적합성이 양호한 제작방법의 개발이 요구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골반골절 환자의 골절위치와 출혈량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대량수혈 필요에 대한 간단한 예측도구 개발: 골반골 출혈 지수 (Development of Simple Prediction Method for Injury Severity and Amount of Traumatic Hemorrhage via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ite of Pelvic Bone Fracture and Amount of Transfusion: Pelvic Bleeding Score)

  • 이상식;배병관;한상균;박성욱;류지호;정진우;염석란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4호
    • /
    • pp.139-144
    • /
    • 2012
  • Purpose: Hypovolemic shock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multiple trauma patients with pelvic bone frac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mple prediction method for injury severity and amount of hemorrhage via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te of pelvic bone fracture and the amount of transfusion an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such a simple scoring system. Methods: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 examination of 102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having a pelvic bone fracture and who had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11. Fracture sites in the pelvis were confirmed and re-classified anatomically as pubis, ilium or sacrum.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amount of transfusion, and a simplified scoring system was developed. The predictive value of the amount of transfusion for the scoring system as verified by us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The area under the curve of the ROC was compared with the injury severity score (ISS). Results: From among the 102 patients, 97 patients (M:F=68:29, mean $age=46.7{\pm}16.6years$) were enrolled for analysis. The average ISS of the patients was $16.2{\pm}7.9$, and the average amount of packed RBC transfusion for 24 hr was $3.9{\pm}4.6units$. The regression equation resulting from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acked RBC units=1.40${\times}$(sacrum fracture)+1.72${\times}$(pubis fracture)+1.67${\times}$(ilium fracture)+0.36' and was found to be suitable (p=0.005). We simplified the regression equation to 'Pelvic Bleeding Score=sacrum+pubis+ilium.' Each fractured site was scored as 0(no fracture) point, 1(right or left) point, or 2(both) points. Sacrum had only 0 or 1 point. The score ranged from 0 to 5.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of the ROC was 0.718 (95% CI: 0.588-0.848, p=0.009). For an upper Pelvis Bleeding Score of 3 points, the sensitivity of the prediction for a massive transfusion was 71.4%, and the specificity was 69.9%. Conclusion: We developed a simplified scoring system for the anatomical fracture sites in the pelvis to predict the requirement for a transfusion (Pelvis Bleeding Score (PBS)). The PBS, compared with the ISS, is considered a useful predictor of the need for a transfusion during initial management.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결과 진단된 급성 외상성 골반골 골절에서 추가적인 3차원 재구성 골반 전산화단층촬영이 필요한가? (The Need for an Additional Pelvic CT in Cases of Acute Osseous Pelvic Injury that Has Already Been Diagnosed by Abdominal CT.)

  • 김병권;신동혁;한상국;최필조;이영한;박하영;배수호;송형곤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2권2호
    • /
    • pp.206-211
    • /
    • 2009
  • Purpose: Abdominal CT (computed tomography) is a principal diagnostic imaging modality for torso trauma at the Emergency Department (ED). When acute osseous pelvic injuries are detected by abdominal CT, additional three-dimensional (3D) reconstruction pelvic CT is often performed. We compared abdominal CT with pelvic CT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acute osseous pelvic injuries. Methods: A retrospective investigation of patients'electronic medical records during the five year period between January 1, 2004 and December 31, 2008 among Korean soldiers who underwent pelvic CT after abdominal CT at the ED was conducted. Axial images of abdominal CT were compared with axial images and 3D reconstruction images of pelvic CT. Results: Sixteen patients underwent subsequent pelvic CT after abdominal CT. Axial images of abdominal CT showed the same results in terms of fractur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when compared to axial images and 3D reconstruction images of pelvic CT. Pelvic CT (including 3D reconstruction images) followed by abdominal CT neither detected additional fracture nor changed the fracture type. Conclusion: This study has failed to show any superiority of pelvic CT (including 3D reconstruction images) over abdominal CT in detecting acute osseous pelvic injury. When 3D information is deemed be mandatory, 3D reconstructions of abdominal CT can be requested rather than obtaining an additional pelvic CT for 3D reconstruction.

세라믹과 지르코니아의 골유착에 관한 고찰 (Osseointegration of Ceramics & Zirconia : A Review of Literature)

  • 송영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3호
    • /
    • pp.319-326
    • /
    • 2012
  • 세라믹은 오랜 기간 동안 치과용 수복재로 사용되어 왔다. 세라믹이 치과학에 도입되면서, 치과용 수복물은 심미성 면에서 눈부신 발전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세라믹은 수복재료뿐만 아니라 생체재료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알루미늄 옥사이드와 사파이어등으로 시작된 연구는 지르코니아가 등장함에 따라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특히 지르코니아는 색상이나, 기계적 성질, 생체친화성 등 여러 가지 장점 때문에 전통적으로 임플란트 고정체의 주재료이었던 티타늄의 대체 물질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르코니아의 골반응은 매우 우수하지만, 표면 처리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표면 처리된 티타늄보다는 뛰어나지 못하다는 내용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벗어나기 위해, 표면에 화학처리를 하거나 처음부터 다공성 형태를 갖도록 성형하는 방법과 다른 물질로 코팅처리하는 방법들이 소개되었고, 그 결과 수종의 지르코니아 임플란트가 현재 상용화된 상태이다. 앞으로 골이식재 구성성분으로서의 연구 등 다양한 목적의 생체재료로서 지르코니아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이 논문에서는 생체재료로서의 지르코니아에 대한 연구와 앞으로의 발전가능성 등에 관한 문헌을 고찰할 것이다.

늑골에 발생한 연골점액유사 섬유종 -1예 보고- (Chondromyxoid Fibroma of the Rib Report of one case -)

  • 이재욱;임재웅;원용순;고은석;신화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1호
    • /
    • pp.788-790
    • /
    • 2005
  • 연골점액유사 섬유종은 뼈에 발생하는 드문 양성 종양으로 양성 골종양의 $2\%$ 미만을 차지한다. 연골점액유사 섬유종은 무릎부위의 경골 근위부와 대퇴골 원위부에 가장 호발하며 골반, 비골, 발꿈치 뼈, 늑골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내원 1달 전부터 시작된 좌측 7번째 늑골부위의 부종과 간헐적으로 지속된 경한 동통으로 내원한 54세 남자가 방사선 검사상 양성 늑골 종양 진단 하에 늑골 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조직 검사상 늑골에 발생한 연골점액유사 섬유종으로 최종 진단되었고 현재까지 재발이나 별다른 증상 없이 외래 추적 중으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확장성 해부외 회로 조성술: 쇄골하동맥-슬와-교차-대퇴동맥-PTFE-우회술 - 1예 보고 - (Extended Extraanatomic Bypass: Subclavian Artery-Popliteo- Crossover-Femora1-PEFE-Bypass - One case report -)

  • 이석열;박한규;박형주;이철세;이길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367-370
    • /
    • 2003
  • 양측 하지의 냉감과 우측 족지의 피부변색을 주소로 내원한 62세 남자환자가 혈관조영상 우측 외장골동맥과 좌측 총장골동맥의 폐쇄소견을 보였다. 환자는 전반적인 전신상태가 좋지 않아 확장성 해부학적외 동맥재건슬을 시행하였다. 우측 쇄골하동맥에서 우측 슬와동맥까지는 8 mm PTFE와 6 mm PTFE를 이용하여 문합하였다. 우측 서혜부의 8 mm PTFE와 좌측 총대퇴동맥을 골반 위에 다른 8 mm PTFE를 거치하여 교차문합하였다. 이후 환자는 별다른 합병증 없이 퇴원하여 현재 외래 추적 중으로 우측 하지의 족지에 피부변색은 없어져 완전히 정상화되었으며 통증 또한 사라졌다. 쇄골하동맥-슬개동맥-교차-대퇴동맥-PTFE-우회술이라는 확장성 해부외 동맥 재건술을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전이성 골종양에서 원발병소의 진단 (Diagnostic Strategy of Primary Site in Metastatic Bone Tumor)

  • 신규호;서기원;장준섭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8-104
    • /
    • 1997
  • 추후 관찰이 가능하였던 26례의 환자들이 평균 9개월의 짧은 생존기간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환자들에게 고통을 적게 주고 효과적인 비용의 검사를, 즉 흉부 방사선 사진, 복부 초음파,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복부-골반 전산화 단층 촬영, 기관지 내시경, 소화기 내시경 등의 순서로 진단적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 원발병소를 찾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T 관전압이 상용 전산화치료계획장치의 선량계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CT Voltages on the Dose Calculated by a Commercial RTP System)

  • 강세권;조병철;박희철;배훈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5권1호
    • /
    • pp.23-29
    • /
    • 2004
  • CT관전압 및 기종의 변화에 따른 전자밀도 환산곡선 값의 변화가 상용 전산화치료계획장치의 선량계산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CT기종 및 관전압을 달리하며 전자밀도 환산용 팬톰에 대한 CT 영상을 얻어서 여러 조직등가물질에 대해 전자밀도와 CT수의 관계를 구하였다. 동일 전자밀도에 대해 관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고밀도의 골조직으로 갈수록 큰 CT수를 보였으며, 연조직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전자밀도 환산곡선 값의 변화가 선량계산 결과에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치료계획장치 상에서 폐조직과 골조직을 포함하는 물 팬톰을 그려서 만들고, 이들 가상 조직의 후방 위치에서 6 MV 광자선에 의한 선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폐조직, 물, 골조직의 순서로 선량이 높았으며, 골조직에 의한 선량은 관전압이 낮을수록 높은 값을 보였고, 이는 10 MV의 경우에도 동일하였다. 임상 적용의 예로서 폐 및 골반 부위의 CT 영상을 이용한 선량계산에서는 6 MV 및 10 MV모두 전자밀도 환산곡선 값의 변화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전자밀도 환산곡선을 구하는데 이용한 CT 기기와 선량을 계산하는데 이용한 영상을 얻은 CT 기기가 다른 데서 오는 것으로 판단되는 오차로서 최대 1.5%의 상대선량차이를 보였다.

  • PDF

역분화 연골육종의 임상 결과 (The Clinical Outcome of Dedifferentiated Chondrosarcoma)

  • 공창배;이승용;송원석;조완형;고재수;전대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64-171
    • /
    • 2019
  • 목적: 역분화 연골육종은 저 악성도의 연골육종과 골육종, 섬유육종 등 고 등급의 육종이 같이 관찰되는 매우 드문 악성 골종양이다. 저자들은 원자력병원에서 경험한 역분화 연골육종 환자들의 임상 양상과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부터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역분화 연골육종으로 진단된 이후 치료 받은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나이, 성별, 증상 발현 기간, 종양의 위치 및 크기, 병기, 자기공명영상, 수술적 절제연, 병리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발생 시간, 추시 기간 및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생존율 분석에는 Kaplan-Meier 생존율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남자가 7예, 여자가 4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54세(33-80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대퇴골이 6예, 골반골이 4예, 중족골이 1예였으며 종양의 평균 크기는 12.7 cm (6.0-26.1 cm)였다. 진단 당시 증상은 8예에서 동통, 2예에서 종괴였으며, 나머지 1예는 방사선에서 우연히 발견된 골병변이었다. 진단 시 병적 골절이 동반된 환자는 2명이었으며, 병기는 1예에서 IIA기, 9예에서 IIB기, 1예에서 III기였다. 8예가 원발성, 3예가 속발성 역분화 연골육종이었으며, 원발성 중 1예는 방사선적으로 저 등급의 연골육종으로 오인되어 소파술을 시행받은 후 진단되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7개월(5-56개월)이었고, 국소 재발이 8예, 원격 전이가 10예에서 발생했다. 국소 재발은 평균 8개월(2-23개월), 원격 전이는 평균 7개월(1-32개월)에서 관찰되었다. 역분화 연골육종 환자의 Kaplan-Meier 3년 생존율은 18%였으며, 10명의 환자가 질병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결론: 역분화 연골육종은 조기에 폐 전이가 발생하여 매우 좋지 않은 예후를 갖는 치사율이 높은 악성 골종양으로 확인되었다.

사지구제술에서 언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이 유용한가? (When do we use the Recycling Autograft in Limb Salvage Surgery?)

  • 김재도;장재호;조율;김지연;정소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5-105
    • /
    • 2008
  • 목적: 악성 근골격계 종양의 치료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이용하는 사지구제술에서 종양의 절제 및 재건 방법과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 따라 그 유용성과 임상적 적용에 대하여 후향적 조사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는 1995년 12월에서 2006년 2월까지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한 58례의 악성 근골격계 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평균 36.5세(5~74세)였고, 성별은 남자가 34례, 여자가 24례였다. 58례 중 47례는 체외 방사선 조사(extracorporeal irradiation)를 시행하였고 11례는 저온 열처리(pasteurization)를 하였다. 재활용 자가골의 절제 및 재건 방법은 조각삽입(fragmentary) 3례, 분절삽입(intercalary) 8례, 골연골 삽입(osteoarticular) 18례,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recycling-autograft-prosthesis composite) 23례, 전 관절(total joint) 5례,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1례였다. 결과는 절제 및 재건 방법과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 따라 방사선학적 유합과 기능적인 평가(Musculoskeletal Tumor Society)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고 각각의 합병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접합부의 유합은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15.0개월, 저온 열처리에서 12.6개월로 관찰되었다. 절제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 12.8개월, 조각삽입 6.0개월,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 10.0개월, 골연골 삽입 23.3개월, 전 관절 15.6개월로 관찰되었다. 기능적 결과 점수는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59.6%, 저온 열처리에서 63.5%였고 절제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 60.8%, 조각삽입 65.5%,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골반제외) 62.8%, 골연골 삽입 66.0%, 전 관절 이식 66.6%였다. 저온 열처리에서 합병증은 2례(18.1%)로 감염 1례, 비구 돌출 1례가 관찰되었고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22례(46.8%)의 합병증(심부 감염 3례, 불유합 8례, 골절 2례, 성장판 문제 2례, 관절 불안정성 5례, 국소 재발 2례)이 발생하였다. 절제 및 재건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에서 불유합 3례(37.5%), 자가골-종양대치물에서 합병증 9례(50.0%, 불유합 4례, 심부감염 1례, 종양대치물 주위 골절 1례, 성장판 문제 1례, 국소재발 1례, 비구 돌출 1례), 골연골 삽입에서 합병증 6례(33.3%, 심부감염 2례, 불유합 2례, 성장판 문제 1례, 병적 골절 1례), 전 관절 이식에서 합병증 5례(100%, 관절 불안정성 5례), 아킬레스건에서 국소재발 1례(100%)가 발생하였다. 결론: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의 유용성은 절제 및 재건 방법에 따라서 조각 및 분절 재건술이 사지의 기능이 우수하고 접합부의 빠른 유합을 보여 가장 좋은 적응증으로 사료되며, 자가골-종양 대치물 복합체의 재건술에서는 절제 후 남은 골이 부족할 때 종양 대치물의 안정성을 위해 고려해 볼 만하다.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서는 저온 열처리법이 체외 방사선 조사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