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휘도 LED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고휘도 엘이디 섬광기를 적용한 해상용 등명기의 방열 특성에 관한 연구

  • Im, Min-Seok;Jeong, Tae-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1-33
    • /
    • 2013
  • 종래의 전구식 등명기의 경우 중량이 많이 나갈 뿐만 아니라 전구의 교체시기가 짧고 전력소모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5mm 포탄형 저휘도 LED램프의 경우에는 수명이 길고 저전력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근래에는 해상의 배후광이 높아져 개당 소비전력이 1W(와트) 이상인 고휘도 파워 LED를 광원으로서 채택하는 등명기가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고휘도 파워 LED의 경우 종래의 포탄형 LED에 비하여 광도는 매우 높으나,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으며, 그에 따라 발열이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휘도 파워 LED를 채용하여 등명기의 광도를 높이는 경우에는 반드시 방열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고휘도 파워 LED의 발열로 인하여 제품이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없으며, 결국에는 관련 부품의 고장이나 파손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종래의 전구식 램프나 저전력 포탄형 LED램프를 대체하여 고휘도 파워 LED램프를 광원으로 적용함에 있어, 등명기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는 구조로서 보다 효과가 우수한 방열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High power LED module for Channel letter (Channel letter용 High Power LED Module 개발)

  • Kim, Jin-Hong;Song, Sang-Bin;Kim, G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95-100
    • /
    • 2007
  • Channel letter용 High Power LED Module 개발하기 위하여, 1W 백색(단색) LED 1EA LED Module과 1W 백색(단색) LED 3EA LED Module, 3W RGB LED 1EA LED Module에 대한 3종의 제품 개발하고, 고효율 RGB LED SMPS 회로 설계, 광색 가변을 위한 RGB LED 최적 배치 및 렌즈 설계, 고출력 1W LED Module 방열 설계 및 기구 개발, SMPS 회로 및 RGB LED 배열 회로 통합 시제품 직접 제작하였다, 신뢰성 평가 및 성능 시험 등을 실시하였으며, T자형 Channel letter에 기존 고휘도 LED Module과 개발된 고출력 LED Nodule을 동시에 적용한 결과, 기존 고휘도 LED Module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1W{\times}10$개로 10W의 전력을 소비하였으나 개발된 고출력 LED Nodule은 $3W{\times}3$개로 9W의 전력을 소비하였으며 1W의 에너지가 절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휘도는 약 2.5배, 균제도는 1.43 배가 더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 PDF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High-Brightness LEDs for R/G/B/A/W Properties (고휘도 LED R/G/B/A/W의 광특성)

  • Hwang, Myung-Keun;Song, Jung-Yong;Huh, Ch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5e
    • /
    • pp.100-103
    • /
    • 2003
  • 고휘도 LED(light emitting diode) 빨강(R), 녹색(G), 파랑(B), 호박색(A), 백색(W) 등의 중요한 광학특성인 광속(luminous flux), 효율(luminous efficacy), 피크 파장(peak wavelength), 가중치 평균 파장(weighted average wavelength), 반치폭 (full width at ha1f maximum), 색도좌표(chromaticity coordinate), 주 파장(dominant wavelength), 자극순도 (excitation purity) 와 휘도순도(colorimetric purity)에 대해서 비교검토하였다. 시험결과로 제시된 LED의 기본적인 특성 데이터는 추후, 새로운 조명용 LED 램프나 등기구(luminaire)를 개발 및 특성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Optics and Spectral Energy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EDs lamp (LED램프의 광학 및 분광분포 특성 연구)

  • Hwang, Myung-Keun;Huh, Chang-Su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3 no.1
    • /
    • pp.68-7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파랑, 녹색, 호박색 빨강색, 백색 등 고휘도 5mm LED(light emitting diode)의 기본적인 분광분포(SED: spectral energy distribution)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LED램프의 중요한 광학 특성인 광속, 효율 피크 파장$({\lambda}p)$, 가중치 평균 파장, 반치폭(FWHM, $\Delta\lambda$), 색도좌표, 주 파장, 자극순도(Pe)와 휘도순도(Pc) 등을 측정 및 실험하였다. 제시된 LED램프의 특성 데이터는 앞으로 LED램프를 사용한 새로운 조명등기구를 개발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며, 이러한 측정 데이터들은 조명용 광원으로서 LED램프의 사용 대체 가능성을 나타낸다.

A Study on Noise Cancellation Model in VLC Channel caused by High Luminance of RGB LED, Using Band-Pass Optical Filters (밴드패스 광 필터를 이용한 VLC 채널의 고휘도 RGB LED 잡음 제거 모델에 관한 연구)

  • Nugmanov, Said;Khudaybergenov, Timur;Cha, Jae S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8 no.1
    • /
    • pp.83-90
    • /
    • 2019
  • LED lighting is spreading on the strength of LED lighting, and various government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VLC research whic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lighting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nd it has been proven through many studies that a general LED light source such as a high-speed data transmitter can be used. But from now on, one of the main problems is the noise from side lights, which can be compared to the noise of radio broadcasts. So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oise canceling model to remove the interference of ambient light by using an optical filter for a detachable VLC channel.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model, various high brightness RGB LED modules were used for comparative analysis.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using High Luminance LED lighting which is applied in real life.

LED-250(해상용등명기)

  • Go, Seong-G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75-277
    • /
    • 2011
  • 근래 항만의 배후광이 증가함에 따라 고광도 및 고휘도 등명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휘도 Power LED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선진국의 주요 해상용등명기 Major 업체 제품성능 또한 지속적으로 Upgrade 되고 있다. 이에 선진국 제품 대비 동등 혹은 그 이상의 에너지소비효율을 갖춘 해상용등명기 개발을 완료하여 기존의 전구식 등명기를 대체하고자 하며 렌즈의 설계 및 제작기술과 LED모듈의 방열기술 등을 축적하여 국내 해상용등명기의 제작기술을 한층 더 높이고자 한다.

  • PDF

고출력 LED의 신기술 동향 및 응용

  • 홍창희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8 no.3
    • /
    • pp.3-10
    • /
    • 2004
  • 에디슨의 탄소 필라멘트 백열전구가 발명 된지 1세기가 지난 지금, 반도체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에 의해 에디슨 시대의 종말을 예상하고 있다. “반도체 필라멘트”이라 불리는 고출력 LED(lighting emitting diode)를 이용한 반도체 조명이 바로 그 주역이다. 메모리에 사용되는 실리콘 반도체와는 달리, 빛을 낼 수 있는 화합물 반도체는 1962년 Holonyak이 GaAsP 적색 LED를 처음으로 개발한 이후, 주로 단순 표시기로 사용되었던 저휘도 LED의 발광효율이 화합물 반도체 공정 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인해 [그림 1]과 같이 Hainz's law에 따르면 휘도가 매 10년마다 30배씩 증가되어서 고취도 LED, 나아가서는 고출력 LED의 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중략)

  • PDF

A high luminance LED light source using a solar cell (태양전지를 이용한 고휘도 LED 광원)

  • Kwon, Ki-Tae;Cho, Ho-Yon;Yi, Ch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05-206
    • /
    • 2005
  •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정원등의 시스템을 구성하면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에너지 절감의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정원등은 수은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많은 반면, 고휘도 LED를 사용한 정원등은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회로 구성과 CDS센서를 이용하여 실제적인 회로 설계를 하였다.

  • PDF

A Synthesis Ratio of Light Emitting Diodes and Quantization Noise for Increasing Brightness of Head-up Displays (헤드업 디스플레이 휘도 증가를 위한 LED 합성비율과 영상잡음에 대한 연구)

  • Chi, Yongseok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1 no.5
    • /
    • pp.816-823
    • /
    • 2016
  • This paper studies a light emitting diode(LED) overlapping method of a head-up display that consists of a digital micro device(DMD) panel and a red, green, blue LED in order to increase the brightness of display system and optical output power. This optimization overlapping method removes a quantization noise which occur due to LED overlapping too excessive and stabilizes the junction temperature of LED. In order to reduce junction temperature of LED, the a correlation between a green duty and LED overlapping ratio is studied. Throughout this study, the brightness of head-up display exhibited high increasement ratio of luminance around 33.3 percent at 39 percent overlapping method.

Using High Brightness LED Light Source Controller for Machine Vision (고휘도 LED를 이용한 머신비전용 조명광원 제어기 개발)

  • Park, Yang-J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4
    • /
    • pp.311-318
    • /
    • 2014
  •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lighting source controller using high brightness LED to create a clear and reliable condition for an accurate measurement and testing, which is a core technology in clinical image system and mechanical automation system. This controller is designed to supply a stable power in a constant-current system by installing a high brightness LED driver, and to improve the reproducibility of brightness by using 32-bit ARM processor core, dividing brightness quantity into 256 levels, making the remote control and the external interface possible, and preventing and digitizing the brightness inaccuracy caused by errors of resistance values. This controller enables the lighting range to be wide and possible in a low lighting level compared to analog, adds the RS-485 communication function, and makes it for the users to control the on-off function and the dimming level by receiving date from an external device.